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303

University Students' Values on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Kim, Mi-Yae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ong, Yeoung-Suk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v.18, no.2, 2012 , pp. 303-31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s of marriage, gender-role and having children, and to explore the factors impacting the values of having children by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col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eptember through November, 2011.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and scales on values of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developed by Young-Mi Park.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to data analysis. Results: A total of 36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emales and nursing students had negative values toward having children and marriage and positive thoughts about the value of gender role.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rriage (r=.61, p<.001) and negatively with gender role (r=-.11, p<.032).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nd marriage was negative (r=-.28, p<.001).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ound that the value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value of marriage.
Keywords
Value; Marriage; Gender role; Childre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황선희 (2011). 중등 보건교사의 가족가치관과 저출산 대비 보건교육에 관한 인식.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 홍혜숙, 김미예, 최연희, 박완주 (2011). 출산장려인구교육프로 그램에 참여한 미혼남녀의 결혼, 자녀, 및 성역할 가치관 변화.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5(2), 152-165.
3 통계청 (2012, July). 합계출산율. Retrieved December 26, 2011, from Statics Korea web site: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 .jsp?idx_cd=1428&bbs=INDX_001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abum Associates Inc.
5 Gibson-Davis, C. M. (2009). Money, marriage, and children: Testing the financial expectations and family formation theory. Journal of Marriage & Family, 71(1), 146-160.   DOI   ScienceOn
6 Hill, S. A. (2007). Transformative processes: Some sociological Question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9(2), 293-298.   DOI   ScienceOn
7 OECD. (2007, November). Can policies boost birth rates? Retrieved January 2, 2012, from OECD web site: http://www.oecd.org/dataoecd/6/57/39970765.pdf
8 Thornton, A., & Young-DeMarco, L. (2001). Four decades of trends in attitudes toward family issues in the United States: The 1960s through the 1990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3(4), 1009-1037.   DOI   ScienceOn
9 Uecker, J. E., & Stokes, C. E. (2008). Early marriage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70(4), 835-846.   DOI   ScienceOn
10 김보경, 김한곤 (2005).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 6(2), 45-73.
11 김태헌 (2007). 초, 중고등학생의 결혼 및 자녀 가치관 정립방안. 보건복지포럼, 124, 15-24.
12 박영미 (2010). 중학교 교사의 가족가치관과 인구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청.
13 설영숙 (1977). 한국부모들의 자녀관. 심리연구, 18, 41-53.
14 손승영, 김은정 (2010). 여대생의 가족가치관을 통해 살펴 본 저출산 문제의 이해. 현상과 인식, 34(4), 169-200.
15 양명숙 (1996). 예비 부모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 역할관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167-181.
16 양순옥, 정금희 (2002). 남녀 대학생의 성 이미지와 성 역할 인식의 차이.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2), 289-300.
17 이삼식 (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18 윤희은 (1996). 자녀 양육비 분석을 중심으로 한 가정내 성인대 자녀의 지출배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 은기수 (2001). 현대 한국사회의 가족가치관. 한국학중앙연구원, 24(4), 247-258.
20 은기수, 이윤석 (2005). 한국의 가족가치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인구학, 28(1), 107-132.
21 이삼식 (2007). 학교 청소년의 결혼, 출산가치관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24, 5-14.
22 이상덕, 홍계옥 (2010). 경주시 소재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에 관한 의식 조사. 경주연구, 19(2), 135-161.
23 정미라, 장영희 (2006). 대학생들의 결혼 및 직업관과 자녀관에 대한 인식과 관련 변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41, 91-108.
24 정윤경, 김경희, 배진아, 김찬아 (1997). 우리나라 성인의 결혼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연구논집, 32, 49-92
25 최임숙 (2004). 중, 고,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과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213-232.
26 김경신 (2002). 노년기 여성의 가족가치관 및 관련된 변인. 한국노년학연구, 11(1), 63-86.
27 강숙경, 고경자 (1996). 가정의 심리적 과정환경과 대학생의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8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