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 디자인

Search Result 56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조경수 용기재배 시 지온 안정화를 위한 용기의 디자인개발

  • Jeong, Jun-Rae;Choe, Ji-Hye;Jeong, Yun-Seop;Choe, Dong-Hun;Gwon, Yeong-H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47-149
    • /
    • 2017
  • 경수 용기재배는 뿌리분의 손상 없이 식재를 할 수 있어 이식 후 활착이 용이하고, 식재시기의 계절적 제약을 적게 받아 부적기 이식 시 하자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용기재배 시 용기 내 토양온도는 토양의 물리화학반응과 식물의 생육 및 물과 양분의 흡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토양환경요소의 하나이다. 목본성 식물 용기재배의 경우 제한된 근권부의 토양이 외부기온에 의해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 재배용기의 유형에 따른 지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지중재배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재배 방식의 용기 중에서는 Bag in Pot-루트 스커트 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중재배방식의 용기와 유사한 용기 내 지온 안정화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디자인 개발된 용기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테스트하고, 재배농가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Spray Visualization Using Laser Diagnostics (레이저를 이용한 분무 가시화)

  • 윤영빈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87-112
    • /
    • 2005
  • 분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노즐의 설계와 개발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연소 시스템 전반의 효율 및 불안정성의 제거, 공해 저감 등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전에는 분무장 내에 수집관을 삽입하는 기계적 패터네이터(Mechanical Patternator)와 같은 삽입식 측정 방식을 이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고속카메라, Malvern particle analyzer, PDPA, 광학 패터네이터(Optical Patternator)와 같은 분무장을 교란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측정이 가능한 가시화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광학 패터네이터는 레이저 평면광을 이용하여 분무를 측정하는 비삽입식 기술로 단시간 내에 분무장 내 액체 연료의 질량 및 액적 크기의 단면 분포를 동시에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분무 액적들의 수밀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들 액적에 의한 입사광 및 신호 감쇠, 다중산란 등에 의한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기존의 PDPA, PLIF 등의 광학 기법으로는 충분히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분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입사광의 감쇠뿐만 아니라 분무장 내 액적들에 의한 신호의 감쇠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주면 액적들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레이저 평면광을 사용하는 광학 패터네이터와 달리 레이저 광선을 분무장에 조사하여 고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중 산란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는 광학 선형 패터네이터(Optical Line Patternator)를 이용하여 기존 레이저 계측기법으로 측정이 곤란하였던 고압 환경 하에서의 스월 동축형 인젝터의 분무 특성을 해석할 수가 있다. 2015(년도) 6,388, 2025(년도) 13,367, 2035(년도) 18,756, 2045(년도) 22,595, 시장점유율 증가로 인한 수출액 증가분 누적(억원) : 2015(년도) 3,411, 2025(년도) 8,847, 2035(년도) 14,433, 2045(년도) 18,005 또한 시나리오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정의한 순편익 누적(Cumulative Net Profit) 변수를 적용하면 현재 연구비 추세 대비 $30\%$ 까지 연구비를 증가 시키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

  • PDF

DNA Sequence Design using $\varepsilon$ -Mul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 ($\varepsilon$-다중목적함수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DNA 서열 디자인)

  • Shin Soo-Yong;Lee In-Hee;Zhang Byoung-Ta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12
    • /
    • pp.1217-1228
    • /
    • 2005
  • Recently, since DNA computing has been widely studied for various applications, DNA sequence design which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step for DNA computing has been highlighted. In previous works, DNA sequence design has been formulated a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task, and solved by elitist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 (NSGA-II). However, NSGA-II needed lots of computational time. Therefore, we use an $\varepsilon$- multiobjective evolutionarv algorithm ($\varepsilon$-MOEA)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NSGA-II in this pap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wo algorithms in detail, we apply both algorithms to the DTLZ2 benchmark function. $\varepsilon$-MOEA outperformed NSGA-II in both convergence and diversity, $70\%$ and $73\%$ respectively. Especially, $\varepsilon$-MOEA finds optimal solutions using small computational time. Based on these results, we redesign the DNA sequences generated by the previous DNA sequence design tools and the DNA sequences for the 7-travelling salesman problem (TSP).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varepsilon$-MOEA outperforms the most cases. Especially, for 7-TSP, $\varepsilon$-MOEA achieves the comparative results two tines faster while finding $22\%$ improved diversity and $92\%$ improved convergence in final solutions using the same time.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through Trend Analysis in Housing (주택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공주택 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 Kwon, Hyuck-Sam;Yoon, Young-Ho;Kim, Yu-Jeong;Park, Kwang-Jae;Cho, Sung-Ha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1
    • /
    • pp.45-58
    • /
    • 2012
  • This study aims to provide new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by analyzing trends in housing design. To this end, we investigate the changes in population, household, society, policy, institution, and technology as the main factors that can affect the housing design trends. Then we analyze the applications of public housing design and suggest the new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after considering experts' opinions. The low growth rate of population, growing separation of household members and increasing level of income produced more diverse demands from residents. In addition, housing demand is notably different by region, and the supply of medium and small-sized housing and small scale developments are 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green technology are also advancing. As a consequence, future housing trends would change from numerically-controlled to performance-based, from central to regional-oriented, from unit to city-centric. Current designs of public housing reflect recent housing trends- in reducing the number of housings and making view corridors by placing a central square in the middle. This shows that the existing designs are not differentiated by region and we need to develop various approaches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sponding new housing typ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ve directions: responsiveness to demand changes, reflection of location characteristics, connectivity to a local community, realization of green environment, and acquisition of housing function.

Simulator Development for LED Display Design (LED전광판 디자인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 Chin, Seong-Ah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2
    • /
    • pp.5023-5028
    • /
    • 2010
  • In this paper, an image based LED design simulator is proposed to reduce LED design cost mostly contingent on a design expert. Current techniques about LED design schemes have mostly treated text-based LED simulators. The proposed method is to provide novel and easy simulator for LED designers. At first, image filters including histogram equalization, bicubic interpolation. and scaling are employed. Color mapping and special effects are added as well. Experimental results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along with running times are shown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s.

연안여객선 거주구 실내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Jin;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27-129
    • /
    • 2019
  • 전라남도 완도 연안여객선 터미널에서 2018년 10월 연안여객선 현대화편드 1호에 의한 선박 '한일고속페리 실버클라우드호'가 취항식을 가졌다. 국내 여객선 시장은 그간 해외 중고선에만 의존해왔는데 순수 국내 기술로 건조된 여객선이 등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여객선 산업은 기술발전과 디자인 등 그 품질이 향상 될 것이다. 그간 여객선 이용객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영세한 규모의 국내 선사는 비용 부담 때문에 신조를 건조하기 어려워 해외 중고선을 수입하였다. 이로 인해 국내 여객선의 실내 인테리어의 노후화, 인테리어 개조에 따르는 선박 성능의 저하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정부는 2018년 현대화펀드를 통해 노후된 연안여객선을 대체할 새로운 선박의 건조를 지원함으로써 연안여객선은 이제 선사의 사적 소유물을 넘어 공공적 성격이 교통수단이 되었다. 이로써 연안여객선은 이동 편의 향상을 비롯하여 승객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디자인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he Various Performance of Design Using Patterns of Interlocking Concrete Block (보·차도용 블록 패턴을 이용한 디자인의 다양한 성능에 대한 연구)

  • Jeong, hyo-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5-186
    • /
    • 2018
  • 현재 우리사회에서 보 차도용 콘크리트 블록은 흔하게 볼 수 있는 토목 자재중 하나이다. 보 차도용 블록의 패턴은 흔히 2가지에서 5가지 색상을 배치하며 미적 효과를 위하여 디자인된다. 그러나 바닥에 적용되는 보 차도용 블록은 색상 배치를 통한 조경미 창출 외에도 패턴디자인을 통해 방향을 제시하거나 홍보성, 경고성 등의 문구를 담을 수 있고 그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 기능적인 면에 대한 관심도 커져 가고 있다. 또한 특정한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한번 설치되면 외부요인에 의해 디자인이 변하지 않는 특성에 따라 그 효과가 경제적이며 적용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패턴디자인을 통한 효과를 분석하여 국내패턴디자인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더 나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 PDF

Detecting Similar Designs Using Deep Learning-based Image Feature Extracting Model (딥러닝 기반 이미지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한 유사 디자인 검출에 대한 연구)

  • Lee, Byoung Woo;Lee, Woo Chang;Chae, Seung Wan;Kim, Dong Hyun;Lee, Choong Kwon
    • Smart Media Journal
    • /
    • v.9 no.4
    • /
    • pp.162-169
    • /
    • 2020
  • Design is a key factor that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the similarity of the proposed design in order to prevent unauthorized copying and to confirm the originality. In this study, a deep learning technique was used to quantify features from images of textile designs, and similarity was measur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o verify that similar samples were actually detected, 300 images were randomly rotated and color changed. The results of Top-3 and Top-5 in the order of similarity value were measured to see if samples that rotated or changed color were detected. As a result, the VGG-16 model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than did AlexNet. The performance of the VGG-16 model was the highest at 64% and 73.67% in the Top-3 and Top-5, where similarity results were high in the case of the rotated image. appear. In the case of color change, the highest in Top-3 and Top-5 at 86.33% and 90%, respectively.

A Study on Mobile Icon Design of iPhone7 (iPhone7을 중심으로 한 아이콘 디자인에 대한 연구)

  • Kim, Jung-Hee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4
    • /
    • pp.367-386
    • /
    • 2014
  • The development of science was crucial to recent advancements in design such as digital contents, UI, GUI, UX design. Not until the DOS evolved into Windows OS were many kinds of digital media design created, namely due to the invention of the computer mouse. A necessary element of mobile phones and Window OS is icons, since icons act as visual symbols, touch buttons and gateways into software content. Icons have undergone many stages of development simultaneously with developments in digital science. We can observe changes in mobile icon design from Skeuomorphism Design to Minimalism to Flat Design. These changes were caused by macro-level trends in design across all other industries. Apple iPhone's Skeuomorphism Design of 2013 evolved into IOS7's Minimalism and Flat Design of 2014. In the mobile world, flat design will again create big changes in design.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basic research data of GUI design that are used by creators of mobile apps to understand and anticipate future 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