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through Trend Analysis in Housing

주택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공주택 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 권혁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윤영호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유정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박광재 (한국재활복지대학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 조성학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설계1처)
  • Received : 2011.12.15
  • Accepted : 2012.01.25
  • Published : 2012.0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new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by analyzing trends in housing design. To this end, we investigate the changes in population, household, society, policy, institution, and technology as the main factors that can affect the housing design trends. Then we analyze the applications of public housing design and suggest the new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after considering experts' opinions. The low growth rate of population, growing separation of household members and increasing level of income produced more diverse demands from residents. In addition, housing demand is notably different by region, and the supply of medium and small-sized housing and small scale developments are 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green technology are also advancing. As a consequence, future housing trends would change from numerically-controlled to performance-based, from central to regional-oriented, from unit to city-centric. Current designs of public housing reflect recent housing trends- in reducing the number of housings and making view corridors by placing a central square in the middle. This shows that the existing designs are not differentiated by region and we need to develop various approaches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sponding new housing typ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ve directions: responsiveness to demand changes, reflection of location characteristics, connectivity to a local community, realization of green environment, and acquisition of housing function.

본 연구는 주택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공공주택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구 가구 변화, 사회 변화, 정책 제도 변화, 기술 변화 등의 주택 트렌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공공주택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앞으로 공공주택이 추구해야 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 사회는 인구성장률이 둔화되고 가구분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소득수준의 증가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지역별로 주거수요가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중 소형 주택공급과 소규모 개발이 확대되고 있으며, IT와 녹색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주택 트렌드는 '수치제어에서 성능중심'으로, '중앙주도에서 지역중심'으로, '단위세대에서 도시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행 공공주택 디자인은 최근의 주택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으나, 주동수를 줄이고 중앙광장을 가운데 두면서 통경을 확보하는 계획경향이 대부분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입지특성과 주거요구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앞으로 공공주택 디자인 과정에서 입지특성과 지역사회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공주택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기본방향을 '수요변화 대응', '입지특성 반영', '지역사회 연계', '녹색환경 구현', '주거성능 확보'의 5가지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건축정책위원회(2010), "보금자리주택 품격 향상방안",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제3차 대통령보고회 자료집.
  2. 김진욱, 김혜련(2010), 공동주택의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디자인 강화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3. 박신영, 남원석 외(2010), 보금자리주택지구 주민연계형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4. 박신영, 백혜선 외(2011), 소득 3.4만불 시대의 주택수요특성과 주택공급방식, 토지주택연구원.
  5. 손세관(2010), "보금자리주택의 바람직한 디자인 방향", LHI archives, 1(1): 55-64.
  6. 윤영호, 조용경 외(2010), "공공임대주택 CPTED 적용의 기본방향 고찰", LHI archives, 1(2): 40-50.
  7. 이순종, 김난도 외(2010), 디자인의 시대, 트렌드의 시대, 미래의창.
  8. 이종성, 유정현 외(2010), "친환경주택평가기법개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LHI Journal, 1(1): 27-34.
  9. 임미숙, 권치흥 외(2008), 인구.사회구조 변화에 대응한 주거단지 개발 예비연구, 주택도시연구원.
  10. 임미숙, 이지은 외(2010), 공공주택 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11. 전남일, 손세관 외(2008), 한국 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12. 조성학(2011), "인구사회구조변화에 따른 공동주택설계 대응방안", 인구사회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유형 개발 세미나 자료집, 한국토지주택공사.한국주거학회.
  13. 허윤경 외(2011), 2012년 주택.부동산 시장 전망 및 정책과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4.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제1차 주택사업 5개년 계획.
  15.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녹색의 나라, 보금자리의 꿈.
  16. 국토해양부, 주택종합계획 2000-2011.
  17. 통계청(2011),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