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인자

Search Result 1,46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Optimum Solution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BS (ABS수지 성능 최적화 방안)

  • Mun, Hong-Guk;Kim, Dae-Su
    • Polymer(Korea)
    • /
    • v.31 no.2
    • /
    • pp.105-110
    • /
    • 2007
  • We investigated resin, thinner, painting, and injection for analyzing the chemical effect of polymer, and made the optimum solution with the best performance of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The effect depended on chemical material especially its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stead of mechanical transformation. When we looked over ABS resin, injection, chemical material and painting, we found out thinner was the main factor for painting problem. Throughout this test, we could solve the problem, secure the system for control process and drop many factors for changing quality.

End-to-End Internet Performance Measurement and analysis Using the Active Proving (능동적 측정 방법을 이용한 종단간 인터넷 성능 측정 및 분석)

  • 김재훈;옥도민;이영석;최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41-243
    • /
    • 1999
  • 인터넷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대형화된 망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망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망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능동적 측정 방법을 이용한 종단간 성능 측정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능동적 측정 인자로 사용되던 양방향 인자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새로운 측정 대상인 단방향 인자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구현하였다. 단방향 측정에서는 무엇보다 측정 대상인 종단간의 시간 동기화가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한 시간 동기화를 하였으며, 실제 망에 적용하여 단방향 인자들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Review about the prediction factor of 3D Noise simulation (3D 소음시뮬레이션 적용인자에 대한 검토II)

  • Chun, HyungJoon;Son, JinHee;Choung, TaeRyang;Choi, DaeSeung;Park,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852-855
    • /
    • 2014
  • 3D 소음시뮬레이션시 각 고시에 따른 적용인자 중 방음벽성능에 대한 적용방법은 기본프로그램값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실제 소음측정결과와 교통량을 적용하여 3D 소음시뮬레이션시 방음벽 재질별로 적용한 결과 설치된 방음벽 제원을 가장 유사하게 적용할 경우 소음 예측결과가 오차범위가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3D 소음시뮬레이션 시 모든 예측인자와 설치인자들을 정확히 적용하여야만 정확한 예측결과를 통한 검증과 저감방안을 계획할 수 있다.

  • PDF

Some factor and aids for improving the startability in diesel engine (디이젤기관의 냉시동성향상에 관여하는 몇개의 인자와 방책에 대하여)

  • 조진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 no.1
    • /
    • pp.9-20
    • /
    • 1980
  • 디이젤기관의 냉시동성이 가솔린기관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은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근년에는 소형트럭, 승용차, 소형건설기계 등의 분야에 있어서도 고속디이젤기관을 널리 사용하게 되었고 앞으로 디이젤연료의 중질화 및 세탄가 저하의 영향 등을 고려할 경우 시동성의 확보는 더욱 중요한 문제로 된다. 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혹은 시동성개선의 방책으로서는 분 무의 착화에 직접 관련되는 것 외에 축전지의 저온특성 혹은 기관의 마찰토오크 등 여러가지에 걸쳐 있으나 이들 중에서 특히 분무의 착화에 직접 관련되는 방책에 관해서는 그것이 시동성에 미치는 영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시동개시직후에 있어서 배출가스, 혹은 출력성능 등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고려를 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본고에 있어서는 냉시동시의 분무의 착화에 대하여 직접 관련하거나 그것을 촉진시킨다고 생각되는 몇개의 인자와 구체적인 방책을 취급하므로써 그것들이 시동성 및 시동직후의 청백연 혹은 출력성능 등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기술하며 아래에서 취급되는 시동시의 착화를 촉진하기 위한 실제적인 인자 및 방책은 어느 것이나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개념에 집약된다. 즉 그것은 연표와 효소로부터 이루어지는 연소계에 있어서 착화조건을 갖추어야함을 말할 것도 없다.

  • PDF

Surrogate Model-Based Global Sensitivity Analysis of Components of a Test Mock-Up Nuclear Containment Building subjected to Internal Pressure (내압을 받는 축소규모 원전 격납건물 구성요소의 대리모델 기반 전역 민감도 분석)

  • Son, Hoyoung;Lee, Jong-Ryun;Ju, Bu-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3-304
    • /
    • 2023
  • 확률론적 위험성 평가는 하중, 재료특성 등과 같은 불확실성 인자를 고려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법이지만 모든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원전 격납건물은 콘크리트, 철근, 라이너, 텐던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역민감도 분석을 통해 격납건물의 불확실성 인자 검토하고 선정하는 작업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리모델을 기반으로 축소규모 원전 격납건물의 전역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고 격납건물의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대리모델의 학습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구축된 대리모델의 성능지표를 분석하였을 때 높은 회귀성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리모델을 기반으로 전역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콘크리트의 인장균열이 발생하는 내압수준에서 민감도 지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높지만, 전체적인 내압 구간에서 민감도 지수는 텐던의 탄성계수 및 항복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STM-based Fine Dust Concentration Prediction using Meteorogical factors and Air Pollution factors (기상 인자와 대기오염 인자를 활용한 LSTM 기반의 미세먼지 농도 예측)

  • Yoo, Jihoon;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508-511
    • /
    • 2020
  • 미세먼지(PM10, PM2.5)는 배출가스 증가와 함께 빠르게 악화되어 왔으며, 다양한 화학성분 뿐만 아니라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인체에 큰 유해성을 발생한다. 이에 정부는 미세먼지 저감 정책 및 법률을 통해 개선하고자 했지만, 2013년부터 그 효력을 잃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정책 및 법률을 수립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이전 연구들에서 미세먼지 영향 요소들이 시계열 기반의 데이터(기상인자와 대기오염 인자)인 것을 확인하였기에, 시계열 데이터에 좋은 성능을 보이는 LST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학습 후, 서울시 '구별' '시간단위' 미세먼지 농도 예측에 대한 예측 오차(RMSE, MAE)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PM10의 경우 (7.2, 4.78), PM2.5의 경우 (4.7, 3.2)의 예측 오차를 보였으며, 금천구의 경우 PM10이 (5.3, 3.71), PM2.5에서 (3.5, 2.5)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가스터빈 엔진 천이 성능 시험에 의한 정상상태 성능 예측

  • Yang, In-Young;Jun, Yong-Min;Kim, Chun-Taek;Yang, Soo-Seo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1-10
    • /
    • 2003
  • Methodology of predicting steady performance of gas turbine engine from transient test data was explored to develop an economic performance test technique. Discrepancy of transient performance from steady performance was categorized as dynamic, thermal and aerodynamic transient effects. Each effect was mathematically modeled and quantified to provide correction factors for calculating steady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engine inlet/outlet condition change on engine performance was corrected firstly, and then steady performance was predicted from the correction factors.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steady performance test data. This correction method showed an acceptable level of precision, 3.68% difference of fuel flow.

  • PDF

A Study on the Smoke control Design parameter of Large Volume space by Fire Dynamic Simulation (화재 시뮬레이션(FDS)을 이용한 대형공간의 제연 설계인자에 관한 연구)

  • Choi, Sang-G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237-243
    • /
    • 2018
  • Performance-oriented design has been introduced in fire protection design, and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fire in the design stage. We conducted a study to provide information for reasonable design factors using a Fire Dynamic Simulation code provided by the NIST on boundary width and amount of supply. This paper shows that using a living-room air-supply system in a large space and dividing the space by a ventilation boundary are the two factors that are consider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sign of the living room ventilation. The results show that for performance-based design, the width of the ventilation boundary is designed to be the maximum limit in the initial design. It is judged that reasonable air volume determination should be made through various methods.

A-priori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for Estimation of the Surface Parameters against Modeling Factors (표면 파라미터 계산시 모델링 인자에 따른 조정계산 추정 성능의 사전 비교분석)

  • Seo, Su-Yo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2
    • /
    • pp.29-36
    • /
    • 2011
  • This study performed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by a-priori analysis of the statistics of the surface parameter estimates against modeling factors. Lidar, airborne imagery, and SAR imagery have been used to acquire the earth surface elevation, where the shape properties of the surface need to be determined through neighboring observations around target location. In this study, parameters which are selected to be estimated are elevation, slope, second order coefficient.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which are needed to be specified to compose adjustment model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mathematical functions, kernel sizes, and weighting types. Accordingly, a-priori standard deviations of the parameters are computed for varying adjustment models. Then their corresponding confidence regions for both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estimate and the estimate itself are calculated in association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s. Thereafter, the resulting confidence regions are compared to each other against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adjustment models and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are ascer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