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factor and aids for improving the startability in diesel engine

디이젤기관의 냉시동성향상에 관여하는 몇개의 인자와 방책에 대하여

  • Published : 1980.02.01

Abstract

디이젤기관의 냉시동성이 가솔린기관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은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근년에는 소형트럭, 승용차, 소형건설기계 등의 분야에 있어서도 고속디이젤기관을 널리 사용하게 되었고 앞으로 디이젤연료의 중질화 및 세탄가 저하의 영향 등을 고려할 경우 시동성의 확보는 더욱 중요한 문제로 된다. 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혹은 시동성개선의 방책으로서는 분 무의 착화에 직접 관련되는 것 외에 축전지의 저온특성 혹은 기관의 마찰토오크 등 여러가지에 걸쳐 있으나 이들 중에서 특히 분무의 착화에 직접 관련되는 방책에 관해서는 그것이 시동성에 미치는 영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시동개시직후에 있어서 배출가스, 혹은 출력성능 등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고려를 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본고에 있어서는 냉시동시의 분무의 착화에 대하여 직접 관련하거나 그것을 촉진시킨다고 생각되는 몇개의 인자와 구체적인 방책을 취급하므로써 그것들이 시동성 및 시동직후의 청백연 혹은 출력성능 등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기술하며 아래에서 취급되는 시동시의 착화를 촉진하기 위한 실제적인 인자 및 방책은 어느 것이나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개념에 집약된다. 즉 그것은 연표와 효소로부터 이루어지는 연소계에 있어서 착화조건을 갖추어야함을 말할 것도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