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과 위험

검색결과 11,518건 처리시간 0.039초

수소-LPG 복합충전소 정량적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Hydrogen-LPG Combined Refueling Station)

  • 강승규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29-3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수소 복합충전소에 대하여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대상의 복합충전소는 수소-LPG이며 각 충전소의 설비 구성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최종 위험도는 피해영향과 사고빈도를 고려한 개인적 위험성과 사회적 위험성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수소-LPG 충전소에 대한 개인적 위험도 산출 결과, 수소-LPG 형태의 복합충전소는 HSE에서 제안하고 있는 허용 불가수준의 위험지역(> 1×10E-3)은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작업자와 일반인에 대한 개인적 위험수준이 모두 허용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 위험도 평가에서는 해석대상 모델이 허용 가능한 범위(ALARP,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의 위험도 분포를 보이고 있다. 보다 향상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위험도 순위화 결과에서 높은 위험도를 보이고 있는 수소 저장용기, 디스펜서, 튜브트레일러 누출 및 LPG의 Vapour 회수 라인 등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및 확인을 권장한다.

위험을 0으로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가? - 농약 그 안전성의 본질은 무엇인가? (하)

  • 후등진강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12권6호통권105호
    • /
    • pp.19-26
    • /
    • 1991
  • 안전성 평가는 이익과 피해를 정확하게 저울질하는 것이다. 한 기술의 위험성을 지나치게 중시하여 그것을 배제하면 다른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농약이나 식품첨가물을 폐지하면 인류는 항상 식량난과 전염병, 그리고 식중독의 위험에 빠질 것이다.

  • PDF

회계위험변수 베타예측모형과 위험수준별 예측오차분석 (Accounting Risk Variables Beta Prediction Model and Forecasting Error Analysis by Risk Levels)

  • 박순식
    • 재무관리연구
    • /
    • 제16권2호
    • /
    • pp.215-241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중 금융 보험업을 제외하고 비교적 상장기업수가 많은 9개 산업에서 임의로 선정한 180개 표본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1989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를 분석대상기간으로 설정하여 베타계수 예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회계위험변수모형의 예측능력을 평가하고 위험수준별 예측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아울러 베타계수 추정시 사용된 수익률 측정간격에 빠른 베타계수의 안정성과 회계위험변수모형의 예측능력을 분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경우 수익률 측정기간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예측오차가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나 회계위험변수모형의 베타계수 예측능력이 우수하였으며 베타계수예측에 회계 변수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위험수준에 따른 베타계수의 안정성 분석에서는 중위험집단의 베타가 안정성이 높았으며 고위험집단에서 예측오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 불안정하였다. 회계위험변수모형의 예측능력은 위험수준에 관계없이 단순모형보다 우수하여 베타예측에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일반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익률 측정간격에 따른 베타계수의 안정성과 예측능력 분석에서는 월별수익률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주별수익률을 이용하는 경우 추정베타의 안정성이 높고 베타계수 예측모형의 예측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LS베타를 수정하지 않고 이용하는 경우보다 Bayesian 기법으로 수정한 Bayesian수정 베타를 이용할 경우 예측오차가 감소하여 Bayesian 수정기법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 PDF

반도체 산업에 적용 가능한 HAZOP 기법 연구 (A HAZOP(HAzard and Operability) Study for Practical Method in Semiconductor Industry)

  • 김형석;한수진;이영순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17-322
    • /
    • 2002
  • 위험성 편가의 목적은 현재의 위험 상태를 평가하고 이들 위험이 허용가능한가를 평가하여 시스템의 개선과 위험을 감소시기는 데 있다. 기업에서 모든 위험을 Zero화 시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이탈 상태를 파악하고, 안전경영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운영해야 한다. 이에 필요한 것이 위험성 평가이며 위험성 평가의 필수적인 요소는 정량화를 통하여 허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있다.(중략)

  • PDF

정량적 방법을 이용한 위험분석 방법론 연구 (Methodology of Analyze the Risk Using Method of Determinated Quantity)

  • 박중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7호
    • /
    • pp.851-858
    • /
    • 2006
  • 위험분석은 조직의 특성을 반영하여 자산분석, 위협분석, 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조직의 주요 자산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기존의 TTA 위험분석 방법론은 전체의 개략적인 흐름은 제시하고 있으나, 각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행위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위협분석 단계에서는 어떠한 기준으로 각 위협을 어떻게 분류하여야 하는가하는 문제와 분류된 위협을 어떤 방식으로 위험도 계산에 반영해야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미흡한 현실이다. 또한 취약성 분석 단계에서는 발견되는 취약성을 어떠한 항목을 기준으로 분류하여야 하며, 발견되는 각 자산별 취약성을 위험분석의 위험도 산정에 어떤 과정을 통하여 반영해야하는가에 대한 제시 역시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TTA의 방법론에서 제시하고 있지 않은 위협분석과 취약성 분석 단계에서의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자산 가치 평가에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업무 영역 분류를 통한 유형자산 가치분석과 무형자산 가치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취약성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계산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국내 정보시스템의 현실을 반영하고, 환경적 취약성과 기술적 취약성의 영향력을 반영하여, 조직의 자산별로 수치화된 위험도 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위험분석 평가 대상조직의 자산별 위험도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ESG 성과가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ESG Performance on Firm Risk)

  • 최정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9-26
    • /
    • 2023
  •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성과가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과거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집중하던 투자자의 시선이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의 이익이라는 비재무적 성과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인 ESG 성과가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평가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ESG 성과는 세 가지 기업위험(체계적위험, 비체계적위험, 총위험) 모두에 대해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해관계자이론과 위험관리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ESG는 비체계적위험 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고 무차별적인 체계적위험도 감소시키고, 둘째, 투자자는 ESG 투자를 집행함으로써 투자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셋째, 기업은 ESG 경영의 보험기능을 활용함으로써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재무성과를 영위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정부는 합리적인 ESG 관련 규제를 통해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을 제고하면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유역특성 기반의 서울시 침수위험성 분석 (Flood Risk Assessment of Seoul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 김성은;강원삼;백종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38
    • /
    • 2022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기존 상습침수지역과 2010년, 2011년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피해를 바탕으로 34개의 침수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201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사업비 1조 5,300억여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정비, 펌프장 신설 및 증설, 저류조 신설 등 배수능력을 확충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형 배수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극한홍수 발생위험과 기상예측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배수시설의 용량을 증설하는 집중형 우수배제체계 중심의 침수관리만으로는 안전한 침수대응이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침수대응 다각화를 위해 유역의 자연적, 사회환경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52개 지표를 선정하고 서울시를 소규모 유역 단위인 163개의 배수분구로 구분하여 지표별 공간적 분포와 특성 분석을 통해 각 배수분구를 유형화하고, 유형특성에 따른 침수취약성과 잠재적 침수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여 침수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종 지표의 서울시 내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표별 공간적 분포 특성이 상이했으며, 지표별 최대/최소값의 차이가 수배에서 수백배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시 내외에 산포된 총 40개 기상청관측소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관련 지표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강우량, 여름철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등에서 지역적으로 최대 수백 mm의 강우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특성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침수발생 및 피해에 불리한 유역의 공간적 취약성이 높은 배수분구로는 봉천1, 송파, 길동, 미아, 상계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배수분구는 이문, 정릉, 제기1, 장안, 전농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과 침수피해에 불리한 공간적 취약성이 모두 높아 침수위험성이 큰 배수분구는 상계1, 미아, 장위, 창동1, 동선, 수유2, 방학, 길동, 월계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자 및 프로젝트 관리 위험 감소가 공공부문 IT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용자 지식의 조절효과 (Impacts of Low User and Project Management Risk on IT Project of Public Sector: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 Knowledge)

  • 이수인;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87-196
    • /
    • 2020
  • IT 프로젝트 성과를 위한 두 가지(위험 기반, 지식 기반) 주요 관점을 통합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민간부문보다 상대적으로 제약이 많은 공공부문 IT프로젝트가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 관리할 요인으로 사용자 지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과에 미치는 2가지 유형의 위험(사용자 관련 위험과 프로젝트 관리 위험) 요인을 실증분석하였으며, 사용자 지식을 조절효과로 검증하였다. 공공기관 IT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132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Smart PLS 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낮은 사용자 관련 위험과 낮은 프로젝트 관리 위험은 IT 프로젝트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 지식은 사용자 관련 위험과 낮은 프로젝트 관리 위험이 IT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적 연구결과의 반복적인 검증이자, 공공부문 IT 프로젝트에서 갖는 사용자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통계적 고찰과 수목분포에 따른 열량분석을 통한 산림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 through statistic examination and calorie analysi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 김광일;김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7-32
    • /
    • 2000
  • 산림에 대한 화재 위험성 평가는 산불의 예방, 진화 및 관리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단일 화재로서는 축내 최대 규모인 1997년 4월에 발생한 강원도 고성산불과 2000년 4월에 발생한 강원도 영동지방 산불은 이러한 화재위험성 평가의 필요성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의 사용하고 있는 위험도의 표현은 기상인자에 의해 연료가 화재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을 나타낸 것으로 습도측정봉 무게 환산식을 통해 산불 발생 위험지수 산정하여 산불경보시스템을 사용하며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지역별 종합적인 산림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해서는 주요 인자들의 위험성을 측정하고 통계적 고찰을 통한 위험성 평가를 표현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통계적 고찰을 통해 발생 빈도와 피해의 심각성을 분석하여 위험성을 평가하였고 수목의 열량적 가치를 시차주사열량계 실험을 통해 분석하여 수목분포도에 따를 열적 상대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