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과측정모델

Search Result 52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Usability Return On Investment Framework Based on Balanced ScoreCard (균형성과지표를 활용한 Usability 투자 성과관리 Framework 개발)

  • 이주환;윤명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41-1242
    • /
    • 2003
  • 본 연구는 Usability의 투자 성과관리(ROI: Return On Investment)를 위한 균형성과지표(BSC: Balanced ScoreCard) 관점에서의 Framework 개발을 목표로 한다. 2000년 이후 Usability에 대한 투자 규모는 높은 증가세를 유지해 왔으나 대규모 투자가 진전되는 가운데 Usability투자의 수익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그 효과(Effectiveness)는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Usability 투자에 대한 시스템적 성과관리를 위해 개발된 Usability BSC Framework은 BSC의 4가지 관점에서 Usability 투자성과관리에 대한 변형된 관점의 모델을 제안한다.

  • PDF

Web-based Performance and Informatization Measurement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z (건설산업의 성과 및 정보화수준 평가를 위한 웹기반 시스템)

  • Yu, Il-Han;Kim, Kyung-Rai;Jung, Young-Soo;Chin,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92-97
    • /
    • 2006
  •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mainly relied on financially focused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studies on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PMSs) have been carried out at the project level. However, recently, the demand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at the company level has increased. A few previous efforts have aimed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for company performance, but there have been few follow-up studies. From this perspective, we have developed a web-based performance and informatization measurement system to measure and compare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Then, we carried out a performance evaluation and system test using the data set of 78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nd identified practical issues for the implementation of our PMS.

  • PDF

VAR를 이용한 금융위험 측정

  • Yu, Il-Seong;Lee, Yu-T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0 no.1
    • /
    • pp.191-214
    • /
    • 2004
  • VaR에 의한 금융위험의 측정은 국제결제은행 바젤위원회의 내부모델 허용에 힘입어 금융산업에서 표준방식으로 확고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주식시장포트폴리오를 거래투자자산으로 보유한 경우의 VaR를 극단치이론에 입각하여 측정하고 이의 성과를 RiskMetrics의 성과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GPD의 모수적 추정에 의한 VaR의 사후검정결과는 표본내 사후검정이나 표본외 사후검정에서 어떤 신뢰수준에서도 기대되는 범위와 크게 벗어나지 않은 안정된 결과를 보였다. RiskMetrics의 EWMA방식도 역시 표본내와 표본외 사후검정 어느 경우에나 기대되는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높은 신뢰수준에서는 그 성과가 GPD Va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안정하였으며 위험의 과소평가 성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모수적 GEV추정에 입각한 VaR의 경우에는 위험을 과대평가하고 지나치게 보수적인 성향을 나타내었다. GPD의 모수적 접근에 의한 VaR 측정은 다양한 신뢰수준에서 정확한 검정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간적 흐름에 따르는 VaR의 행태도 지나친 변동성을 보이지 않아 외부규제 및 내부통제를 위한 금융위험의 측정지표로서 실용적인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시스템 설계를 고려한 최적 투자할당방법

  • 조규갑;문병근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237-248
    • /
    • 2004
  • 투자성과평가에서 주요 이슈 중 하나는 최적의 투자규모, 즉 자원할당을 결정하는 것이다 기존연구에서는 서열모델, 평점모델, 경제성 모델, 포트폴리오 모델, 위험 분석 및 의사결정모델, 조직 의사결정모델 등 많은 모델들이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되어 왔다. 시스템에서 성과측정은 시스템 설계와의 일치가 요구되므로, 자원할당도 시스템 설계와 연계되어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원할당방법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자원할당모델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모델 개발시에 시스템 설계에 대해 고려하고 있는 문헌은 거의 없다. 본 논문은 투자목표를 최대로 하기 위한 최적 자원할당방법에서 시스템 설계를 고려하기 위하여 시스템 설계분해개념에 기초한 자원할당방법의 절차와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원할당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Causal Relations among BSC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es - Focused on the case of C University Hospital - (BSC 성과측정지표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C대학병원 사례 중심으로 -)

  • Shin, Seung-Kwon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0 no.2
    • /
    • pp.119-133
    • /
    • 2007
  •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whether BSC, a management renovation method, is as effective in university hospitals, which are non-profit institutions, as it is in profit-making corporations. In order to determine causal relations among the BSC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es, we analyzed a case of university hospital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 among the BSC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e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fore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all accepted. Future research needs to study causal relations among the BSC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es from the viewpoint of the learning of financial data, growth, internal processes, and customers.

  • PDF

대학중심의 지역기업, 지방정부 및 연구기관 연계를 통한 창업혁신활동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Byeon, Yeong-Jo;Lee, Sang-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79-85
    • /
    • 2019
  • 대학의 지역 공헌활동에 대한 역할 증대, 학령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이에 따른 재정문제에 대비한 대학의 수익원 창출 노력 등, 대학을 중심으로 재정, 지역연계 역할, 정부 및 연구기관과의 활동 등 대학과 지역의 상호발전을 위한 현실적 과제가 증가됨에 따라 대학 스스로 내부자원을 활용한 발전계획을 기획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 또는 지방정부의 대학재정 지원 시, 이러한 활동의 표준을 정해보고 활동에 대한 측정 등을 할 수 있는 지표 설정이 필요하다. 기존 대학의 지역연계 활동과 성과지표 선정 등에 대한 다양한 보고서와 논문 등을 선행연구로 하고 대학 중심의 창업지원과제 등을 중심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창업혁신활동 주체를 도출, 이들과의 협력관계에 대한 내용을 선별하고 이를 투입, 활동, 실적, 성과 등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활동 및 주체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학계, 창투사, 연구기관의 창업관련 다양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측정변수에 대한 타당성 측정 및 AHP 분석을 통한 변수의 적합도를 분석하여 창업활동 주체 및 평가지표 등을 도출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대학은 지역의 기업, 정부/공공기관, 연구기관, 투자기관 등과 협업 연계할 수 있는 주체간의 연관가능 활동과 해당 기관의 자원을 연계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모델 및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및 주요 내용을 도출 할 수 있었다.

  • PDF

Intelligence level Measurement Model for Smart Home Appliances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등급 측정을 위한 모델 개발)

  • Lee Hwan-Beom;Nam Yeong-Ho;Gwon Su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387-395
    • /
    • 2006
  • 홈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의 여러 응용분야 중 활발하게 연구 구현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로, 최근 아파트 건설업체, 가전기기 업체, 통신서비스 업체들이 지능성을 갖춘 스마트 홈을 목적으로 다양한 시험제품과 솔루션을 출시 흑은 제시하면서 이를 자사의 중요한 마케팅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스마트 홈 기기의 제품 경쟁력은 제품이 얼마나 지능성을 갖추어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에 대한 측정기준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정보가전기기를 지능성 측정 대상으로 하여 지능등급 부여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능형 홈 기기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로봇분야의 다양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지능성 측정에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를 도출 및 재 정의하여 등급모델을 설계하였다. 특히 설계된 등급부여모델의 실질적 이용을 위해서는 평가방식에 있어서 계량화 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평가모델의 특성상 다차원적인 지능성의 속성을 총합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퍼지이론(Fuzzy Theory)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정규화하기 위해 퍼지적분(Fuzzy Integral)을 이용하였다. 산출된 적분값을 다시 비퍼지화하여 지능성 등급을 부여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지능성 등급부여 모델은 스마트 홈 네트워크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Social Impacts of Archives through Outcome-based Evaluation (성과평가에 기반 한 기록관의 사회적 영향 분석 연구)

  • Park, Sung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7 no.1
    • /
    • pp.73-92
    • /
    • 2017
  • Archives identify and preserve records created by society. By making them available to people, archives can be a means of support to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to measure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Reviewing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on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this study's model is based on the logic model, an outcome-based evaluation model, given that impact is not only followed by outcomes but can be the outcome itself. The scope of social impact is limited to community empowerment in terms of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model. The model, which includes short-, medium-, and long-term outcomes, could be used to measure changes i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archive users, and the social engagement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those changes in the community. The proposed model could include final outcomes that indicate the increase of community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civil society eng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is validated through apply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A Study on the effects of business model and product innovation on the performance of firms in mobile ecosystem (모바일 생태계에서 비즈니스 모델과 제품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Il-K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0
    • /
    • pp.243-2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actors that affect business model and product innovation on the enterprise performance of the mobile ecosystem, and to confirm the results of whether they have an effect. To this end, through prior research, business model factors and product innovation factors were defined in the mobile ecosystem that was the mother of the 4th industry, and a hypothesis that each factor will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xploratory surveys and interviews, the value proposition of the business model prov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financial and non-disaster performance of the company, and the innovation was prov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It was analyzed that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product inno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financial factors of a company, and the initial market entr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non-financial factors. With this study, we propose the criteria for reviewing the performance of companies that are rapidly compet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erms of business model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 with Reference to BTO (Build-Transfer-Operate) Road Projects - (민간투자사업 성과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 - 도로 부문 사업을 중심으로 -)

  • Park, Hyeon;Park, Inseok;Lee, Sh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9 no.2
    • /
    • pp.83-95
    • /
    • 201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that appropriately reflects the important traits that are unique to PPP projects. To this end, 1) it defines a set of distinct perspectives involved in the PPP projects and their associated success factors that might differ amongst the perspectives; 2) it identifies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sugges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indicator; and 3) it builds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y matching the success factors from each perspective with performance measure criteria as well as applies the model to the two selected BTO road projects in Korea. The process of model construction and its application confirm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in stakeholder perspectives typically involved in PPP projects,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an evaluation model tailored for PPP projec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stinct perspectives. The results from the PPP evaluation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is compared against the results from the existing ex-post evaluation model for construction projects in general. The former shows a closer match with the results from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This new evaluation framework and the performance indicators entailed in it permits a balanced evaluation of PPP projects as it takes into account different perspectives involved in PPP projects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PPP projects. While the construction of the model is based on transport projects, it is applicable to different types of PPP projects through variation with the weight allocation amongst different success factors and/or additions or other adjustments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a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