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과중심 평가

Search Result 1,44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u, Seung-Hun;Lee, Jong-Sik;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Recent Trends of the Assess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in the Context of American Reg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미국의 대학평가인정기준에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평가기준의 최근 경향)

  • Suh, Hye-Ra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2
    • /
    • pp.255-270
    • /
    • 2004
  • American Academic Accreditation System was reviewed. Current accreditation standards of the six regional accreditation associations were analysed with reference to the evaluation of academic libraries. That analysis was led to the recognition of some trends; mission and goal based assessment, qualitative evaluation, emphasis on the student learning outcomes, emphasis on the teaching role of academic librarians, distance education, and less prescriptive text.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revision of the Korean academic accreditation standards related to libraries.

  • PDF

Learning & Growth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and General Performance (조직의 인적자원 학습 및 성장성과, 재무적 성과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Jang, Chung-Seok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1 no.2
    • /
    • pp.111-136
    • /
    • 2008
  • The cent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custom perspective, financial perspective, and general performa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Kaplan and Norton's(1996) Balanced Scorecard Model theory. A field survey was undertaken through questionnaire sampling a popula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85 firms in Korea for th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mpirical study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F=7.68, p=0.000). Especially, Financial perspective appear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financial perspectives and general performance. It concludes that Non-financial perspectives significant affect the financial perspective and general performance. But,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at should be noted. The potential limitation of this study concerns sampling and for selection process. Future research needs to reduce potential bias by collecting data which allows multiple industries for a subset of the sample.

  • PDF

Effectiveness of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환자-가족중심 의료서비스의 융합적 성과: 체계적 문헌고찰)

  • Yoo, Ji-Yeon;Ahn, S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6
    • /
    • pp.365-379
    • /
    • 2019
  • This review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interventions and evaluate the convergence effectivenes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earched, selected, data extracted and quality-assessed using the Risk of Bias in 15 databases. Characteristics suggested from 21 studies were provision of information, education, communication and family and friend participation. There were 89 measurement variables of performances. Patient outcome was measured by mortality, length of hospitalization, etc., indicated as significantly improved in 18 studies. This review has provided evidence that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improved experience and performance of diverse patients, families and health-care providers. There is need to convergence adopt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and conduct evidence-based studies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healthcare and patient safety in the future.

Performance evaluation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y using activity based costing (활동중심원가계산을 이용한 품질관리활동의 성과평가)

  • 이홍우;이진춘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7 no.1
    • /
    • pp.1-9
    • /
    • 2002
  • Though Quality Management(QM) is key determinant for corporate success as shown in Jappanese cases, however, its performance wasn't translated into the context of profitability, which is a good managerial means. Meanwhile the quality cost theory is a different attempt to measure the quality management performance with a financial scale, which doesnot have a reasonable measure. This study suggests a new approach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quality management using ABC(Activity-based Costing), and explains its usefulness with a case study.

  • PDF

The Effectiv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Focus Daedeok Innopolis Research Company (공공 R&D 기관의 효과적인 기술사업화에 관한 연구 -대덕특구 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 Yang, Young-Seok;Choi, Jong-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
    • /
    • pp.287-294
    • /
    • 2010
  • The focus of this paper falls on assessing how well rule of crafting government R&D institution spin-off companies(GRSCs), legitimatized to boost up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ions(GRIs) at Daedeok Innopolis in 2006, affect the better business performance of GRSCs, but also delivering alternatives of driving up their better business. First of all, this paper evaluate a management performance of GRSCs at the financial aspect by taking 5 different GRSCs cases among 16 to measure the overall performance of GRSCS'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econd, this paper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RSCs to bring the better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ird, this paper suggest soft program-centere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rather institution and ceremonial-oriented one, for GRIs. Overall, the outcomes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ccommodate the rule of GRSCs attaining goals set in the initial policy domain.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Yun, Mun-Do;Seo, Ye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3-783
    • /
    • 2017
  •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 균형성과표(BSC) 4가지 관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기관의 1주기 평가인증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대학 조직의 균형성과표(BSC) 및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기관평가인증제 즉,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의 정도,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대학 균형성과표(BSC)의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재무 관점의 4가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증하였다. 기존의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평가인증제 체제 자체의 성과와 각 평가요소에 있어서 대학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작 기관평가인증제가 평가인증의 평가대상인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기관평가인증제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고객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고객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와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학습과 성장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은 학습과 성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재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와 자체평가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교육체계 혁신이나 내부프로세스 효율성 향상으로 인해 교육의 질이 개선되어 학생의 만족도와 선호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안정적 재원확보와 재원의 효율적 관리를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인증 획득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를 통해 인증평가에서 요구하는 기준 이상을 충족하도록 학습과 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인구의 급감 등 급변하는 대학의 대내외 환경에서 생존을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평가인증제를 다양한 대학의 경영성과로 연계할 경영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효율적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및 관리 평가 방법론

  • 김진혁;최선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39-74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 연구개발 과제의 선정과 관리 체제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의 문제점을 방지하지 위한 연구개발 과제 선정·관리 체제의 효율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선정과정에서는 효율화를 위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정부주도의 연구개발 사업의 선정과정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관리과정에서는 프로젝트 수행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엄격한 성과 중심의 관리체제 도입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와 관련한 우리 나라의 현행 성과 관리체제 및 성과측정 방법에 관한 이론적 접근과 성과측정 모형 등의 성과 중심의 관리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 PDF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 Kim, Bok-Ki;Park, Jin-You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46-57
    • /
    • 2008
  • The core of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ty of graduates through CQI system based on outcomes. For the program outcomes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assessment, objective and curriculum.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rogram outcomes and the assessment. First the measure for improving the general problems of the program outcomes associated with assessment tool have been stated. And the detailed measure for practicing the program outcome, the assessment system and the assessment tool, which makes use of Rubrics, have been discuss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outcome and the assessment may be conducted at universities with the assessment tool establish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