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섭식장애증상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6초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섭식장애: 문헌 고찰 (Feeding Disorders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 민경철;신진용;김은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9-102
    • /
    • 2023
  • 목적 :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tic Spectrum Disorders, 이하 ASD)는 비전형적 감각 적응, 의사소통 문제, 상동 행동 등이 특징인 발달 장애로 섭식장애가 흔하게 동반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감각, 구강운동, 행동, 인지, 사회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까다로운 먹기, 선택적 먹기, 음식 거부, 새로운 음식 거부, 음식 다양성 제한, 음식 혐오 등 다양하다. 또한 건강 및 영양 섭취 문제, 섭식 발달, 섭식 관련 사회성, 가족과 보호자의 스트레스 등 다양한 문제가 동반되기도 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출생 후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단이 이루어지는 3세 이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중재 제공 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섭식장애 증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나 증상 자체는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서 조기 평가 및 중재,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의 섭식장애 특성과 영향을 주는 요인, 중재법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문헌 고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로는 감각 기반 중재와 행동 기반 중재가 일반적이다. 감각 기반 중재는 음식 민감성, 행동 기반 중재는 음식 선택성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ASD 아동의 섭식장애 증상이 다양한 만큼 감각 및 행동 기반 중재를 기본으로 놀이와 참여, 구강운동, 식이와 일상생활까지 포함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를 위한 적절한 평가와 중재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상황으로 보다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작업치료사 등 연하재활 전문가는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ASD 아동의 섭식장애 해결을 위한 적절한 평가 및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섭식장애/이상섭식 여자대학운동선수와 일반여자대학생의 특성 및 위험요인 (Differentiation of Risk Factors between Female Collegiate Athletes and non-Athletes with Eating Disorders/Disordered Eating)

  • 정찬교;강형숙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1호
    • /
    • pp.619-62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섭식장애 증상이 있는 여자대학운동선수와 일반여자대학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위험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378명의 운동선수와 567명의 일반여대생이 참여하였다. 각 참여자는 자기기입형 검사지(섭식장애검사지/이상섭식 검사지, SATAQ, RSES)가 사용되었다. 운동선수집단에서 22명, 221명이 각각 섭식장애와 이상섭식으로 나타났으며, 비운동선수 집단에서 22명, 205명이 섭식장애와 이상섭식으로 분류되었다. 섭식장애와 이상섭식 증상을 가지고 있는 두 집단의 특성 중 각각 6가지와 7가지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섭식장애/이상섭식 증상이 있는 운동선수집단과 비운동선수 집단의 위험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마름에 대한 갈망과 자존감은 두 집단에서 필수요인이었지만, 운동선수집단에서는 신체불만족, 완벽주의, 내재화 요인 또한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섭식장애/이상섭식을 가지고 있는 여자 대학 운동선수들이 다양한 형태의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남성 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병리의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김성수;임수근;황보인;김율리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85-192
    • /
    • 2017
  • 연구목적 최근 남성에서 섭식장애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남성 섭식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섭식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남성 환자 32명과 대조군인 여성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및 여성 환자 간 섭식병리 및 공존정신병리를 비교하였으며, 면담도구로는 섭식장애검사(Eating disorders examination)를 사용하였으며, 설문평가로는 벡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와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 척도(Spielberger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체중관련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남성 환자 군을 대상으로 과거 체중감량의 정도와 섭식장애 병리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결 과 남녀 환자 간 내원 연령, 발병 연령, 이환 기간, 내원 시의 체질량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성 섭식장애 환자에서 여성 환자들에 비하여 병전 과체중 및 비만의 기왕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chi}^2=4.692$, p=0.03). 남녀 간 동반되는 불안 증상의 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 환자군에서 우울 증상의 정도가 낮았다(d=0.63). 남성 환자들에서 과거 체중감량 정도와 현재의 섭식장애 병리간 관련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는 한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섭식장애의 임상적 특징을 탐색한 첫 연구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남성 섭식장애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접근을 높이고 예방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뇌성마비 장애인의 구강관리

  • 김선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
    • /
    • 2009
  • 뇌성마비(Cerebral Palsy)는 임신 중이나 출산, 또는 신생아기에 발생된 뇌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중추성 자세 및 운동 장애를 말한다. 뇌성마비는 여러 가지 합병증 및 동반증상을 가지게 되는데, 그 증상들에는 지적장애, 언어장애, 간질, 시각장애, 자폐, 이갈이 및 섭식연하장애 등이 있다. 뇌성마비 장애인에서 나타나는 치과적 특징과 고려사항, 그리고 이들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연하재활치료 : 체계적 고찰 (Dysphagia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 A Systemic Review)

  • 전주영;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53
    • /
    • 2021
  • 목적 :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에 따른 연하장애를 증상별로 세분화하고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을 통해 검색하였다. PRISMA, PICOS를 이용하여 연구를 선정하고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한 문헌은 총 13개로 연구의 질적수준, 질환군, 평가도구, 중재방법, 중재 후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6편(46.15%),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는 7편(53.85%)으로 나타났다. 섭식장애 중재를 받은 아동의 연령대는 ASD는 2-8세, CP는 12개월-18세까지로 확인하였다. 평가영역에서 ASD는 행동평가, CP는 구강과 삼킴기능 평가영역이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에서 ASD는 행동수정이 가장 많았고, CP는 구강감각운동, 음식질감조절, 전기자극치료가 각각 동일한 빈도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후 치료효과에서는 모두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 적용되는 평가도구, 중재방법을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가 질환에 따른 평가와 중재 선택 시 임상가들이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인 섭식장애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개발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상화이론에 근거한 여대생의 섭식장애증상 경로모형 분석 (Analysis of Path Model Based on Objectification Theory for College Women's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 이은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8-8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tness of a path model based on the objectification theory and to expand it by including the new variables to explain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ED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44 college wom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self-objectification (SO), social physique anxiety (SPA) and EDS as the original variables in the objectification theory, and influence of mass media (IMM) and sex-role attitude (SRA) as the new variables.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12.0 and Amos 5.0 programs. Results: IMM and SRA showed direct effect on SO. IMM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PA and EDS. SRA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EDS, but only indirect effect on SPA. SO and SPA influenced EDS directly, and SO influenced indirectly EDS. Conclusion: Path analyses indicated support for the original theory and the expanded theory. It is necessary for repeated studies including various age groups of women to cla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objectification theory to Korean women's eating disorders. And it were recommended that we should promote womens' criticism of the image and message about the perfect female body presented in the mass media, and to highlight the relationship of gender equality to women's eating disorders in health education.

부모의 양육태도가 섭식장애의 발병과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Behavior Influence on the Onset and Severity of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 이정은;이정현;정영철;박준영;남궁기;박동화;김경란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3-11
    • /
    • 2015
  • 연구목적 한국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을 진단받은 환자 군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와 각 아형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가 발병 나이와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67명의 섭식장애 환자(신경성 식욕부진증, N=49 ; 신경성 폭식증, N=118)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보고식 설문지인 부모 양육행동 척도(Parental Behavior Inventory, PBI)를 시행하여 환자가 인식하는 부모님의 양육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섭식장애 검사 개정판(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EDI-2)를 통하여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발병 나이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16세 이후에 발병한 군보다 16세 이전에 조기 발병한 경우 낮은 아버지의 애정, 높은 아버지의 합리적 설명, 낮은 어머니의 과잉간섭을 보고하였다.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EDI-2)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에서 어머니의 애정, 합리적 설명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아버지의 애정, 어머니의 과잉기대와 합리적 설명이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발병 나이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 어머니의 애정이 높을 수록 EDI-2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섭식장애 환자의 평가 및 치료에서 가족의 기능과 인식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이 섭식장애 발병나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평가되었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뿐 아니라,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와 어머니의 애정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가족 기능에 대한 평가가 치료에 필수적임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초등학교 여학생의 섭식장애, 신체증상, 우울 및 건강통제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s,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d Health Locus of Control among Elementary School Girls in South Korea)

  • 성미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76-585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s,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d health locus of control.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done by using a constructive self-report questionnaire. A total of 464 elementary school girls were measured. The instrument was a constructive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136 item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WIN Programs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D,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score of eating disorders differed significantly by BMI : the score was highest in the group of obese students(F=4.208, P=.01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eating disorders was BMI.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elementary school girls need more education and counseling on diet. Also, we should take systematic efforts to reestablish the social standard of beauty to promote normal growth development.

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증상, 우울, 강박성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ting Psychopathology, Obsessive-Compulsion and Depression on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공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9-46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that might influence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n=135) who visited "M" clinic for eating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ugust 2007 using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Beck Depression Inventory,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and Self-Harm Inventory (SHI). Results: The participants scored high on self-harm as well as on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On the SHI, a high frequency of self harm behavior such as 'torturing self with self-defeating thoughts', 'abused alcohol', 'hit self', and 'suicide attempt' were found for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st eating psychopathology variables, depression, obsessive-compulsion, and self-harm behavior. 'Interoceptive awarenes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checking' (obsessive-compul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harm behavior. Conclusion: Futur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should focus on assessing the possibility of self-harm and suicidal attempts, especially in those patients with high levels of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or obsessive-compulsion. Early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c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self-harm and suicide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초등학교 5, 6학년 여학생의 비만도, 섭식장애, 신체증상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BMI, Eating Disorders, Physical Symptoms and Self-Esteem among Fifth Grade and Six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Girls)

  • 성미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82-289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eating disorders, physical symptoms and self-esteem.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collection was done by using a constructive self-report questionnaire, a total 231 elementary school girls were measured. The instrument was a constructive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115 items.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 WIN 10.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ncient. Results: The score of eating disorders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BMI : the score was highest in the group of obesity(F=4.53, p=.023). The score of physical symptoms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BMI : the score was highest in the group of obesity(F=3.16, p=.045).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MI and eating disorders(r=.247, p<.01), and BMI and physical symptoms(r=.186, p<.01). A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physical symptoms(r=.253, p<.01).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lementary school girls need more education and counseling on dietary. Also, to promote their normal growth development, the systematic efforts to reestablish the social standard of the beauty should be tak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