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섬지역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V Generation System in the Southwest Seaside Island (서남해안 도서지역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 특성)

  • Moon, Chae-Joo;Jin, Ou-Sam;Jung, Sang-Weon;Kwak, Wang-Shin;Song, Sung-Geun;Kim, Eui-S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116-1117
    • /
    • 2008
  • 본 연구는 서남 해안의 섬 지역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한 것이다. 발전소의 총 발전 용량은 806.4kWp 이고 고정식과 추적식이 복합적으로 시설되어 있다. 일사량을 측정하고 인버터의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전력 계통을 분석하였다. 인버터의 측정 및 분석결과 인버터는 효율이 평균 94.5%였고, 전력 계통의 분석은 파형 분석과 상 불평형 분석, 고조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파수 분석결과 전압은 THD가 2%, 전류는 1.5%로 양호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Soil properties of barrier island habitat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주요 사주 서식지 토양 특성)

  • Yi, Yong Min;Yeo, Un Sang;Sung, Kijun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3
    • /
    • pp.355-362
    • /
    • 2014
  • Changes of soil properties due to sedimentation and erosion in the river estuary may lead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lant growth and distribution, Then habitats in the river estuary that provide various ecological functions can also be influenced. Topsoil samples we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il properties of important barrier islands and habitat typ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samples were obtained from Phragmites communis and Scirpus planiculmis habitats, the tidal flats in the southern area of Eulsukdo, and in Mangeummerydeung, Baekhapdeung, and Doyodeung.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bulk density, pH, organic matter content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which we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vege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ith habitat types but no differences in water content and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which could be affected by soil textur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arrier islands. Results suggested that soil properties on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influenced first by geomorphic changes due to sedimentation and erosion, and then by the presence or type of vegetation. A range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soil water content and bulk density (physical properties), and organic content and pH (chemical properties) were correlated with seven other soil properties, at a level of significance higher than 90%. These asp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overall soil properties in the studied area.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Effectiveness During Climate Change Periods (이상기후 기간의 강수효율 변화특성 분석)

  • Kim, Gwang-Seob;Kang, Dong-Jin;Lee,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74-1177
    • /
    • 2008
  • 이상기후기간동안 유역의 수문 변화는 강수변화와 기온변화 등 복합적인 상관관계에 의하여 나타난다. 우리나라 지역의 최근 강수변화는 연 강수량의 증가 추세를 보이나 기온 또한 상승하므로 강수효율의 연변화, 월변화 및 지역 변화특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변화와 기온변화의 상관관계로 나타나는 월강수량을 월 증발량으로 나눈 P-E비 즉 강수효율을 분석하였다. 이상기후기간과 평년에 대한 강수효율 분석 결과 강수량의 영향이 지배적이고 기온이 강수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하겠다. 일반적으로 연 강수효율은 엘리뇨>평년>라니냐기간 순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일반적 특성과 달리 도시화된 서울과 인천지역의 연강수효율은 기후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으나 연 강수효율과 달리 월 강수효율변화는 매우 큼을 보였다. 고도 200m 이상인 점과 섬이라는 지역 특성으로 인하여 울릉도는 평년>라니냐>엘리뇨라는 타 지역과 상반된 강수효율 분포를 보였다. 남부지역으로 갈수록 엘리뇨해의 강수효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엘리뇨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지역은 북부지역 보다는 남부지역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엘니뇨해의 7, 8월의 강수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엘니뇨해의 7, 8월의 강수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엘리뇨 기간 9, 10월 강수 효율은 평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라니냐해의 강수효율 분포를 살펴보면 6, 9월에 강수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11, 12월 강수효율이 평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서울, 강릉, 울릉, 부산, 광주, 여수, 제주지역의 강수효율이 타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서울, 부산, 광주 지역은 고도의 도시화로 인해, 강릉, 울릉도, 여수, 제주 지역은 해양과 인접한 지형적 특성 때문이라 판단된다. 강수효율 또한 강수량이 집중되는 5월부터 8월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달은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lgok-Seongok Orebodies in the Gagok Skarn Deposit : Their Genetic Implications (가곡 스카른 광상 월곡-선곡 광체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성인적 의미)

  • Choi, Bu-Kap;Choi, Seou-Gyu;Seo, Ji-Eun;Yoo, In-Kol;Kang, Heung-Suk;Koo, Min-H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3 no.5
    • /
    • pp.477-490
    • /
    • 2010
  • The Gagok stratabound skarn deposit is the result of the intrusion of the Cretaceous granitic pluton into the Paleozoic calcareous rocks. The subvolcanic intrusion ranges in composition from quartz monzonite to granite porphyry with I-type, calc-alkaline and weakly peraluminous characteristics. Both endoskarn and exoskarn are developed at the Gagok Zn-(Pb) deposit, with more exoskarn than endoskarn.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Seongok and Wolgok orebodies can be treated in terms of self-organization. Sphalerites in the Gagok ore can also incorporate minor amounts of Mn, Cd, Cu and In.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orebodies vary because fractionation of a given element into sphalerite is influenced by forma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sphalerite in the ore. A group of high In/Zn and Cd/Zn ratios in ores, and low Mn/Fe ratios in sphalerites are correlated with proximal processes of a magmatic source. The pattern of minor/trace element variations in ores and sphalcrites can be used for petrogenetic interprctation, e.g., orebody zonation related to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fluid d sources.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Busan (부산광역시 동백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 연구)

  • Kim, Kyungwon;Lee, Kyong-Jae;Choi, Jin Woo;Yeum, Jung Hun;Ahn, In S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2
    • /
    • pp.205-2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method as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which is the district monument. The study area was $20,000m^2$ around the peak area in management as the nature sabbatical area. Vegetation structure type was classified with the criteria of topography, vegetation,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plan was derived from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s. Vegetation structure types were Management-Camellia japonica, Non-management-Eurya japonica, Non-management-Rugged area-Eurya japonica. As the result of vegetation structure, Pinus thunbergii dominated in canopy layer and Camellia japonica and Eurya japonica dominated in Type I and in Type II and III, respectively. Especially, Machilus thunbergii as the climax species in the warm temperate forest were distributed centering shrubs, and as the result of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reast height, middle size of Celtis sinensis and Machilus thunbergii were distributed in type I, II. Machilus thunbergii were distributed in range of 4 to 44 individuals through the all types. Mean age of canopy layer was 66 year-old and sub-canopy layer was 22.9 year-old. Shanon's species diversity was analysed from 0.5472 to 0.8646. As the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 of Dongbaek island, managed Camellia japonica forest was suggested to maintain the regular management and non-managed Eurya japonica forest was required to remove the Eurya japonica and plant the Camellia japonica. In case of non managed Eurya japonica forest in rugged area, vegetation succession was required to laurel forest.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Formicidae) in Korea(7) -Ant Fauna in Mt. Kyeryongsan- (한국산 개미의 분포에 관한 연구(7)-계룡산의 개미상)

  • 최병문;박경숙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0 no.1
    • /
    • pp.80-85
    • /
    • 1991
  • For the study of ant fauna in Mt. Kyeryongsan, we selected three areas and collected 317 colonies nine times from 1986 to 1990. The communities of ants were composed of 3 subfamilies, 23 genera and 45 species. Among them, Solenopsis sp. was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number of ant species distributed in each area was almost the same, and the species distributed uniformly in the nine subareas were Paratrechina flavipes and Aphaenogaster japonica. The number of species collected in the only one subarea were ten, and six among them were collected in the area of Sinwonsa temple, the westward slope. It is remarkable that Camponotus tokioensis, which is known to be distributed only in the island and coast so far, is found to be distributed in the area of Sinwonsa temple as well.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ngevity Degree in Korea (한국 장수도(長壽度) 변화의 공간적 특성)

  • Park, Sam-Ock;Jeong, Eun-Jin;Song, Kyung-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2
    • /
    • pp.187-21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evity phenomenon and long-live areas in Korea where a rapid aging process is undergoing. Population data from 1966 to 2000 at the county level are analyzed to understand aging process and changes of longevity degree by reg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longevity and a region's natural environments and distance to a metropolis has been analyzed to understand regional factors of longevity.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ural regions in Honam show the highest degree of longevity in the nation. Secondly, the areas of the high degree of longevity has recently shifted and/or expanded from the islands and seashore areas of southwestern region to inland mountainous areas around Soback Mountain. Southern islands and seashore regions used to show the nation's highest degree of longevity in the 1970s. Thirdly, the analysis of regional environment factors indicated that longevity has more related to a precipitation and an average altitude than temperature. Fourthly, in order to identify the longevity factors in urban area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beyond the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 PDF

Groundwater Recharge Using New Hydrologic Soil Group to the Island Area (신 수문학적 토양군에 따른 도서지역의 지하수함양량)

  • Lee, Seung-Hyun;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09-1913
    • /
    • 2008
  • 수자원의 공급적인 측면에서 내륙지역에 비하여 불리한 도서지역은 단기간의 가뭄에도 생활용수가 고갈되어 매년 상습적인 식수난을 겪고 있는 상태이다. 전국 3,170개 섬 중 491개 유인도에 831,295명(2003년)이 거주하고 있으나 상수도 보급률은 28.7%에 불과하다(환경부, 2005). 나머지 71.3%의 도서지역 주민들은 간이 급수시설, 우물, 지붕수 등을 생활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도서지역은 상수도 보급율이 열악하여 지하수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내륙지역에 비하여 높아 지하수자원을 통해 부족한 용수를 공급받아야 할 실정이다. 용수공급을 위한 지하수의 개발을 위해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도서지역의 지하수개발가능량 평가이며 이의 평가를 위해서는 지하수함양량의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수함양량 산정 기법 중 하나인 NRCS-CN방법은 선행강우조건, 토지피복상태, 수문학적 토양군 등의 인자들에 의해 산정되어진다. 수문학적 토양군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정화 등 (1995)에 의해 분류된 자료가 이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정광호 등(2007)에 의하여 수문학적 토양군이 재분류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RCS-CN방법을 이용하여 식수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14개 도서지역에 대하여 수문학적 토양군의 1995년 분류와 2007년 분류를 적용하여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1995년 분류와 2007년 분류에서 지하수함양량과 함양률은 개도, 생일도, 보길도를 제외한 도서지역은 1%미만의 차이로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도, 생일도, 보길도는 1995년 분류에 비하여 2007년 분류에서 $2.2%{\sim}2.8%$ 감소하였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수문학적토양군의 재분류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및 함양률의 차이가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연평균 함양량은 1995년 분류와 2007년 분류에서 수도가 590.8mm, 583.5mm로 최대값을 가지며 가파도가 270.2mm, 270.5mm로 최소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양률의 경우 1995년 분류에서는 개도가 29.8%의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가파도가 23.3%의 최소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분류에서는 사량도 상도가 28.5%의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가파도가 23.3%의 최소값으로나타났다.

  • PDF

Predicting Forest Fire in Indonesia Using APCC's MME Seasonal Forecast (MME 기반 APCC 계절예측 자료를 활용한 인도네시아 산불 예측)

  • Cho, Jae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7
    • /
    • 2016
  • 인도네시아 산불에 의한 연무는 동남아시아 인접한 국가들에 있어서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이다. 국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인도네시아의 산불은 건조기에 강수량이 적게 내리는 극심한 가뭄 조건에서 발생한다. 건조기 강수량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산불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산불을 사전에 예방하고 영향을 최소화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산불에 대한 선제적 사전예방을 위해서는 수개월의 선행예측 기간을 갖는 조기경보 시스템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산불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강수량 예측시스템을 개발하고 예측성을 평가하여 동남아시아 지역의 화재 연무 조기경보 시스템의 시제품(Prototype)을 개발하는데 있다. 강수량 예측을 위해서 APEC 기후센터의 계절예측정보의 활용 정도에 따라서 4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예측정보 기반의 방법들로는 대상지역의 강수량 예측을 위해서 대상 지역 상공의 계절예측 강수자료를 보정을 통해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SBC (Simple Bias Correction) 방법과 대상 지역 상공의 강수 예측자료를 사용하는 대신에 지역 강수량과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는 다른 지역의 대리변수를 예측인자로 사용하는 MWR (Moving Window Regression) 방법이 있다. 또한 예측자료의 사용 없이 과거자료 기반의 기후지수(Climate Index) 중에서 지체시간을 고려하여 지역 강수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경우 예측에 활용하는 관측자료 기반의 CIR (Climate Index Regression) 방법과 예측기반 MWR과 관측기반의 CIR 방법에서 선정된 예측인자를 동시에 활용하는 ITR (Integrated Time Regression) 방법이 사용되었다. 장기 강수량 예측은 보르네오 섬의 4개 지역에서 3개월 이하의 선행예측기간에 대하여 0.5 이상의 TCC (Temporal Correlation Coefficient)의 값을 보여 양호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예측된 강수량 자료는 위성기반 관측 강수량 및 관측 탄소 배출량 관계에서 결정된 강수량의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산불발생 가능성으로 환산하였다. 개발된 조기경보 시스템은 산불 발생에 가장 취약한 해당지역의 건조기(8월~10월) 강수량을 4월부터 예측해 산불 연무에 대한 조기경보를 수행한다. 개발된 화재 연무조기경보 시스템은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현장 실효성을 높여 동남아국가 정부의 화재 및 산림관리자들에게 보급함으로써 동남아의 화재 연무로 인한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Sea Water Intrusion in the Coastal Area of Cheju Volcanic Island, Korea (제주도(濟州島) 임해지역(臨海地域)에서의 해수침입(海水侵入))

  • Choi, Soon Hak;Kim, Young Ki;Lee, Dong Yo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4 no.3
    • /
    • pp.319-327
    • /
    • 1991
  • Cheju is the biggest island in Korean peninsula, consisted entirely of volcanic rocks and pyroclastic sediments. The topography is characterized by wide basalt plain in the low altitude but at the center of island, basalt volcano rises 1,950m above sea-level. Surface drainage is very poor, therefore water supply has been dependent on ground water and natural springs. There are about 1,650 production wells and most of them yield $1,000{\sim}2,000mm^3/day$. According to increase of ground water use, saline water is intruded in the low altitude of coastal area. Specially in the eastern coastal area, the topography is extensively flat and the level of ground water is very close to sea-level, at which overuse of ground water has brought saline intrusion up to maximum 6km far from the coast. Hydrochemical monitoring on this salt water intrusion is now undertaken on long term b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