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Characteristics of Longevity Degree in Korea

한국 장수도(長壽度) 변화의 공간적 특성

  • Park, Sam-Ock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oci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g, Eun-Jin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g, Kyung-Un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삼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정은진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 송경언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evity phenomenon and long-live areas in Korea where a rapid aging process is undergoing. Population data from 1966 to 2000 at the county level are analyzed to understand aging process and changes of longevity degree by reg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longevity and a region's natural environments and distance to a metropolis has been analyzed to understand regional factors of longevity.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ural regions in Honam show the highest degree of longevity in the nation. Secondly, the areas of the high degree of longevity has recently shifted and/or expanded from the islands and seashore areas of southwestern region to inland mountainous areas around Soback Mountain. Southern islands and seashore regions used to show the nation's highest degree of longevity in the 1970s. Thirdly, the analysis of regional environment factors indicated that longevity has more related to a precipitation and an average altitude than temperature. Fourthly, in order to identify the longevity factors in urban area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beyond the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과정을 겪고 있는 한국의 장수 현상 및 장수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66년부터 2000년까지의 인구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고령화 현상과 장수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장수의 지역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환경 및 대도시에 이르는 거리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호남권 농어촌지역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고령화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70년대 남부지역 섬과 해안을 중심으로 높은 장수도를 나타내던 것이 최근 내륙의 소백산맥 산간지역으로 이동 확장되어 장수지역의 공간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셋째, 지역환경요인 분석 결과 기온보다는 강수량과 평균표고가 장수도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도시의 경우 자연환경요인이 아닌 다른 사회 경제적 요인들 중에서 장수도 인자를 찾아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