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 성분

검색결과 992건 처리시간 0.024초

자색(紫色) 고구마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Ipomoea batatas))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9-825
    • /
    • 1995
  • 고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색고구마의 식량자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히고자 엷은 황색고구마와 동시에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자색고구마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함량이 2.01%, 무질소물이 25.73%였으며, 조지방이 0.25%로 엷은 황색 고구마보다 높았다. 총아미노산의 구성은 2품종 모두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및 valine이 주성분이었으며, 자색고구마일 경우 함유황 아미노산이 제1제한 아미노산이었다. 지방산의 조성은 2품종 모두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80% 이상으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더 높았다. 2품종의 고구마 모두 탄수화물 함량은 75%이상이었고 자색고구마의 중성당 함량은 67.22%로 이중 대부분은 glucose였다. 그리고 uronic acid는 11.88%, starch 59.42%였으며, 특히 자색고구마의 유리당은 엷은 황색고구마의 1/3 정도로서 고구마 고유의 단맛이 적었다.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 함량은 2품종 모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비타민 C의 함량은 자색고구마가 63.4mg%, 엷은 황색고구마가 48.7mg%였다. 다음 무기질 구성원소로는 자색고구마일 경우 K, Mg, Ca, Na 등이 주성분이었고, 그외 Fe, Mn, Zn, Cu, Al 등이 확인되었다. 총식이섬유는 자색고구마가 13.43%로서, 이중 수용성식이섬유가 7.74%, 불용성식이섬유는 5.69%였으며 또 엷은 황색 고구마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9.79%로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비슷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產) 맹종죽(孟宗竹) 죽순(竹筍)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Nutritive Components of Edible Bamboo Shoots of Phyllostachys edulis Produced in Korea)

  • 정종성;박남창;이창우;원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1호
    • /
    • pp.55-60
    • /
    • 1989
  • 진주시(晋州市) 가좌동(加佐洞) 산(山) 117림(林)에서 생산(生產)된 맹종죽(孟宗竹)의 죽순성분(竹筍成分)을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생죽순(生竹筍)과 죽순(竹筍)통조림의 성분분석(成分分析) 및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성분함량(成分含量)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생죽순(生竹筍)은 죽순(竹筍)통조림에 비(比)하여 주요성분(主要成分)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조섬유(組纖維), 회분(灰分) 및 열량(熱量)에서 성분함량(成分含量)이 높은 반면 수분(水分), 당분(糖分)의 함량(含量)은 낮았다. 2) 무기물(無機物) 성분(成分)은 공(共)히 K성분함량(成分含量)이 높았으며 특(特)히 Ca함량(含量)은 일본산(日本產) 성분분석치(成分分析値)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3) Vitamin A, $B_1$, $B_2$ 및 C의 함량(含量)은 생죽순(生竹筍)에서 월등(越等)히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4)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성분함량(成分含量)은 단백질(蛋白質), 당분(糖分), 회분(灰分) 및 열량(熱量)은 상부(上部)에서 가장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으며 조섬유(組纖維) 및 수분(水分)은 하부(下部)에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5)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Vitamin 성분중(成分中) A및 C는 중앙부(中央部)에 $B_1$은 상부(上部) $B_2$는 하부(下部)에 각각(各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 PDF

사과박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of Apple Pomace)

  • 이재호;김영찬;김미연;정헌식;정신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08-913
    • /
    • 2000
  • 사과쥬스 제조 후 대부분 폐기 처분되고 있는 사과박의 이용성을 증대하기 위해 사과박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사과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사과박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58 mg%, 총페놀 함량은 1048 mg%, 비타민 C함량은 19.8 mg%로 나타났으며 사과박의 식이섬유 함량은 총식이섬유 55.56%, 수용성 식이섬유 14.20%, 불용성 식이섬유41.36%로 나타났다. 사과박의 phenolic acid는 protocatechuic acid가 3.51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사과박의 flavonoid를 HPLC로 분석하였을때 phloridzin과 quercetin-3-glucoside가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함량은 48.87 mg%, 16.22 mg%로 나타났다. 사과박의 각 분획별 항산화능 시험에서 지용성 모델계에서 BHA와 ${\alpha}-tocopherol$보다는 낮지만 ethyl acetate 획분이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쥐 간조직을 기질로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 시험에서도 ethyl acetate 획분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열분해-GC에 의한 면/폴리에스터 혼방 직물의 분석 (Analysis of Cotton/Polyester Fabrics using Pyrolysis Gas Chromatograpy)

  • 조미숙;김명덕;박성우;윤기준;남재도;이종훈;이영관
    • 폴리머
    • /
    • 제27권3호
    • /
    • pp.271-274
    • /
    • 2003
  • 열분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Py-GC)를 이용하여 섬유의 동일성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면사, 폴리에스터,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사를 Py-GC를 이용하여 그 성분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면과 폴리에스터 성분은 각각의 특성 피이크를 나타내었으며, 특성 피이크의 면적은 각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에스터의 경우에 열분해로부터 생성되는 화합물의 성분을 질량 분광법을 이용하여 테레프탈산, 벤조산, 비닐 벤조산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지의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면과 폴리에스터의 함량을 정량 분석할 수 있었다.

기계적 표면 처리된 TITANIUM PLASMA SPRAYED IMPLANT에 대한 치은섬유아세포전개양상의 형태학적 관찰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TTACHMENT AND SPREADING ON THE MECHANICAL TREATED TITANIUM PLASMA SPRAYED IMPLANT SURFACE)

  • 황연희;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741-755
    • /
    • 1995
  • 구강내 매식된 임프란트가 과도한 교합력이나 염증등의 이유로 구강내로 노출되었을 때 세균독소에 이완된 면을 제거하고 평활한 면을 형성하여 주위의 연조직, 경조직에 적합한 상태로 만들어 건강한 상태로 구강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임프란트 매식체 표면을 기계적인 표면처리방법으로 처치하여 이러한 방법이 임프란트 표면성분, 치은섬유아세포의 전개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행하였다. IMZ사에서 제작한 직경 10mm, 높이 2mm의 원판 타이타늄을 이용하여 피막되지 않은 타이타늄면과 TPS면을 대조군으로 하고 기계적인 표면처리방법인 low speed stone bur처치면을 실험군으로 설정한 후 EDX로 타이타늄 표면성분을 분석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치은섬유아세포의 전개양상을 관찰하였다. EDX에 의한 타이타늄 표면성분분석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titanium peak, 소량의 aluminum이 나타났으며 그외의 성분은 나타나지 않았다. 치은섬유아세포의 전개양상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평활한 타이타늄면에서 접종 30분 후 세사상돌기와 박판엽상으로 확장된 세포가 많이 관찰되며 6시간 후 신장된 치은섬유아세포가 시편에 밀착된 양상을 보였고 24시간 후 치은섬유아세포는 시편의 모든 면을 피개하며 가공시의 평행한 선을 따라 방향성을 띄었다. TPS가 잔존한 stone처치군에서 세포 접종 30분 후 세사상돌기가 적게 관찰되어 평활한 타이타늄면에 비해 초기부착이 늦은 것을 알 수 있었고 6, 24시간후 치은섬유아세포는 거친면으로 인해 시편에 밀착되지 못한 양상을 보였으나 평활한 타이타늄면과 연결되며 시편의 모든면을 피개하였다. TPS군에서 치은섬유아세포는 세포 접종 30분후 세사상돌기를 거의 찾아 볼 수 없어 초기부착이 다른군에 비해 늦으며 세포배양 6, 24시간후에도 시편에 밀착되지 못하고 박판상돌기가 가늘고 길게 돌출되어 여러면에 부착된 양상을 보였으며 세포가 부착되지 않은 TPS면이 관찰되었다.

  • PDF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대한 다양한 곡류 메탄올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Various Grain Methanolic Extracts against UVB-induced Photo-aging in Human Skin Fibroblasts)

  • 전지영;양진우;성지혜;성예지;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1-217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는 곡류를 사용하여 UVB를 조사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항산화 효능과 MMP-1 및 수용성 콜라겐의 변화를 측정하여 광노화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곡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을 측정하고,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과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7종의 곡류 추출물(백미, 현미, 보리, 율무, 귀리, 수수, 흑미)은 $30mJ/cm^2$ UVB에 노출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광노화에 대해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곡류 추출물의 처리는 UVB 조사에 따른 MMP-1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수용성 콜라겐의 분해를 저해하였으며, ROS의 생성도 억제하였다. 7종의 곡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흑미와 수수가 다른 곡류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곡류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분석 결과, 폴리페놀 함량이 높을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R^2=0.9936$), ABTS 라디칼 소거능($R^2=0.9456$)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곡류 추출물은 항산화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높은 항산화 활성을 지녔으며, UVB 조사에 의한 ROS로부터 보호하여 MMP-1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수용성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시켜 광노화 보효호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곡류 추출믈의 항산화 및 광노화 보호효능 입증으로 곡류 추출물을 항주름 기능성 소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역해석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 예측 (Evaluation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Constituents in Composite Materials using an Inverse Analysis Scheme)

  • 임재혁;손동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393-401
    • /
    • 2014
  • 복합재료 구성성분은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험을 통한 정확한 물성 측정이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역해석을 이용하여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복합재료에 대한 등가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Mori-Tanaka 기법과 결합된 역해석기법을 이용하면, 라미나 수준의 목적함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섬유(glass fiber, P75, P100, M55J)에 대한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이를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라미나와 기지 물성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섬유 물성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용융방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섬유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lt Spun Fibers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 Blends)

  • 조준한;최경식;김상용
    • 유변학
    • /
    • 제1권1호
    • /
    • pp.63-70
    • /
    • 1989
  •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혼합하여 블렌드를 만들었다. 압출물의 morphology 와 유변학적 성질을 측정하고 그 용융하고 섬유의 X-선 회절, 인장 성질, 복굴 절률등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파단면의 SEM 사진으로부터 폴리에티렌 성분비가 25%, 50% 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 75%에서는 폴리에틸렌이 연속상을 이루며 분산상은 고르게 분포함을 알았다 점도와 용융탄성은 모두 폴리에틸렌이 폴리프로필렌보다 크며 블렌드에서 는 그중간에 위치 하였다. 폴리에틸렌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압풀물의 제 1법선 응력차는 증가하였고따라서 방사 섬유의 복굴절률도 증가하였으며 초기 탄성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으나 결정 배향도는 조성 의존성을 갖지 않는다. 두 고분자의 비상용성으로 인해 강도는 짓선성에서 벗어나는 거동을 나타내었다.

  • PDF

3성분계 복합유기섬유 혼입율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 (Fire Resist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Depending on Ternary Blended Organic Fiber)

  • 박천진;한상윤;백대현;한민철;양성환;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97-398
    • /
    • 2010
  • 본 연구는 PP, NY, CL의 유기섬유 조합비율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PP+NY+CL=0.02+0.01+0.02의 경우가 여타의 섬유 조합보다 내화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최적조합비율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의 유변학적 성질 및 함유물의 용출 성분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ntaining Sodium Alkylbenzenesulfonate and the elution Property of the Ingredient)

  • 박승구
    • 유변학
    • /
    • 제3권2호
    • /
    • pp.175-185
    • /
    • 1991
  • Sodium octylbenzenesulfonate(SOB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SDBS)를 폴리프로필렌(PP) 용융액에 각각 균일하게 서로 다른 함량으로 섞어 넣은 후에 용융압착법 으로 PP 필름을 제조하였다. 저장 점성도(η') 저장탄성률(G') 및 손실 탄성률(G")을 진 동식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170~195$^{\circ}C$에서 측정하였다. 실험온도 범위내에서 첨가제를 함유 한 PP와 순PPrks에 Cole-Cole 플롯(G'에 대한 G"의 log-log 플롯)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전단속도에서 SOBS의 첨가량이 8%를 넘어서면서 η'과 G'은 증가하였 다. 이러한 현상은 PP 중에서의 첨가제의 응집효과로 설명되었으며 이것은 SOBS와 SDBS 를 함유하는 PP 필름의 시차 주사열량법 및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결과로 확인되었다. SDBS를 8% 미만 함유하는 PP로부터 섬유의 용융방사가 가능하였으나 SDBS3% 이상 함 유PP 방사섬유는 연신 과정중에 섬유의 절단이 이따금 일어났다. PP 기질내에 있어서의 SDBS의 뜨거운 물에대한 견뢰성을 SDBS와 C. I. Basic blue 41사이의 이온결합 형성 거동 에 바탕을 두어 가시분광법에 의하여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