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 방향성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3초

연속 섬유의 펼침에 대한 기술 현황 및 적용 (Review : Continuous Fiber Tow Spreading Technologies and Its Applications)

  • 노정우;이우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55-159
    • /
    • 2013
  • 연속 섬유의 펼침에 대한 기술 현황 및 이의 적용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정리되었다. 이론적 접근을 통해 연속 섬유 펼침의 효과를 소개하였고, 섬유 펼침 수단과 섬유 펼침 장치의 공정 상 위치를 기준으로 연속 섬유의 펼침에 대한 기술을 분류 정리하였다. 또한, 각 기술의 일반적인 섬유 펼침 원리, 기술적용 및 기술의 장 단점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향후 연속 섬유의 펼침에 대한 기술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고려되었다.

레이저 섬광법을 이용한 Carbon/Phenolic 및 Silica/Phenolic 내열복합재료의 열전도도 분석 (Analysis of Thermal Conductivities of Carbon/Phenolic and Silica/Phenolic Ablative Composites by Laser Pulse Method)

  • 김희영;김평완;홍순형;김연철;예병한;정발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75-83
    • /
    • 1999
  • Carbon/Phenolic 및 silica/phenolic 내열 복합재료의 강화재의 종류와 적층방향에 따른 비열, 열확산 계수, 열전도도를 분석하였다. Carbon/Phenolic 및 silica/phenolic 복합재료의 비열은 시차 주사 열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열확산계수는 레이저 섬광법을 이용하여 laminar와 평행방향과 laminar와 직교방향으로 측정하였다. Carbon/Phenolic 및 silica/phenolic 복합재료의 열확산계수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Carbon/Phenolic 및 silica/phenolic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를 밀도, 열확산계수 및 비열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열전도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carbon/Phenolic의 경우 laminar와 평행방향의 열전도도가 laminar와 직교방향의 열전도도보다 2배 높은 이방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carbon 섬유의 열전도도 이방성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이차원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를 기지와 강화재의 열전도도와 부피분율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Carbon/Phenolic 및 silica/phenolic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를 적층방향에 따라 강화재와 기지의 열전도도를 이용하여 해석하여 carbon 섬유와 silica 섬유의 열전도도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섬유의 열전도도와 기지의 열전도도로부터 섬유의 부피분율에 따른 복합재료의 상온열전도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새로운 1000년의 건설재료 (건설을 위한 복합재료)

  • 김덕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24
    • /
    • 2000
  • 이 글에는 문화사적으로 고려한 건설공학의 위치와 구조물의 제 5 기본 개념으로서의 복합재료 그리고 건설 재료로서의 섬유 복합재료의 대두는 역사적인 필연성에 의한 것임이 설명되어 있다. 여러 나라에서의 섬유 복합재료의 건설에 대한 응용 현황과 여러 학계의 움직임이 설명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 PDF

다구치 기법을 사용한 나노클레이가 첨가된 아마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충격 거동 및 연소 특성 (Impact and Fire Retardant Properties of Flax Fiber Reinforced Nanoclay Composites by Taguchi Method)

  • 원천;김진우;이동우;김병선;송정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89-1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방향, 직교방향, 임의의 방향 총 세 방향성을 가진 아마섬유에 첨가형 난연제로 널리 쓰이는 나노클레이를 분사한 뒤, 이 섬유를 복합재료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나노클레이는 분산성이 다른 세가지 분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제조에 사용한 기지재는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과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이다. 다구찌 실험계획법을 이용해서 실험을 단순화 하였으며, 실험결과 인장강도, 탄성계수, 총 충격흡수에너지, 열 방출율에 대한 최적의 복합재료 제조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알루미나 장섬유 강화 복합금속재의 피로균열성장거동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of a Continuous Alumina Fiber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 Materials)

  • 김두환;박희정;박희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29-36
    • /
    • 1991
  • 장섬유 강화 마그네슘 복합제(FP/ZE41A)의 피로 균열 성장 거동에 대한 열처리 효과를 규명한 것으로 TEM관측에 의해 알루미나 섬유와 마그네슘 복합 매트릭스간의 상호 접변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풀림을 실시하였다. 피로 균열 성장 방향에 수직한 섬유와 평행한 섬유들에 대한 피로 균열 성장 거동에 관한 실험을 실시 한 바, 피로 균열 성장 방향에 수직한 시험편의 경우 열처리를 실시한 시험편은 잔류 응력을 제거시키지 않은 시험편에 비해 피로 균열 성장에 대한 더 많은 저항성을 갖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반해 피로 균열 성장 방향에 평행한 시험편의 경우는 잔류 응력을 제거시키지 않은 시험편 이 열처리를 실시한 시험편에 비해 더 많은 피로 균열 성장 저항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피로 균열 성장 거동에 대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피로 파괴 표면에 대한 연성 파열과 섬유 박리를 SEM관찰한 결과 열처리는 피로균열 성장 거동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섬유와 매트릭스 상호면의 강도를 약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소성이방성 솔리드 유한요소법 활용을 위한 목재 재료 모델 생성 연구 (Elasto-plastic Anisotropic Wood Material Model for Finite Solid Element Applications)

  • 홍정표;김철기;이전제;오정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67-375
    • /
    • 2014
  • 삼차원 솔리드 유한요소 방법을 이용한 목재 거동 해석을 보다 효율적으로 손쉽게 활용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목재재료모델 생성 방법을 개발하였다. 2단선형 탄소성이방성 이론에 근거하여 목재의 주요 세 방향 즉, 섬유, 방사 및 접선방향의 구성방정식을 정의하였다. 목재재료상수 결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방사방향과 접선방향의 특성을 섬유직각 방향으로 통합하고, 요구되는 총 27개의 재료입력상수를 방향별 탄성계수와 항복응력, 그리고 프와송 비를 포함하는 6개의 독립상수로 단순화하였다. 개발된 목재재료모델을 이용하여 북미 더글라스 퍼 압축시험에 대한 삼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개발하고 주요 세 방향에 대한 실험 측정치들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였다. 성공적인 모델해석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척되어야 할 연구개발 방향과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논의하였다.

PHA 및 PHA-PAA 공중합체의 열적 고리화 거동 (Thermal Cyclization behaviors of PHA and PHA-PAA Copolymers)

  • 이광희;김명균;백두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9-360
    • /
    • 2001
  • 헤테로고리 방향족 polybenzoxazole(PBO)은 대표적인 내열성 고분자로서, 고온에서의 열적안정성 및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 방염성 등에서 우수한 성질을 나타낸다. 그러나 황산과 같은 강산에만 용해되기 때문에 가공성 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하는데 있어 제약이 따른단 현재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polyhydroxyamide(PHA)와 같은 전구체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UHPCC 휨부재 제작 시 타설 중 충전방향에 따른 휨인장거동의 변화 (Comparison of Flexural Tensile Behaviors with Different Filling Directions in Producing UHPCC Flexural Member)

  • 강수태;류금성;고경택;김선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447-455
    • /
    • 2014
  • 본 연구는 UHPCC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에서 섬유배열 유도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흐름특성을 달리한 다양한 방법으로 UHPCC 부재를 제작하여 휨거동의 변화를 비교하고, 섬유 배열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섬유배열 유도방법에 따라 휨거동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휨실험체 제작방법으로, 섬유가 주인장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유도한 경우가 다른 방법으로 제작된 휨실험체에 비해 더 높은 휨인장강도와 낮은 변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실제 UHPCC 부재에서의 재료의 휨인장강도는 실험실 수준에서 측정한 휨인장강도와 비교하여 크게 다를 수 있고, 변동성도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편, UHPCC의 유동흐름에 따른 섬유의 배열특성의 변화를 흐름의 종류 및 경계면 효과를 고려하여 정성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러한 예측결과는 실험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유도된 유동흐름에 따른 휨인장거동의 변화를 잘 설명하였다.

축방향 압축 하중을 받는 횡등방성 복합재료 쉘의 좌굴거동 (Buckling Behavior of Transversely Isotropic Composite Shells Subjected to Axial Compression)

  • 김성도;정진환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3호
    • /
    • pp.229-239
    • /
    • 1998
  • 복합재료는 강도-무게비가 다른 재료들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부재의 좌굴문제가 대단히 중요하게 취급되며, 본 논문에서는 축방향 압축력을 받는 복합재료로 된 쉘 부재의 좌굴해석이 수행된다. 이 재료는 일반적으로 이방성 재료 특성을 나타내 보이나, 섬유들이 한 방향으로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 섬유방향에 연직한 평면에서의 강도나 탄성계수들은 모두 일정한 횡 등방성 재료성질을 가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9 절점 degenerate 쉘 유한요소를 사용한 선형안정해석, LUSAS 범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해석, 그리고 고전적 쉘 좌굴방정식에 의한 해석들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고려된 등방성 재료나 횡 등방성 재료의 경우 모두, degenerate 유한요소해석으로 계산한 임계하중들은 고전적 이론해에 의한 결과들 보다 낮았으며, LUSAS 결과들과는 거의 같았다. 이는 degenerate 유한요소에 의한 선형안정해석 결과들이 안전측에 듬을 의미하며, 복합재료로 된 쉘 구조물의 좌굴해석에 degenerate 유한요소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수지를 코팅한 준등방성 적층판에 대한 열변형 수치해석 (Numerical Investigation of Surface Deformations in Resin Coated Quasi-Isotropic Laminates due to Thermal Variance)

  • 김경표
    • 한국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7-21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단방향 섬유복합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준등방성 라미네이트 반사경내의 표면정밀도 문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복합재 반사경내의 방사형 방향의 굽힘강성계수의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 표면변형의 형상/패턴 및 반사경 표면에 섬유패턴 효과를 감쇠시키기 위해 추가 수지층이 도포된 반사경에 온도변화 발생시 굽힘강성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표면의 굴곡을 수치해석과 실험으로 검토하고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