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섬유류

Search Result 580,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Algae Based Energy Materials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소재)

  • Han, Seong-Ok;Kim, Hong-Soo;You, Yoon-Jong;Kim, Hee-Yeon;Jeong, Nam-Jo;Seo, Young-Bum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77-78
    • /
    • 2008
  • 최근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 해조류의 배양과 이산화탄소 고정에 대한 영향 분석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해조류에서 바이오에너지를 얻기 위한 연구와 해조류의 구성성분인 섬유, 당 및 지질을 이용하기 위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해조류 섬유는 주로 종이 및 바이오복합재료 제조에 사용되며 추출물은 식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해조류 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바이오복합재료의 천연섬유 보강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바이오복합재료는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한 에너지절약과 친환경 특성을 가진 고분자복합재료로서 현재 자동차 및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섬유 보강 고분자복합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조류 기반 친환경 에너지소재의 세계적 연구동향 및 해조류 섬유를 이용한 신소재 개발연구로서 홍조류 섬유 보강 바이오복합재료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Vegetables and Seaweeds (채소류 및 해조류 식품의 식이섬유 함량)

  • 김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26 no.2
    • /
    • pp.196-201
    • /
    • 1993
  • In this study, dietary fiber contents in vegetables and seaweeds were determined by Mongeau-Brassard method and the AOAC official method. The average total dietary fiber(TDF) contents by AOAC official method were 6% for vegetables, and 33% for seaweeds. The average ratios soluble dietary fiber (SDF) contents to TDF contents were 47% for vegetables and 57% for vegetables except bellflower root and 1.0% - 8.0% for seaweeds. TDF$\pm$error boundary values by Mongeau-Brassard method we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by AOAC official method. But, F/Fc of all samples were lower than 1.0. Therefore, Mongeau-Brassard method was evaluated as precisely as AOAC official method.

  • PDF

Dietary Fiber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ild Vegetables (산채류의 식이섬유 함량과 물리적 특성)

  • 박종숙;이원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3 no.1
    • /
    • pp.120-124
    • /
    • 1994
  • Nine wind vegetables were analyzed for moisture, ash,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dietary fiber. Wild vegetables contained 33-53% of dietary fiber on a dry weight basis. Dalle (Allium monanthum) contained 49% total dietary fiber and 22% soluble dietary fiber and dodok(Codonopsis lanceolata) contained 55% total dietary fiber and 21% soluble dietary fiber. Wild 8% more dietary fiber than cultivated one. Water holding capacities of wild vegetables were higher than commercial wheat bran and soy fiber, but lower in oil absorption. When wild dodok and dalle were wet milled by blade grinding before sieving the dietary fiber content in dodok was increased from 55 to 83 % with increasing the dietary fiber content in dalle form 49% to 69%.

  • PDF

Development of Natural Colorants Using Algae (해조류를 이용한 천연염료 개발[1])

  • Choi, Min;Shin, Youn-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66-66
    • /
    • 2011
  • 우리나라 근해의 풍부한 해양자원인 해조류를 염재로 한 천연염료의 제조는 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색소성분의 발굴과 함께 천연염색의 색상 다양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 해조류로부터 다양한 색상을 얻기 위해 여러 가지 추출공정을 사용하여 색소를 추출하고 염색성을 조사하여 새로운 염재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한 해조류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구멍갈파래, 청각이다. 해조류 색소를 추출하여 분말화 형태로 만들어 염색하였고 추출공정에 따른 다양한 색상 구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해조류 색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UV-Vis, FT-IR 분석에 의해 그 성분을 확인하였다. 염색은 면섬유, 견섬유, 모섬유, 나일론섬유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추출공정의 다양화를 통해 해조류 색소를 직물에 염색했을 때 직물의 색상과 염착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세탁, 마찰 그리고 일광에 대한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색소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조류 색소분말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공정을 달리하여 제조한 해조류 색소는 다양한 색상구현에 적합하였고, 견직물과 모직물에 염착이 잘 되었다. 또한 해조류 색소는 항균성을 지녀 향후 기능성 천연염료로서 응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 PDF

국내 박물관 보존환경에서의 미생물 분포 실태조사

  • Yun, Su-Jeong;Lee, Na-Eun;Kim, Mun-Ok;Cha, Mi-Seon;Lee, Jae-Dong;Gwon, Yeong-Suk;Lee,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245-246
    • /
    • 2005
  • Acinetobacter sp.가 외부환경보다 많이 발견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이 균이 섬유류 유물의 훼손에 영향을 많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Co교nebacterium sp., Bacillus sp.등은 외부환경이나 전시실 등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나 유물보관함에서 발견되었다. 때문에 이 세균들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유입된 균이 아니라고 추정되며, 이 균들이 섬유류 유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 섬유의 부착세균으로는 공중 부유에서 대다수로 검출되었던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Neisseria spp.,등으로 공기를 통해 섬유류 유물이 오염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extiles flame retardant treatment (방염처리된 섬유류의 연소특성 연구)

  • Cha, Jeong Min;Kim, In Beom;Hyun, Se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56-157
    • /
    • 2013
  • 본 연구는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섬유에 대하여 방염액을 사용한 후처리방법에 의해 방염처리를 진행하였을 때 섬유류의 구성비에 따른 방염성능 및 연소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화학섬유의 구성비 및 면의 함량에 따라 후처리의 방염성능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제지 사업장 소각시설에서 입자상물질 및 중금속의 배출특성

  • Yang, Su-Myeong;Jeong, Du-Ho;Park, Jeong-Ho;Jeon, Bo-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3-104
    • /
    • 2006
  • 고체연료 성상별 연소시 굴뚝에서 배출되는 입자상물질의 농도는 섬유류(86.8mg/m$^3$) > PP 마대류(26.51mg/m$^3$) > 합성수지류(16.71mg/m$^3$) > 우레탄(11.17mg/m$^3$) > 목재류(10.92mg/m$^3$) > 종이류(2.61mg/m$^3$)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폐섬유 소각시 입자상물질 중 중금속 함유농도는 Pb의 경우 기타 고체연료 연소시 함유농도비가 0.4% 이하인 반면에 폐섬유 소각시 6.6%인 5.72mg/m$^3$로 높게 나타났으며, Cd 또한 1.4%인 1.24mg/m$^3$로 높게 나타났다.

  • PDF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extiles and Costumes Excavated from Soonchun Park's Tomb (순천박씨(順天朴氏) 시조묘출토(始祖墓出土) 복식(服飾) 보존처리(保存處理))

  • Kim, Sun-ah;Yi, Yong-hee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
    • /
    • pp.9-17
    • /
    • 2000
  • This is a case study of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extiles and costumes excavated from Soonchun Park's tomb in Eumsung, North Chungcheong province. When excavated, the objects were found fairly wet and badly smelled since they decayed in wooden coffin. They were wet-treated with deionized water to remove dirt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during which the objects were blocked and flattened to keep them in shape. Silk crepeline was under-layed and stitched to the damaged areas with silk-hair threads. Each costume was individually stored in a tray made of paulownia wood and flat textiles were rolled up in paper cylinders with 6 and 10 cm in diameter. Thymol was used to prevent microorganisms.

Assessment of Dietary Fiber Intake in Korean College Students (한국대학생의 식이섬유 섭취실태조사)

  • 승정자;황선희;김정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205-21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남자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총 식이섬유 및 조섬유와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자대학생들의 평균 총 식이섬유 섭취량은 $20.54\pm5.82g으로$ 외국의 잠정적 권장량의 범위(20~30g)에는 들었으나 권장량의 하한치를 약간 상회하는데 그쳤다. 조섬유의 1일 평균 섭취량은 $8.43\pm5.56g으로$ 1일 식이섬유 섭취량의 약 41%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 열량 및 다른 영양소의 평균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권장량과 비슷하거나 다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식이섬유 섭취량과 에너지 및 단백질, 당질, 그리고 조섬유의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당질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r=0.7232, p<0.001)를 보였다. 또한 조사 대학생들의 총 식이섬유 섭취량과 식품군별 섭취량과의 상관관계수를 보인 것은 채소류 (r=0.6548, p<0.001)였으며 그 다음은 곡류(0.5913, p<0.001)였으며 그 다음은 곡류(0.5913, p<0.001), 해조류(0.3300, p<0.01)였다. 조사 대학생들의 식이섬유 섭취량 중 총식이섬유 급원으로 가장 많이 섭취한 식품은 쌀과 김치였으며, 각각 총 식이섬유 섭취량의 11.98%와 7.64%에 기여하였다. 그 외 학생들이 많이 섭취한 라면, 고춧가루, 냉면, 빵, 콩나물, 밀가루, 깍두기, 무 등이 주요한 식이섬유 급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남자대학생들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외국의 잠정적 권장량의 범위(20~30g)에 속하였으나 충분한 양을 섭취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오히려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식습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젊은 세대들인 조사대학생들의 장래 식이섬유 소비량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식이섬유 급원식품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인기에 식이섬유 부족으로 나타나는 각종 질병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정백비 위주의 식사를 지양하고 총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해조류의 섭취를 널리 교육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보다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대상자 선정을 통하여 식이섭취조사가 이루어져 식이섬유 섭취패턴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