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망간호 자신감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섬망환자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간호학생의 섬망간호 수행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Performance for Life Care of Delirium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 오효숙;장미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01-410
    • /
    • 2019
  • 병원 입원환자들이 갈수록 고령화되고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져서 섬망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과 섬망간호 수행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섬망간호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섬망간호 교육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3개교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52명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2017년 4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섬망지식은 조귀래(2001)가 개발하고 박용숙(2011) 수정한 도구, 섬망간호 자신감은 Akechi 등(1996)이 개발하고 김문자(2014)가 번역하고 수정 보완한 도구, 섬망간호 수행은 서희정과 유양숙(2006)이 개발한 도구를 김미영과 은영(2013)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요인에 대한 자료는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섬망 지식은 47점 만점에 29.0점, 섬망간호 자신감은 150점 만점에 71.7점, 섬망간호 수행은 69점 만점에 41.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섬망간호 수행은 섬망환자 경험(t=7.719, p<.001), 섬망 간호진단 사용 경험(t=4.850, p=<.001), 섬망간호 교육(t=3.039, p=.003), 임상실습 만족도(t=3.526, p=.001), 섬망환자 경험 부서(t=3.446, p=.001), 중환자실 실습 경험(t=5.34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섬망간호 수행은 섬망 지식(r=.140, p=.026)과 섬망간호 자신감(r=.341, p<.001) 간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섬망간호 수행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섬망환자 간호 경험(β=.314, p<.001) 섬망간호 자신감(β=.174, p=.003), 중환자실 실습 경험(β=.170, p=.001), 섬망 간호진단 사용경험(β=.129,p=.026), 실습만족도(β=.109, p=.048)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28.8%였다(F=22.307, p<.001). 본 연구결과, 간호학생들의 섬망간호 수행을 높이기 위해 섬망환자 간호 경험, 섬망간호 자신감, 중환자실 실습 경험, 섬망관련 간호진단, 실습만족도를 고려한 섬망간호 교육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학생 대상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임상실습교육이 섬망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using Checklist on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89-29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섬망강의와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임상실습을 적용한 섬망교육이 간호학생들의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 섬망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단일군 전후 설계이고 연구대상자는 4학년 간호학생들 91명이었으며 2017년 8월 14일에서 9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섬망교육 전 후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 섬망간호 수행을 파악하였다. 섬망교육은 임상실습을 시작하기 전에 섬망간호 강의를 1시간 한 후 섬망사정 및 섬망 예방간호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2주간의 임상실습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섬망교육 전 후 섬망지식(t=-11.23, p<.001), 섬망간호 자신감(t=-11.00, p<.001), 섬망간호 수행(t=-5.31,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섬망간호 수행은 의사소통 간호, 안위간호, 인지적 간호, 사정간호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섬망간호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임상실습 교육은 간호학생들의 섬망지식, 섬망간호 자신감 및 섬망간호 수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소아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다면적 소아 섬망 교육프로그램이 섬망 지식, 섬망 간호에 대한 자신감, 섬망 사정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단일군 전후설계 (Effects of a Multifaceted Pediatric Delirium Education Program for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Nurses on their Delirium Knowledge, Self-confidence in Delirium Nursing, and Delirium Assessment Accuracy: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 남송이;최수정;오사랑;최지은;박기영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6-70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multifaceted pediatric delirium education program for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ICU) nurses on their delirium knowledge, confidence in delirium nursing, and delirium evaluation accuracy. Methods :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50 nurses in two units of the PICU at S General Hospital in Seoul. All participants took a 1-hour lecture with case-based practice for the first two weeks, and received feedback as they applied the program to clinical practice over the next two weeks. Test measures were completed before and after the four week intervention period for all participants. The delirium evaluation accuracy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ornell Assessment of Pediatric Delirium.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and paired t-tests. Results : After the Pediatric Delirium Education Program, nurses' delirium knowledge (x2=11.65, p =.001), confidence in delirium nursing (t=9.71, p<.001), and delirium evaluation accuracy (t=6.07, p<.001)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s : Pediatric delirium education programs for PICU nurses were effective. For activ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clinical practice in the future, various cases of childhood delirium and specific strategies for each subject must be developed. To achieve this, long-term intervention and research for multiple organizations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