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치 기준

Search Result 2,70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Warrant Rearrangement Using Efficiency Analysis of Reversible Lane (가변차로제 효율성분석을 통한 설치기준 재설정에 관한 연구)

  • Oh, Sei-Chang;Choi, Bo-Hy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1 s.72
    • /
    • pp.7-18
    • /
    • 2004
  • To solve the urban traffic congestion problem, Seoul and other major cities have operated the reversible lanes as Transportation Systems Manage-ment(TSM) method since 1981.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reversible lan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and the reversible lanes have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experiential warrants rather than the study-based warrants. In this Paper the effect of reversible lanes operation has been analyzed by using the average delay and the fuel consumption. Four factors such as in and out flow of directional v/c, the ratio of directional volume, the number of reversible lanes and left-turn treatment(prohibition of LTs or protected LTs) were used to estimate the implementation effect of reversible lane operation by using TRANSYT-7F simulation package. In the case of six-lane urban arterial, the lower ratio of directional volume was found to warrant the reversible lanes when the simulation-based method was applied compared with the current experiential warrants.

Review of the Natural Park Act for the Pro-environ-mental Improvement of Park Facilities (공원시설의 친환경성 증진을 위한 자연공원법제 고찰)

  • 신익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2
    • /
    • pp.139-153
    • /
    • 2000
  • 자연공원시설의 정의와 친환경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자연공원내 시설과 관련된 기본법인 자연공원법과 기타공원시설물의 관련법규들 중에서 용도지구 내 시설설치 허용기준과 공원시설의 정의 시설물의 종류 및 시설물의 설치.관리 등 관련 법제도를 친환경성 측면에서 검토하여으며 미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의 친환경적인 자연공원시설물 관련법규를 살펴보고 국내.외 법제를 비교분석하였다 친환경적 측면에서의 자연공원시설의 설치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종합해 보고 이에 따른 친환경성을 고려한 자연공원시설의 법.제도와 관련하여 공원 시설종류의 일부 삭제 및 추가와 시설기능 변경안이 포함된 공원시설물의 친환경성 증진을 위한 현행 자연공원 법령(법.시행령.시행규칙)의 개정안과 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지구, 취락지구 등의 용도지구 내에서의 허용행위기준과 집단시설지구 내 녹지기준의 개정안을 제시하고 시행규칙상 시설물의 신설을 권고하였다.

  • PDF

A Practical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Signage (실내 시설물 영상을 이용한 실용적 실내 측위 시스템)

  • Shim, Wonil;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391-393
    • /
    • 2013
  • 실내 측위 시스템은 실내 환경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Wi-fi 신호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실내 측위 시스템들은 대부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마커를 기준으로 측위를 하는 영상 기반의 시스템도 있지만, 일반 사용자들에게 미적인 문제를 야기 시킬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대부분의 공공장소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간판 등을 이용하는 새로운 영상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을 소개한다. 간판의 위치와 방향은 그것들이 설치 될 때 해당 건물의 기준 좌표계에서 위치와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간판에 대한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얻어내면 건물의 기준 좌표계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을 구할 수 있다. 실제 공공장소에서 수행 된 실험은 우리의 시스템이 실내 측위의 실용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Criteria of Electrical Facilities Installation and Status Quo of Flood Damage in Underground Premises (지하구내 전기설비 설치기준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Jung, Jong-Wook;Lim, Young-Bae;Jung, Jin-Soo;Kil, H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e
    • /
    • pp.124-1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지하구내에 설치된 전기설비의 국내 외 설치기준 및 침수로 인한 피해실태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과정에서는 이미 보고된 바 있는 다양한 자료 및 인터넷 기사를 근거로 하여 국내 외 기준 및 수해실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침수피해의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하였다.

  • PDF

공동주택용 국내.외 감지기의 설치 및 시험 기준 비교

  • Son, Bong-Se;Lee, Ch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67-6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전체 화재발생 건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화재 및 인명안전의 개선 대책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주거공간은 다른 어떠한 방호공간보다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되는 소방대상물이다. 국내의 주거공간을 대표하는 공동주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화재감시시스템이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감지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지기의 성능은 인간의 두뇌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이미 일본의 경우는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준으로 제정하여 널리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국은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화재특성 및 화재하중 등에 대한 시험을 통해 다양한 방호공간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코드가 정립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에 적합한 전용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와 방재선진외국의 감지기 설치 및 성능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설치 및 시험 기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Study on Guideline of Water Supply System for Forest Fire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 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 Kim, Dong-Hyun;Nam, Song-Hee;Keum, Si-H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3
    • /
    • pp.38-46
    • /
    • 2013
  • Permanent water supply and water sprinkling systems are essential to protect major forests and facilities from forest fire. Back in 2005, Naksan Temple, a valuable cultural asset of Korea, was burned down in a forest fire that took place in Yangyang. This started a series of movements including installing water supply facilities and managing forests near important cultural assets. As for the existing facilities, however, they were installed without any standar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installation according to each constructor's specifications, which were based on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 109. Unfortunately, this is not effective in protecting facilities from forest fires such as they have a small protection area, limited simultaneous sprinkling, and a difficult the movement of fire hos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study examines the condition of water supply facilities currently in use, identifies their deficiencies, and suggests how to improve the criteria for water supply service to effectively prevent forest fire. Specifically, three systems were proposed: Water Sprinkler Tower System for preventing spread of crown fires, and Forest Fire Hydrant System and Portable Water Spray System to be effective for suppressing surface fires. In addition, the standards on the performance and components of water pumps are also suggested.

A Study on Design Standards of a median strip in City considering Traffic Safety (교통안전을 고려한 도심형 중앙분리대 설치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 Kim, Jong-Min;Kim, Jang-Wook;Noh, Kwan-Sub;Kim, Kyung-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4 no.1
    • /
    • pp.35-43
    • /
    • 2012
  •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the safety measures for pedestrian in living zone to decrease the traffic accident casualties in half. It is urgently to study the guideline because it contains to make the guideline of a median strip in City to prevent the violation of central line and jaywalking on the main contents. So, this study analyzed the pedestrian accidents and the violation of central line, and studied the type of a median strip, the installation guideline through studying the minimum crossing.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out that a median strip which revised the attention inducement stick to decrease jaywalking could not have the strong prevention function of a crash barrier, so if it happens separation after the collision between vehicles, it induced the secondary accidents, and could take negative effects on traffic safety. In consideration of driving safety, this study analyzed that if it installs a median stirp, it has to ensure one meter, and such a thing could prevent the separation of lane or damage of facilities. However, if it is hard to ensure the space because of narrow road width, it could install a median strip in case of installing the road surface mark 0.5m. And the installation of the attention inducement stick or a median strip on the central line could be possible to induce the violation of central line, thus it is desirable not to install only anythings but also raised pavement markers.

The Flood Elevation Reduction Effect by Sluice Operation at Multistage Movable Weir System (다단식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시스템에서 수문개도 조작에 의한 홍수위 저감효과)

  • Lee, Ji Haeng;Han, Il Yeong;Ra, Su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7-367
    • /
    • 2016
  • 우리나라는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특성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의 고정보를 설치하여 하천수위를 유지하고, 취수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고정보는 유수방해, 토사퇴적으로 인한 홍수위 상승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4대강에는 다양한 형상과 운영방식이 적용된 가동보가 설치되었으며, 소하천과 중규모 하천 역시 하천기능의 복원을 위한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천관리의 목표는 하천의 이수, 치수 및 생태환경 기능의 종합적이며, 유기적인 관계를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각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우선, 토사의 퇴적을 사전에 예방하고, 퇴적된 토사는 유수에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방류 형식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홍수기에는 통수가 원활하도록 보의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야 하는 한편, 하류구간이 범람하지 않도록 상류구간에서의 완충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다단형태의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다단형태의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시스템은 경사 하천에 가동보에 의해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을 보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량 만큼만을 수문 하단 개도부를 통하여 방류하도록 하여, 일정량이 항상 저류되면서 퇴적토사가 배출되도록 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지류인 치성천 9Km 구간을 대상으로 HEC-RAS 4.1 모형을 적용하여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하류부터 상류구간까지 다단형태로 설치하였을 경우, 하천의 저류와 분배기능 회복에 따른 홍수위 저감 효과를 고정보 설치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소통 능력을 검토하기 위해서 연구대상 구간을 200년 빈도의 확률홍수량 별로 10개 구간으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고정보 설치의 경우에는 여유고 기준을 초과하는 부분이 나타났으나, 다단식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설치하고, 수문개도를 조작하여 운영할 경우에는 여유고 기준을 초과하는 부분이 없어, 홍수위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홍수기이후에도 하천유지용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치 및 유지관리의 비용측면과 용수확보 및 홍수피해 절감의 편익측면에서도 50년 운영주기의 비용편익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환경보전과 친수공간 확보측면의 편익성을 추가로 고려할 경우, 경제성은 충분히 확보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자료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6 s.183
    • /
    • pp.90-96
    • /
    • 198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