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치방위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옥수수 초형교정이 군락 투광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nopy Reforming on Light Penetration into Crop Community and Yielding in Corn)

  • 이호진;조명제;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6-83
    • /
    • 1985
  • 옥수수의 밀도를 소(60cm$\times$40cm), 적(60cm$\times$24cm), 밀식(60cm$\times$16cm)으로 심고 초형처리로서 자연초형(남북이랑), 동서향교정(남북이랑), 동서향교정 및 엽각조정(남북이랑), 남북향교정(동서이랑)을 실시하였다. 초형교정은 엽출현이 완료된 뒤 철사가를 옥수수군락에 설치하고 옥수수잎들은 동서향이 되록 유인하여 고정시키고, 엽각조정은 수평에서 80$^{\circ}$가 되도록 직입화시켰다. 옥수수의 자연초형은 남북이랑이든 동서이랑이든 관계없이 모든 방위로 고루 분포하였고 약간의 남북향 경향을 보였으나 현저하지 않았고 엽각은 직입~중간엽형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군락내부에서 광투과는 초형을 동서향으로 교정하거나 엽각을 직립화시킴에 따라 초고의 중간높이에서 일평균 광도가 5~10% 가량 향상되었다. 반면 남북향 초형교정에서는 2~10% 정도 낮아졌다. 황숙기의 건물중집적은 밀식시 동서향초형이 자연초형 보다 6% 증가하였으나 남북향초형은 차이가 없었다. 완숙기의 종실수량에서는 동서향 초형교정은 3~11% 증가하였으나, 엽각조정까지 하였을 때에는 소식에서 10% 감소, 적. 밀식에서는 10%, 3%씩 각각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반면 남북향초형은 차이가 없거나 감수로 나타난다. 초형을 태양의 방위와 고도를 고려하여 변형한다면 밀식에서도 일사광의 군낙내부로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증수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IoT 비콘기반의 3차원 위치표출 위한 유니티 런처의 플랫폼 설계 (Platform Design of Unity Launcher for the IoT Beacon based 3D Position)

  • 강민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77-48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사용자가 유니티 기반의 스마트 미디어에서 3차원 형태로 표출하고자 유니티 런처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홈 게이트웨이는 유니티 엔진을 연동하는 플랫폼에서 동영상과 3차원 무비 텍스쳐가 동시에 연동하게 되었다. 유니티 런처 기반의 플랫폼은 3차원 공간에서 IoT 센서의 위치를 표출하는 유니티 활용 방안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스마트 게이트웨이 플랫폼에서 3차원 사물인터넷 센서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은 센서의 무선신호세기인 RSSI 신호와 방위각 정보를 활용함으로서 3차원 공간 상에서 IoT 센서의 3D 위치를 표출할 수 있다. 유니티 런쳐가 탑재된 스마트 게이트웨이 플랫폼은 3차원 입체모형으로 IoT 센서의 위치를 표출하기 위해 2D 평면도를 3차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3차원 큐브 형태로 센서의 위치 표시함으로서 IoT 센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설치에서 폐기까지의 생애 주기를 표시할 수 있다.

수평 가까운 튜브 표면의 평균 풀비등 열전달계수의 측정 (Measurement of Average Poo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 on Near-Horizontal Tube)

  • 강명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호
    • /
    • pp.81-88
    • /
    • 2014
  • 수평에 가깝게 설치된 튜브 원주면에 대해 평균 열전달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대기압 상태하의 물속에 잠긴 50.8 mm의 스테인리스강 튜브를 사용하였다. 과냉 및 포화 풀비등 조건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튜브 경사각은 수평으로부터 $9^{\circ}$까지 $3^{\circ}$ 간격으로 변경하였다. 포화상태에서는 튜브의 최하부로부터의 방위각이 $90^{\circ}$인 위치에서 측정한 국소비등열전달계수가 평균값으로 취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튜브 경사각과는 무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물이 과냉상태인 경우, 평균 열전달계수의 위치는 경사각과 열유속에 의존한다. 열전달을 변화시키는 주된 열전달 기구는 액체교란 강도 및 기포군집에 의한 큰 기포 덩어리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건물적용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국내 지역에 따른 설치각도별 연간 전력생산량 예측에 관한 연구 (Annual energy yield prediction of building added PV system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and the location in Korea)

  • 김동수;신우철;윤종호
    • KIEAE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67-74
    • /
    • 2014
  • There have distinctly been no the installation criteria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BIPV systems, although the BIPV market is consistently going on increasing. In addition, consideration of the BIPV generation quantity which has been installed at several diverse places is currently almost behind within region in Korea. Therefore,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IPV generation and to be base data of reducing rate depending on regional installation angles using PVpro which was verified by measured data. Various conditions were an angle of inclination and azimuth under six major cities: Seoul, Daejeon, Daegu, Busan, Gwangju, Jeju-si for the BIPV system generation analysis. As the results, Seoul showed the lowest BIPV generation: 1,054kWh/kWp.year, and Jeju-si have 5percent more generation: 1,108.0kWh/kWp.year than Seoul on horizontal plane. Gwangju and Daejeon turned out to have similar generation of result, and Busan showed the highest generation: 1,193.5kWh/kWp.year, which was increased by over 13percent from Seoul on horizontal plane. Another result, decreasing rate of BIPV generation depending on regional included angle indicate that the best position was located on azimuth: $0^{\circ}$(The south side) following the horizontal position(an angle of inclination: $30^{\circ}$). And the direction on a south vertical position(azimuth: $0^{\circ}$, an angle of inclination: $90^{\circ}$) then turned out reducing rate about 40percent compared with the best one. Therefore, these results would be used to identify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IPV module as an appropriate position.

13.7m 우주전파 관측용 안테나의 지향정도 확립과 효율 측정 (Pointing Accuracy Establishment and Efficiency Measurement of 13.7m Antenna for Observing Cosmic Radio Wave)

  • 조세형;정재훈;이영웅;김현구;노덕규;박용선;김봉규;오병렬;이창훈;임인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8-28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설치후 초기단계에 있는 우주전파 관측용 13.7m 안테나의 지향정도 확립과 효율측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지향성 모델은 처음 단계인 모델 1, 2에서는 태양과 달 같은 시직경이 크고 전파강도가 센 천체를 관측하여 설정되었고, 이를 이용한 모델 3, 4에서 전 하늘에 걸친 SiO 메이저원인점 전파원을 관측하여 방위각 오차 3.8" 고도각 오차 10.5"의 실용성 있는 번위로 확립되었다. 구경은 86GHz대에서 각각 35%, 50%로 나타났다.

  • PDF

분산센서망에서 표적을 탐지한 센서의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한 표적위치 추정 (Target Localization Using Geometry of Detected Sensors in Distributed Sensor Network)

  • 류창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2호
    • /
    • pp.133-140
    • /
    • 2016
  • 해안 수중 감시를 위하여 분산센서망를 해안에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하고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Zhou 등은 표적 탐지만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센서들로 구성된 분산센서망에서 표적을 탐지한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Zhou 등이 제안한 기법은 다른 기존의 기법에 비해 표적탐지 신호의 전파모델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별도로 추정할 필요가 없고, 연산량이 적으며, 분산센서망에서 적은 량의 데이터만 송수신하여도 된다. 그러나 Zhou 기법은 표적의 위치 추정오차가 크다. Ryu는 추정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Zhou 기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Zhou 기법은 Zhou 기법보다 추정성능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비교적 큰 추정오차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정된 Zhou 기법으로 구한 표적의 방위각을 나타내는 직선과 표적을 탐지한 센서들과의 기하학적 구조를 고려한 표적위치 추정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수정된 Zhou 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제안한 기법의 표적위치 추정성능이 Zhou 기법과 수정된 Zhou 기법 보다 향상되었음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설치환경 및 조건에 따른 양면수광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기초 특성 연구 (A Preliminary Research of the Bifacial PV System Under Installation Conditions)

  • 장주희;권오현;이상혁;신민수;이경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51-63
    • /
    • 2018
  • Nowadays the bifacial PV system market and its applications are increasing rapidly. The performance of the bifacial PV system take advantage of its rear surface irradiance. Also, the ground albedo, PV module tilt and azimuth, PV module installation height, shading effect and module temperature are factors of bifacial PV system performanc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performance of bifacial PV system is influenced by above factors. First, we analyzed the energy yield depending on PV module installation by simulation. Secondly, we compare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monofacial and bifacial module on different weather condition by experiment. Thirdly, we tested the albedo effect and checked operating characteristics using Dupont Tyvek material for the bifacial PV module. Fourthly, we check the shading effect of bifacial PV module on bypass diode operating. Finally, we applied the bifacial PV module in the nearby subway station for the noise reduction barrier using a qualified simulation program. In summary, we confirm that the energy performance superiority of the bifacial PV module has a lot of application use including road. Also, we have confirmed the bifacial module and inverter design should be considered by rear surface irradiance.

빔 패턴 성능 분석을 이용한 곡면 배열 형상 설계 (Shape design of conformal array using the beam pattern synthesis)

  • 이근화;신동훈;임준석;홍우영;하용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47-3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곡면배열이 설치된 이중 곡률을 갖는 곡면의 형상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곡면은 4개의 미지수로 결정되는 이중 타원구로 모델링 하였다. 곡면 배열의 빔 패턴 분석을 통해서 4개의 미지수 중에 2개의 설계 파라미터를 결정했다. 빔 설계 인자의 sharp 지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가중치 목적 함수를 정의했다. 각각의 sharp 지수는 여러 빔 설계 인자 중에 지향 지수, 고각 해상도, 방위각 해상도로 정의했다. 가중치가 주어졌을 때, 모든 격자에 대한 직접 계산을 통해 가중치 목적 함수를 평가하고 2개의 설계 파라미터의 최적값을 찾았다. 시뮬레이션에는 총 4종류의 가중치를 사용했다. 각각의 가중치에 대한 최적 곡면 형상 및 빔 패턴 분석 결과를 보였다. 특별히 균등 가중치를 사용했을 때, 다른 가중치를 사용했을 때보다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 이중 타원체의 형상이 얻어졌다.

집광채광 설비 입사부의 성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thod to evaluate performance of Light Collector in Light-collecting System)

  • 윤용상;문선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9.1-49.1
    • /
    • 2011
  • 집광채광 설비는 건축물의 조명에너지 절감 및 자연광의 실내 유입을 위해 적용 가능한 태양에너지설비로써 다른 신 재생 에너지 설비와 다르게 연간에너지생산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가 아직까지 부재하다. 집광채광 설비의 설치효과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집광채광 설비 설치에 따른 연간 에너지생산량 산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구성부분(집광부, 전송부 및 산광부)의 광전송 효율에 대한 데이터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집광채광 설비의 효율 분석에 관한 첫 번째 단계로써 외부광속에 대한 집광부 통과 직후의 내부광속의 비율을 예측하였다. 국내에 보급된 집광채광 설비는 대부분 프리즘형과 광덕트형이며, 우선적으로 집광부 입사면의 경사각과 방위각이 다양하여 내부광속 산출방법론이 매우 복잡한 프리즘형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전일사량, 외부조도 및 집광부 내부조도가 측정되었으며, 외부광속으로부터 내부광속을 산출하는 공식을 유도하기 위해 천공상태에 따라 전일사량 측정치가 직산분리 되었다. Perez model과 Liu and Jordon에 의해 제시된 계산식과 입사면 및 집광부 면적을 고려하여 수평면 외부조도 측정치로부터 외부광속이 그리고 내부조도로부터 내부광속이 산출되었다. 입사면의 투과율이 동일하다는 전제 하에 천공상태에 따른 태양광 투과 비율을 도출한 결과, 담천공(Kt ${\leq}$ 0.3)에서 0.39, 부분담천공(0.3${\geq}$ 0.78)에서 1.0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투과비율을 외부광속에 적용하여 내부광속을 계산한 결과치와 측정치는 약 ${\pm}9%$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연간 기상데이터에 위와 같은 방법론이 적용되면 프리즘형 집광부의 연간 내부광속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발광효율 산출식과 일사 파장에 따른 시감도를 고려하면 매 시간별 외부조도도 산출이 가능하다. 일사량 측정치와 외부조도 측정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 $R^2$이 0.99인데 반해 일사량 측정치와 외부조도 계산치 사이의 상관관계 결정계수는 0.95로 측정치 보다 약간 작은 값을 갖는다. 이렇게 산출된 외부조도는 각 입사면의 면적을 반영하여 외부광속으로 변환되고, 앞서 산출된 천공상태별 투과비율이 적용됨으로써 내부광속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광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전송부와 산광부 효율을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집광채광 설비를 통해 실내에 전달되는 연간 빛에너지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론은 다른 형태의 집광채광 설비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집광채광 설비의 연간 에너지생산량에 대한 폭 넓은 데이터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소규모 배열식 지진관측소를 이용한 미소지진 관측 (Microseismic Monitoring Using Seismic Mini-Array)

  • 신동훈;조창수;이희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6권1호
    • /
    • pp.53-58
    • /
    • 2013
  • 효과적으로 미소지진을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소규모 배열식 지진 관측소와 분석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관측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2012년 12월 19일부터 2013년 1월 9일까지 시험 관측을 수행하였다. 중앙에 6 채널 지진 기록계 1 대와 3 성분 지진계 1 대를 설치하고 수직성분 지진계 3 대를 중앙으로부터 약 100 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삼각형 형태로 각 꼭짓점에 설치하여 소규모 배열식 지진관측소를 구성하였다. 모든 지진계는 동일한 계기 응답 함수를 가지며 하나의 6 채널 지진 기록계에 연결되어 200 sps 의 간격으로 관측 자료를 저장하였다. 3 주의 시험 관측 기간 동안 총 16 개의 미소 지진을 관측하였다. 수직성분 지진계에서 관측한 P파의 도달시간 차이, 3 성분 지진계에서 관측한 P파와 S파의 도달시간 차이, P파와 S파 지진 파형의 배열식 분석으로 얻은 후방 방위각들을 이용해 지진의 진원을 결정하기 때문에 하나의 소규모 배열식 관측소만으로도 진원 결정이 가능하였다.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한 미소 지진 2 개의 진앙은 관측 부지로부터 1.3 km 거리에 있는 채석장으로 분석되었으며, 채석장의 발파 기록과 분석된 결과가 서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