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비개수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6초

환경개선용 방전관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for Environment Improvement)

  • 송현직;이동헌;오진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24-26
    • /
    • 2001
  • 대기환경오염물질인 NO가스의 제거를 위하여 방전관을 채용한 3전극-2갭 방식의 새로운 형태의 오존발생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원료가스의 유량, 방전전력 및 오존발생기의 사용 개수 변화에 따른 방전특성과 오존생성특성을 연구 검토하였으며, 오존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오존을 NO가스에 접촉시켰을 때 NO 제거특성이 우수하여 방전관형 오존발생기가 대기환경개선 설비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하천교란의 실태조사 연구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river disturbance in Korea)

  • 장창래;김준태;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46-9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하천의 교란에 영향을 미치는 인위적인 교란의 원인이 되는 하천정비현황, 수리구조물의 설치, 댐의 건설현황, 골재채취 현황 등에 대하여 실태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국가하천은 하천연장 $3,260.75km^2$, 개수율 94.81%이며, 지방1급 하천은 하천연장 $1,178.87km^2$, 개수율 95.76%이다. 또한 지방2급 하천은 하천연장 $25,795.85km^2$, 개수율 57.31%로 나타내었다. 국내 보의 현황은 전국적으로 14,364개소가 하천에 설치되어 있으며, 2.1km마다 1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다. 시도별로 강원도가 가장 많은 3,463개소로 1.1km마다 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충북(1.2km/보), 전남(1.9km/보)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댐은 약 18,000개소로서 대댐 기준인 댐 높이 15m 이상, 저수량 300만 $m^3$ 이상의 댐은 1,215개소이며, 다목적댐 15개소, 발전댐 21개소, 홍수조절용댐이 1개소가 축조되어 있으며, 댐의 개소수로는 농업용댐이 가장 많이 건설되었다. 유역별로는 낙동강 수계가 가장 많이 건설되었으며, 한강, 금강 수계 순이다. 또한 다목적댐은 낙동강유역에 많이 건설되어 있으며 발전용댐은 한강유역에 가장 많이 건설되었다. 수계별 다목적댐과 발전용댐이 유역에 차지하는 비율로는 한강수계가 83%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섬진강, 금강, 낙동강 순이었다. 행정구역별 골재채취 허가량은 경북, 경남, 대구, 부산 순으로 많으며, 특히 낙동강 유역에서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골재채취가 이루어져 왔다. 그 다음으로 금강 수계, 특히 충남에서 많은 골재채취가 이루어졌다. 연도별 골재채취 허가량은 1997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 PDF

봉형접지극 접지저항 향상을 위한 기계화 시공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zation of the Grounding Rod Earth Construction Method to Improve the Grounding Resistance Characteristics)

  • 박중신;조성제;안인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43-150
    • /
    • 2009
  • 봉형접지극은 타 접지전극 형태에 비해 쉬운 시공성으로 국 내외적으로 배전계통에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접지극 형태이다. 따라서 보다 나은 봉형접지극의 시공성 향상을 위해 형태 변형, 형상 개량, 재질 개선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접지공사는 다양한 토질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봉형접지극 자체에 대한 개선으로는 시공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봉형접지극의 직렬 및 병렬 시공을 기계화(중공스크루로드 이용)함으로써 소정의 접지저항값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공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축약하면 같은 조건하(동일한 대지저항율, 동일한 접지동봉 개수, 동일한 직렬 또는 병렬 시공, 동일한 접지저항저감제, 물 공급)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항타(심타)공법과 기계화공법에 대하여 새롭게 제시된 기계화공법으로 인한 접지저항값의 저감 효과를 비교하였다. 제안된 기계화공법이 항타공법에 비해 비교적 안정된 접지저항 저감 효과를 얻었다.

Cascade형 평판전극 오존발생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Ozonizer with Cascade-Type Plate Electrode)

  • 윤대희;송현직;이상근;박광서;김종현;박원주;이광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0-87
    • /
    • 2009
  • 최근 오존은 그 효용성을 인정받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오존발생기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내공기와 상 하수도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cascade형 평판전각 오존발생기(plate-type ozonizer : PTO)를 개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논문이다. 평판전극의 크기, 개수 및 배치에 따라 4가지 형태의 오존발생기를 설계하였다. 각 형태의 오존발생기의 방전 면적은 22,400[$mm^2$]로 동일하며 방전전력은 최대 40[W]이다. 각 오존발생기의 오존생성량, 오존생성농도, 오존생성수율 특성을 연구한 결과, 8개의 평판전극이 cascade형으로 배치된 오존발생기(PTO-4)의 오존생성특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전주의 실물인장실험시 토압계를 이용한 수평토압분석 (Horizontal Stress Analysis of Electric Pole using Earth Pressure Cell from Mock-Up Tension Test)

  • 안태봉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62-69
    • /
    • 2010
  • 연약지반에 시공하는 많은 콘크리트전주가 외부하중으로 전도파괴가 발생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물인장실험을 실시하고 근가위치, 근가깊이, 근가개수, 전주근입깊이를 달리하면서 전주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분석하였다. 실물실험은 10가지 종류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수평토압은 전주 근입깊이가 클수록 커지고 하부수동영역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가 설치위치가 깊을수록 하부수동영역 토압이 감소된다. 근가의 수를 4개 설치한 것이 G.L-0.9[m] 위치에서의 토압을 크게 줄였는데 이는 수직으로 80[cm]정도에 걸쳐 설치된 근가의 영향으로 판단되나 전체적으로 볼 때 근가의 수는 큰 차이가 없으며 근가를 다수 설치하면 굴착면적이 커져 되메우기 등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근가를 1개만 설치하여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새로운 형태의 평판형 오존발생기 특성과 응용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for the New Plate-Type Ozonizer)

  • 이광식;방아위;김영훈;윤대희;이창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76-182
    • /
    • 2008
  • 본 연구는 실내공기와 상수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소형 평판형 오존발생기(plate-type ozonizer : PTO)를 개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한 논문이다. 평판전극의 크기, 개수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오존발생기가 고안되었다. 각 형태의 오존발생기의 방전면적은 60[$cm^2$]로 동일하며 방전전력은 최대 30[W]이다. 주요 연구 대상은 방전전력-오존생성농도 특성, 방전전력-오존생성수율 특성, 유량-오존생성농도 특성 및 유량-오존생성수율 특성이다. 오존생성특성은 PTOL-P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3종류의 오존발생기($PTO_{P-P}$, $PTO_{C-P}$, $PTO_{T-P}$)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약지반에 시공된 전주의 실물인장실험을 통한 수평변위분석 (Horizontal Displacement Analysis of Electric Pole from Full Scale Pull-Out Test in Softground)

  • 안태봉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15-126
    • /
    • 2009
  • 연약지반상에 시공하는 수많은 전주가 태풍 등의 외부하중으로 전도파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가위치, 근가깊이, 근가개수, 전주근입깊이 등을 달리하며 연약지반에 실물크기의 전주에 인장실험을 실시하여 전주의 수평 변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주는 10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변위는 근가의 위치 및 수량, 전주기초의 근입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초기하중 재하시 상부에서 굴절된 양상을 보이다 점증하중에 따라 전주의 중앙부로 굴절의 양상이 전이되었다. 근가위치는 G.L(-) 0.5[m]인 상태에서 전주기초 깊이 1.3[m]를 추가로 근입시 최대 수평변위는 약 1.6배의 감소를 보여 전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근가의 수는 근가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변위에 유리하나 큰 차이는 아니며 근가를 다수 설치하고 굴착면적이 커져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근가를 1개만 설치하여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전력플랜트 건설의 최신기술동향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310호
    • /
    • pp.67-72
    • /
    • 2002
  • 미쓰비시(삼릉)전기 플랜트건설총괄부의 전력플랜트 건설공사는 수력$\cdot$화력플랜트 및 변전설비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수차$\cdot$수차발전기$\cdot$가스절연개폐장치(이하 ''GIS''라 한다), 변압기, 배전반 및 관련 제어기기 등의 설치 및 기기간의 배선공사 설계$\cdot$시공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의 전력플랜트를 둘러싼 일본의 시장환경은 신설 플랜트는 감소하고 갱신$\cdot$기기개수(개조, 수선) 공사의 비율이 커지고 있으며, 신설$\cdot$개보수 공사를 불문하고 공사품질의 유지와 공사비 저감을 위한 공법$\cdot$작업의 개선과 설계$\cdot$계획 업무의 합리화를 추진하여 왔다. (1) 기자재 개발에 의한 공법$\cdot$작업 개선 대형수력발전기의 로터조립용 다브테일키 박아놓기(타입)장치, 스테이터코일 분해(갱신)용 코일 엔드절단 및 코일뽑기공구, 터빈발전기 센터링용 유압잭, GIS 설치용 작업용발판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공법 개선과 작업효율의 향상을 실현하였다. (2) 공사계획 방법의 개선 변전플랜트에서의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하는 현지 설치 최적공정 책정방법의 개발$\cdot$적용, 또한 화력플랜트에서의 공사물량의 저감과 설계작업의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설계$\cdot$계획 방법의 개발 및 적용으로 설계업무의 개선, 공사비 저감을 도모하였다.

  • PDF

해중터널 내 돌발용수 급속차폐를 위한 팽창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inflatable structure system for rapid blocking of sudden water in submerged floating tunnels)

  • 김연덕;황병현;김상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69-484
    • /
    • 2020
  • 본 논문은 해중터널에 돌발용수 발생 시 급속팽창구조체를 통한 차폐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국내에는 터널 내 돌발용수에 대한 대책이 미비한 실정이다. 터널 내 방수로, 수문 등 유입수 처리 시설이 설비되어 있지만 많은 양의 해수 또는 지하수 유입에 대한 한계가 있으며, 수문의 경우 차단하는 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급속팽창구조체에 대한 차폐율 및 축 방향 이동거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축소모형 실험 결과를 통해 급속팽창구조체의 개수 및 내부 공압이 차폐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급속팽창구조체의 개수가 한 개에서 두개로 늘어남에 따라 차폐율이 약 35~40% 더 커지게 되었다. 또한 내부 공압이 0.2 bar에서 0.3 bar로 증가함에 따라 차폐율이 약 4% 더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대형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를 검증하고 더욱 발전시킨다면 해저터널 또는 해중터널의 돌발용수에 있어 효과적인 방수대책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효율을 고려한 새로운 AC/DC 컨버터 (A novel energy-efficient bridgeless boost AC to DC converter)

  • 윤경국;김성환;김덕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23-227
    • /
    • 2016
  •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기는 산업현장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입력전류에 많은 저차고조파가 포함되어 공급전압을 왜곡시켜 전력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고조파 전류는 전력계통의 전압 왜곡, 가열 및 소음 등을 유발하여 효율을 떨어뜨린다. 고조파를 감소시키고 역률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입력전류가 연속적이 되도록 하는 부스트 컨버터가 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전류를 감소시키고, 역률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 정류기 효율을 상승시키는 부스트 컨버터를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의 부스트 컨버터에 비해 전류가 통과하는 반도체의 개수가 감소하여 효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PSIM을 활용하여 제안된 변환기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