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문문항개발

Search Result 54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Web-based Survey System for Supporting the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인증지원을 위한 웹기반 설문시스템의 개발)

  • Hyeong, Dae-Jin;Park,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31-5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인증에서 구성원의 의견이나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수행 절차와 웹 기반 설문시스템의 기능 및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제안된 프레임워크에 따라 웹 기반 설문시스템을 개발한 방법을 소개한다. 본 설문시스템은 설문문항을 문항은행식으로 설문대상자별, 설문 영역별로 DB화하여 계층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체계적인 설문문항의 관리는 물론 웹 기반 설문지 작성의 노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웹상에서 전자메일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비용, 시간, 에러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면에서 큰 장점을 갖고 있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도식적 표현을 통한 보고서 작성 기능을 제공한다.

A Study on survey about CCTV in education facilities (교육시설내 CCTV 설문에 관한 연구)

  • Lee, Y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77-37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교육시설내의 CCTV 설치에 따른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의 작성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다양한 CCTV 관련 설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설문 문항 요소를 추출하거나 개발하여 이를 통한 향후 인식변화에 대한 연구를 완성하고자 한다. 설문 문항 작성에서 CCTV 인지성, 기대성, 수용성 등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설문에 의해 교육시설 내 CCTV에 대한 설치효과에 대한 다양한 가설의 검증과 인식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는 자료를 제시하게 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Survey to Inquire Continuity of English Curriculum betwen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초, 중등 영어 교과과정 연계성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도구 개발)

  • Won, Eun-Sok;Jeon, You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568-579
    • /
    • 2016
  • This study tried to design survey questions to inquire continuity in the English curriculum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integrating English teachers' opinions. To achieve this goal, the authors designed three-step development procedure. First, to set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s elicited main keywords by adopting Keyword Extraction toward precedent studies. Next, implemented a survey to 102 English teachers and analyzed thei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ponses. Among them, 22 teachers were selected as interviewee.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he pilot survey and the interview, this study suggested a survey, containing 40 questions designed to examine seven factors and 3 open-ended questions, to be utilized in researching cognition of continuity of the English curriculum.

여론조사를 위한 설문지 작성방법 - 태도측정을 중심으로 -

  • Oh, Kwang-Sik;Kim, Dae-Hak;Woo, Hyeong-Taek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0a
    • /
    • pp.2-6
    • /
    • 2001
  • 본 발표에서는 환경과학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일반시민들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할 경우에 신뢰성과 타당성을 만족하는 설문문항을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설문지의 구성과 형식을 소개하고 설문지 작성과 문항 선정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핵에너지 태도 측정을 위한 설문지의 단계적 개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 PDF

과학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 고등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 Kim, Nak-Gyu;Ryu, Chun-Ryeol;Lee, Chang-Ji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7-17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의 정도를 정량화 하는데 있어 통일된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측정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 안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과학 탐구 경험, 실험 기구 경험으로 세분화 되며 학교 밖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취미 활동 경험, 현장 견학 경험 6개의 영역으로 구분을 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질문은 NAEP(1987)에서 사용된 과학 경험 검사 도구와 신영준(2000)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의 문항 중 일부를 발췌하고 더불어 과학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설문지를 통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답변 중 빈도가 많은 답변과 중등 교과서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영역별 10문항씩 6개 영역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지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는 2명의 현직 중등교사와 2명의 과학교육전문가가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심사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영역의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 6개 영역으로 구성된 60문항의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cceptance Attitude Scale (한국형 수용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Kim, Kyeong-Hee;Park, Ju-Young;Kwon, Jae-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132-14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acceptance attitude scale and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Study 1 was developed to acceptance attitude scale. First, we extracted the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ing data of to the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24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24 preliminary questions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n through a survey of 355 college students conducted a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As a result, 12 item with two sub-factors(externally acceptance, interally acceptance) was extracted. Study 2 was for the validation of the new acceptance attitude scale was conducted online surveys of 328 adults.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ew acceptance attitude scale and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ere verified for convergent validity. Finally,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this scale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Providing Free Movement between Questions (문항간 이동이 자유로운 교육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ong, Ki-Cheon;Yang, Hee-Y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1 no.2
    • /
    • pp.147-155
    • /
    • 2007
  • Paper & pencil test provides limited informations about student. So many web-based computerized test systems are developed and tried. But These systems have drawbacks that cannot visit previous or next problems freely. So These systems cannot get deep informations such as elapsed time of each problem, history of answer modification, the number of visit time of each problem. These deep informations are very important in educational evaluation area. Therefore we develop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can get these deep informations including basic informations. And then we apply paper & pencil test and our system to 67 students, and execute survey. The reason of survey is to ascertain availabilty of our system.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Teachers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Kim, Rina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9 no.4
    • /
    • pp.649-66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The sample consisted of 150 elementary teachers in 2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total of 21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ale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Dance Giftedness (무용영재성 판별도구 개발)

  • Lee, Jin-Hyo;Lee, Ji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3
    • /
    • pp.161-170
    • /
    • 2012
  •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4 factors of dance giftednes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06 dancer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In order to dancer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4 items, resulting in 20 items of 4 factors; physique, dance attitude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movement abili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292 dance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4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x^2$, Q, root mean square residual(RMR), goodness of fit index(GFI), Tucker-Lewis index(TLI), comparative fit index(CFI),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The concurrent and cross validity indices proved the validity of 20 items of 4 factors.

Antecede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hin, Hye-Sook;Shin, Hyun-Sook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 /
    • v.14 no.1
    • /
    • pp.78-86
    • /
    • 2008
  •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횡단적으로 조사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 문헌의 고찰을 근거로 선정되었으며, 총 28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지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조정요인 5문항, 건강상태 지각 3문항, 건강 통제위 4문항, 자아 존중감 5문항, 건강증진 행위 24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개발된 항목에 대하여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구성개념의 파악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별 단일 차원성 확인 및 통계적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은 244.04(자유도=121, p<0.001), GFI=0.91, CFI=0.97, NNFI=0.96, RMSR= 0.022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위는 건강상태지각 및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여대생의 건강상태지각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