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계 협업

Search Result 57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인터넷 기반 협업을 위한 어셈블리 툴의 구현

  • 김현수;하영명;안대건;이석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7-217
    • /
    • 2004
  • 최근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설계환경이 독립적인 환경에서 점차 협업이 가능한 설계환경으로 확대 되어가고 있다. 이는 지리적인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협업 설계자들은 협업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설계 데이터와 어셈블리 모델을 공유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처리와 활용방안에 따라 협업설계의 효과가 달라지므로 그 중요성은 커지게 된다.(중략)

  • PDF

Design of a Linux-based Collaborative System Using WebDAV (WebDAV를 이용한 리눅스 협업지원 시스템의 설계)

  • Shin Won-Joon;Yu Yang-Woo;Park Yang-Soo;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241-243
    • /
    • 2006
  • 업무환경이 다양해지면서 사람들은 원거리에 있는 사람과 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원거리의 사람들과 협업을 하기 위한 컴퓨터 도구로서 협업지원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웹데브는 웹상의 분산 저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프로토콜로서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 간에 웹상의 자원을 편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HTTP/1.1의 확장이다. 협업지원 시스템을 구성할 때 웹데브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개발된 협업지원시스템 중에서 리눅스 기반으로 동작 협업시스템은 부재한 상대이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기반에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협업시스템의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시스템의 서버는 웹데브 서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Jakarta Slide 서버를 확장하여 협업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하였다. 서버에는 협업작업을 용의하게 할 수 있는 팀작업장을 지원하며 또한 개인적인 자료를 관리할 수 있는 개인작업장을 지원하는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서버에 등록한 자원을 관리 하는 기능과 팀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 하였다. 또한 협업지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새로운 팀작업장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을 구성하고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거나 다른 팀작업장에 참가요청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Project Expected Effect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Management (협업 설계관리를 통한 건설 프로젝트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 Nam, Hye-Won;Lee, Jong-Sik;Chun, Jae-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589-592
    • /
    • 2007
  • While it is these days, and is increased importance as opposed to design management in managing a construction business necessity as opposed to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management between collaboration business business company is regarded as important. An object was put in deriving a flow of a design process about the design management business and a grasp, management element as opposed to management by reason of the first, building design business ability improvement by a study of a book hereby, and an alternative plan of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management for use in design optimization of difficulty of a disagreement, workshop modification city design information chase between books by lack of collaboration business between things of each minimization, company was shown with, air in a base in problems grasp as opposed to a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by the second" work-site operations and a design process management element. Therefore, this thesis is going to show expected effect of a project about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management through systematic practical use about a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 PDF

Development of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for Multiple Participants in Design Projects (설계프로젝트 참여자간 협업지원을 위한 설계협업관리 시스템 개발)

  • Lee, Jee-Hee;Yi, June-Seong;Shin, Seung-Woo;Park, Kyung-Rog;Lim, Ji-Yo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3
    • /
    • pp.23-32
    • /
    • 2010
  • Construction Projects have mutual collaborative structures among various participants for common objectives. Most of all the design project which is the initial phase in the project is crucial for determining project overall quality and requires intimate and continuous relations between project participants. Thus, this study suggests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uccessful performing projects through cooperation among participants in the initial stage of projects. First, expert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present conditions of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and problems. The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draw owner's collaboration factors and engineer's collaboration factors. Based on those factors, this study suggests design cooperation management process which gives a framework for systematic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process the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which helps owner/designers/engineer's co-work. The System suggested from this study realizes systematic information management tool and through that it is expected to improve design product;'s quality, and further contribute the advancement of project.

Design of Supporting Awareness on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using Java Message Service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CoSlide 협업시스템의 Awareness 지원 설계)

  • Kim, Seong-Hune;Lee, Hong-Chang;Park, Jong-Mun;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213-217
    • /
    • 2008
  • 협업시스템은 분산된 작업그룹의 구성원들이 정보를 쉽게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작업환경이다. HTTP/1.1 을 확장한 WebDAV는 사용자가 원거리 서버의 자원을 수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 통신 프로토콜이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효과적으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WebDAV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개발된 협업시스템으로서 협업을 위한 가상공 간을 제공하며 가상공간에 다양한 자원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CoSlide 협업시스템이 제공하는 기존의 작업장들은 그룹 구성원들간의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구성원들의 행위 인식 (Behavior Awareness) 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할 때, 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성원이 수행하는 행동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CoSlide 서버의 Awareness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CoSlide 서버의 Awareness 지원을 위하여 CoSlide 클라이언트인 CoSpace의 확장을 설계하였다. 사용자는 CoSpace 협업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하면 CoSlide 서버는 구성원이 수행하는 작업을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의 공개수준 여부와 수신여부를 참조하여 관련된 구성원에게 알려줌으로써 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 PDF

A study on design and analysis of collaboration oriented system (협업 지향적 시스템 설계와 분석에 관한 연구)

  • Shin, Mun-Bong;Chun, Seung-Su;Son, H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78-180
    • /
    • 2012
  • 협업은 둘 이상의 사람들이 하나의 업무 또는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공동으로 협력하여 일하는 것이다. 최근 개인 및 조직 간 협업 범위가 공동분석, 데이터 연계, 서비스 조합 등으로 확장되고 대용량 데이터 공유 및 실시간 연계분석 활동이 증대되면서 협업 지향적인 시스템 설계와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지능화된 협업 기반은 데이터, 프로세스, 서비스, 사람 간의 다차원 연계와 실시간 활용, 의미 기반의 기계적 협력을 전재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ta, Process, Service, People 측면의 4가지 계층으로 전사적 자원을 설계하고 메타 메타데이터 기반의 온톨로지 분석을 통해 자원 간의 연계와 조합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했다. Data 계층은 프로세스별 Input, Output 정보를 식별하여 Data의 메타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검색 에이전트가 색인하여 모델링에 참조할수록 한다. Process 계층은 BPMN모델을 확장한 exCPM의 개선 모델을 바탕으로 프로세스를 수행주체 간, 정보공유측면에서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Service 계층은 협업지향적인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서비스로 인식하고 프로파일을 통해 협업을 위한 검색과 프로세스를 연계지원하도록 설계 했다. 마지막으로 People계층은 자원, 프로세스, 서비스 등 시스템에 관여하는 참여자들의 메타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온톨로지 기반의 모델에 통합하여 자동 검색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와 서비스 측면에서 협업을 요구하는 에이전트와 일반 검색 사용자들이 프로세스 간 협업 자원을 파악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와 서비스 간의 자동적인 조합을 통해 통합적 자원 협력과 실시간 협업 지원 기반을 제시했다.

A Conceptual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Drawings on the Basis of Collaboration (협업기능에 기반한 설계도면 표준화의 개념정립에 대한 연구)

  • Chin Kyung-Ho;Han Seung-Hun;Ryu H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593-597
    • /
    • 2003
  • As construction projects are complicated and large in scale, a collaboration between project participants is getting more emphasized over the last few years. The collaboration tools for participants are various. but traditionally drawings and specification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though storage form in drawings vary in entire construction lifecycle, drawings are still important as the core factor in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streams in regard to usefulness and reusability of information. As an attempt to standardize drawings in the public construction based on CALS/EC, this study analyzes user's requirements for drawings qualitatively, and looks into drawings standards in Korea, America and Japan, and each kind of ISO standard for drawings. And this study predicts future-oriented user's requirement for drawings based on Construction CALS/EC, and presents future-oriented direction of development applicable in domestic drawing standard in construction.

  • PDF

Design of a Collaborative System Client based on WebDAV (WebDAV기반 협업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설계)

  • 신원준;황의윤;김진홍;문남두;이명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478-480
    • /
    • 2004
  •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하여 지역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공동작업을 지원하는 협업시스템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또는 각자의 고유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정의하여 구현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협업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이 결여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W3C의 IETF에서는 협업지원을 위한 WebDAV 명세가 발표되었다. WebDAV는 웹상의 공동 저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프로콜로서,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들 간에 인터넷상의 파일을 편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HTTP의 확장이다. 이를 이용하여 협업시스템을 구성하면 협업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 다. 협업시스템의 클라이언트는 협업지원 서버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하고 팀원들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 하게 이루어 져야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WebDAV 프로토콜을 이용한 협업시스템의 클라이언트를 설계하였다. 고급기능으로 사용자가 협업지원 서버의 파일을 편집할 때 자동으로 저작프로그램을 연결하고 저작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파일의 변화된 내용과 파일의 버전관리를 실시간으로 서버에 적용될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또한 드래그앤드롭(Drag & Drop)을 통한 파일이동을 지원하고 파일의 읽기모드와 쓰기모드를 지원하는 기능을 설계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D Collaboration System for Open Innovation (개방형 혁신을 위한 R&D 협업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ang, Yeong-Ho;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206-208
    • /
    • 2011
  • 전통적 R&D 협업시스템은 불특정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독립적으로 일을 하는 협업 시스템으로 인터넷 기반의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나 위키(Wiki)와 같은 협업 툴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협업적 작업을 위한 방법이 다양하고 외부에 많은 부분을 의존함으로써 프로젝트 참여자의 혼란이 가중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위한 개방형 R&D 협업시스템을 설계하고 커뮤니티 도구와 시맨틱 전문가 검색 시스템 개발을 통해 R&D 협업시스템을 구현하여 시범 서비스를 수행한 사례를 제시한다. 개방형 R&D 협업 시스템은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이디어 수집을 위한 채널과 사용자의 행동 예측 및 정보 매칭 기술 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R&D 협업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미래 전 산업 연구 개발 분야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R-Station : A Virtual Reality Collaborative System for the Urban Planning (AR-Station : 도시설계를 위한 가상현실 협업 시스템)

  • 임진묵;김병철;이현정;원광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93-495
    • /
    • 2004
  • 본 논문은 도시계획과정에서 도시설계안을 행정가, 설계자, 지주, 인근거주자 등에게 제시하고 이들의 요구사항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도시설계를 위한 가상현실 협업시스템인 AR-Station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다양한 참여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을 위하여 가상 도시 모델을 시각화하기 위한 Hybrid Scene Graph와 직관적인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한 탠저블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참여자들의 작업공간은 시스템과 참여자들 사에의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반영공간과 인터랙션공간으로 구분하여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