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계 체크리스트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7초

도면정보의 범주화를 통한 설계VE 점검 체크리스트 개발 방법 (The Develope Methodology for the Design Value Engineering Checklist by Categorizing the Drawing Information)

  • 송지원;하영서;유정호;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63-867
    • /
    • 2008
  • VE는 원가절감, 공기단축, 품질향상, 안전성 향상이라는 네 가지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다. 설계VE의 중요성은 계속 부각되고 있으며, VE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E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설계VE 점검 체크리스트 개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체크리스트의 개발방법은 도면정보의 범주화를 통해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소들을 바탕으로 체크리스트 항목을 작성한다. 작성된 항목을 바탕으로 공종별 전문가 검토를 통해 설계VE 점검 체크리스트를 개발한다.

  • PDF

맞춤식 체크리스트를 응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ing Concrete Quality Control using Customized Checklist)

  • 박상민;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53-62
    • /
    • 2000
  •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구조 건물의 주요 구조 재료로서, 그 재료적 설계 물성은 생산ㆍ준비$\cdot$타설$\cdot$보양$\cdot$마감 및 보수/보강 등 여러 단계에 걸친 복합적 프로세스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콘크리트는 주요 설계 물성이 상당한 시일이 경과한 후 달성되는 재료적 특성으로 인해서 결함을 발견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결함을 수정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과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재료적 설계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각 단계별로 소요 성능을 측정하고 선행 단계에서의 결함이 후속 단계로 전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최종 단계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전체 설계 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 절차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 품질관리 절차서를 분석하고, 둘째 분석 결과에 따라 새로운 다중 코드를 이용한 맞춤식 체크 리스트를 제시하며, 셋째 맞춤식 체크리스트를 활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 유지관리시 유용하게 사용될 콘크리트 이력데이터 구축방법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맞춤식 체크리스트를 현업에 적용하고 적용성을 보완한 개선된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 PDF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위한 사용성 평가 체크리스트 설계 (Design of Usability Heuristic Evaluation Check Lists for e-Commerce)

  • 성숙정;정미혜;최영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524-52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매 단계마다 실시되는 여러 사용성 테스트들 중 프로토타입의 사용성 테스트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휴리스틱 평가 방법에 기초 하여 사용성 평가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설계하였다. 이 체크리스트를 '천연화장품'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과정에 적용한 결과 사용자의 생각을 정확하게 유도해내고 즉각적으로 피드백하여 제작 기간을 단축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 PDF

공사용도면 현황분석에 기반한 일반업무시설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개선방안 (Checklists for Construction Drawings of Office Buildings based on Working Drawing Analysis)

  • 이범구;정태환;박형진;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11
    • /
    • 2010
  • 현재 실시설계도면 작성과정에서 시간, 비용 등 제한조건으로 인해 실시설계도면 자체의 품질저하가 발생하고 있으며, 시공상세도는 표준화된 기준이 없이 임의적으로 작성되고 프로젝트 완료 후 대부분이 폐기가 되어 설계단계로 피드백 되지 않아 실시설계도면 품질저하의 악순환이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설계도면과 시공상세도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일반업무시설에 대한 기존 실시설계 체크리스트를 기본으로 공사현장에 요구되는 정보와 시공상세도를 반영하고, 설계자의 설계도면 구성 분류에 따른 검토항목과 시공자의 공사별 분류 방법에 따른 검토항목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시공성을 반영한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실시설계도면과 시공단계가 연계된 공사별 통합 체크리스트의 활용성을 위해 인덱스 매트릭스를 개발하였으며, 실무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플랜트사업 설계사례의 체크리스트기반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Engineering Checklist Model for Case-based Evaluation of Plant EPC Project)

  • 이상엽;손재호;유영훈;한충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46-152
    • /
    • 2008
  • 2000년대 후반 들어 플랜트산업은 초유의 호황기를 누리고 있으나, 시장 확대에 따라 사업주의 품질, 기술요구가 점차 강화되고 있어 이러한 국내 플랜트 산업이 대외경쟁력을 구비하고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우수한 설계능력의 확보를 통한 고부가가치 기술집약산업으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우수설계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도출과 그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객관적인 사례평가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사업의 설계사례의 체크리스트기반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우선 국내외 플랜트 EPC 산업현황과 체크리스트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설문을 통해 각 설계분야의 업무항목별 중요도와 업무별 체크리스트 항목의 중요도를 도출하여 체크리스트 평가에 따른 정량적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델의 사례평가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플랜트 설계사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우수사례의 도입 초기 단계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건설사업 단계별 업무 체크리스트를 향후 산업계와 학계, 연구계의 상호 협동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와 적용을 통해 발전시켜 나간다면 국내 EPC업체의 우수설계능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물 유지관리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 Checklist (Design Checklist for Improving Building Maintenance)

  • 백하규;김승진;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11-119
    • /
    • 2005
  • 건축물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에 따라 기존건축물의 유지관리 이외에도 신축건물에서의 유지관리 및 장수명화를 위한 설계가 중요시되고 있다 그동안 공동주택과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설계의 표준화, 리모델링 활성화, 장수명화를 위한 설계 기법들에 관한 연구가 몇 번 있었지만, 원칙제시와 개별요소기법에 그치고 있어 실제 설계프로세스에 반영하는 데에는 미흡하다. 특히, 건축물 유지관리성능 향상을 전제로 설계 단계부터 검토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가 개발된 사례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지관리, 리모델링, 장수명화 등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분석 $\cdot$ 통합하여 건축물 유지관리성능 향상을 위해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문헌에 대한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유지관리 검토항목을 도출하였으며, 계획, 구조, 마감, 설비분야로 구분하여 설계단계별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이 체크리스트는 실제 설계과정에서 유지관리 성능 향상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재해예방을 위한 건축공사 설계단계 안전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Preventing Accidents During Building Design Phase)

  • 한병수;박찬식;홍성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68-74
    • /
    • 2007
  • 지금까지 건설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건설공사의 안전관리는 시공단계에서만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사망재해의 15%가 작업자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적절한 설계에 의해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설계(안)에 존재하는 안전 위험성을 조기에 발굴 및 평가하여 제거 및 최소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안전을 위한 설계(Design for Safety)' 개념을 활용하여 설계(안)에 존재하는 안전 위험요소를 발굴 및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영국 산업안전보건청(Health and Safety Executives)에서 활용하고 있는 설계단계 안전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의 구조, 활용절차 및 문제점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 부위 및 공종별 안전 위험요소와 원인의 분류, 안전수준의 정량적 평가, 안전위험요소의 제거 및 최소화를 위한 안전설계지침 및 관련 안전기준을 반영한 새로운 안전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설계단계 안전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는 건축공사 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조기 예방하는데 있어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Facet 개념을 이용한 설계 VE 점검 체크리스트 도출 방법 (A Drawing Method of Checklist for Design VE Using Facet Concept)

  • 안상현;이재명;유정호;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05-408
    • /
    • 2008
  • 건설산업에서 설계의 경제성 검토(VE)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VE의 효과에 대한 사례도 다양하게 도출되고 평가되고 있다. VE 수행 절차에서 아이디어 도출 단계는 실질적인 비용절감효과를 가져오는 중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아이디어 도출 단계에서 참고 가능한 설계 VE 점검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VE 수행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를 대상으로 파셋 개념을 활용한 설계 VE 점검 체크리스트 도출방법 및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기존의 VE 수행 절차와 병렬적으로 사용 가능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BD 방법론의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체크리스트 (A Checklist for Improving Interoperability of CBD Methodology)

  • 김우열;류동국;김영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406-408
    • /
    • 2005
  •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 확보가 정점 중요한 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개발의 초기(요구사항 분석)단계에서 부터 개발이 완료될때 까지 상호운용에 관련된 여러 사항을 개발 및 확인하여야만 최종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BD 방법론을 바탕으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개발되는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소개한다. 논 논문의 상호운용 체크리스트는 컴포넌트의 개발 과정 즉, 요구사항 분석, 설계, 개발, 시험, 설치에 이르는 각각의 과정에서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점검 및 수행하여야 하는 사항들을 제시한다. 본 체크리스트의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상호운용 관련 사항들은 LISI 질의서와 공통운용환경(COE)의 적합성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작성하였다.

  • PDF

초고층 복합건축물 적용을 위한 개방형 BIM 데이터 품질관리 체크리스트 개발 (A Development of BIM Quality Assurance Checklists for Applying Super-tall Buildings)

  • 김인한;조근하;최중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71-374
    • /
    • 2011
  • 본 연구는 개방형 BIM 환경의 품질관리 기준 확보를 목적으로 건설 산업의 공통업무분야와 추가적인 세부업무분야에 대한 품질관리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공통업무는 일반적인 목적으로 적용 가능한 설계기준, 시설기준, 시공기준으로 대상을 분류하고, 세부업무는 초고층 건축물의 개방형 BIM적용 및 활용 목적에 따라 피난동선 검토, 에너지 분석 검토 측면으로 대상을 분류하여 각 분야 별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체크리스트가 검증을 통해 실무에 적용되면 BIM 모델의 작성 기준 및 지침과 연계되어 요구되는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모델링을 유도하며 BIM 모델의 품질향상의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