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계 시스템

Search Result 36,565,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Representation of System Design Information for Developing Computer-Aided Structural Design System (구조설계 CAD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 설계정보의 표현)

  • 이창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371-382
    • /
    • 1998
  • 지난 수 십년 간 컴퓨터는 구조설계에 있어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구조설계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설계에 관련된 정보와 작업을 정형화한 표현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구조설계에서 설계정보와 설계작업의 이해와 표현이 어려운 분야의 하나인 시스템설계에 대하여 논하고 있으며, 빌딩 프레임구조물의 시스템 설계정보를 표현하는 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3차원 공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기준평면과 그리드 라인을 정의하였으며, 빌딩 프레임구조물의 시스템을 프레임 서브시스템, 플로어 서브시스템, 시스템요소 기둥의 세 종류의 요소로 분해하였다. 시스템요소 기둥은 프레임의 요소가 아니고, 시스템의 요소이다. 시스템 설계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이와 같은 방법을 개체형 통합설계모델의 표기법을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개체형 통합설계모델은 설계정보와 설계작업을 표현하기 위하여 각각 프로덕트 개체와 프로세스 개체를 이용한다. 시스템 설계정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정의한 프로덕트 개체들은 정형화된 시스템 설계정보를 표현하는데, 이것은 구조설계 CAD 시스템 개발에 유용하다.

  • PDF

의장설계 일관시스템 개발

  • 이종갑;장영웅;박영종;전동헌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4
    • /
    • pp.33-36
    • /
    • 1993
  • 본 과제는 의장설계 분야의 기본설계, 기능설계, 상세설계 및 생산설계 단계를 전산화하여 설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품질의 생산정보 및 생산관리 기초정보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는 의장설계일관시스템(Fig. 8.1)의 구축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3개의 세부과제로 분담, 수행되었다. .CSDP-의장설계시스템 개발 : KRISO의장설계 일관시스템의 설계 및 관련 요소시스템의 통합 화를 위한 기반시스템의 개발'5' .CSDP-의장CAD응용기술 개발 : 현대중공업 범용 CAD시스템의 조선 전용화를 위한 의장설계 각 분야별 요구기능의 분석 및 정의'12' .CSDP-배관배치모델링기법 개발 : 대우조선 범용 CAD시스템을 토대로 한 배관설계시스템의 초기 계? 단계의 배치모델링 기법 개발'15' 본 고에서는 의장설계 일관시스템의 기본개념, 범용 CAD시스템을 중심으로한 분야별 일관시스 템의 구축을 위한 기능분석 및 기법 개발, 시스템 통합환경 구축, 그리고 향후 조선CIMS를 목 표로한 제품모델 개념의 생산지향 의장시스템 모델에 관한 개념설계 결과를 중심으로 서술하 였다.

  • PDF

Cognitive Systems Engineering as a New Approach to Designing Software-Based Systems (소프트웨어 기반 시스템을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법으로서의 인지시스템공학)

  • Ham, Dong-Han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4 no.3
    • /
    • pp.229-236
    • /
    • 2012
  •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설계자가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이 다양해지면서 시스템 설계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다양한 설계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사용자의 특성 및 직무, 사용가능한 정보기술의 특성 등이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또한 정보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과 시스템의 상호작용이 점점 인지적인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성 높고,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설계자가 사용자의 인지적인 요구사항 및 그들의 직무를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공학, 시스템 공학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등에서의 전통적인 시스템 설계 방법은 이러한 설계자의 설계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 대안으로 인지시스템공학(cognitive systems engineering; CSE)은 인간중심의 설계철학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기반의 복잡한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설계자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유용한 개념과 방법을 제공해주고 있다. CSE는 원래 사람이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해야 하는 복잡한 사회기술적 시스템(예: 원자력발전소 및 공항관제소)의 분석, 설계 및 평가를 위해 태동한 학문이다. 그러나 CSE에서 제공하는 이론적 및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 논문은 CSE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개념 및 원칙을 고찰하고 소프트웨어 기반 시스템 설계에의 활용가능성 및 그 방안을 논의한다.

Process Management for Integrated Design Model (통합설계모델을 위한 프로세스 제어)

  • 이창호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249-264
    • /
    • 2001
  • 빌딩골조 구조물의 구조설계는 시스템, 서브시스템, 기본 부재의 여러 설계 단계에 걸쳐서 복잡하게 진행된다. 여러 가지 설계 대안들을 고려하고 비교하여 선택하는 작업을 설계과정에서 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한 가지의 구조시스템과 이와 관련한 서브시스템 및 기본 부재들을 결정해야 한다. 빌딩골조 구조물을 위한 컴퓨터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설계과정을 정형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서브시스템, 기본 부재 단계에서의 설계과정을 표현하기 위한 개체형 통합설계모델의 프로세스 개체들을 소개한 후에 각각의 프로세스개체 내의 설계흐름을 기술하였고, 세 가지 설계 단계에 걸쳐 있는 많은 프로세스 개체간의 설계흐름을 제어를 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프로세스 개체간의 제어는 어떠한 개체내의 프로세스가 끝났는가를 파악하여 구조설계를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든 개체의 프로세스가 끝났는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프로세스 제어의 개념은 빌딩골조의 구조물을 위한 컴퓨터 통합시스템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 PDF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전자식 대금결제 시스템 설계

  • 권영직;조현준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 no.2
    • /
    • pp.143-158
    • /
    • 1997
  • 본 논문은 전자상거래 시스템구현을 위하여 우선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물리적 시스템, 인증기관, 전자상점 시스템, 전자지불 시스템, 전자인증서,발급체계 , 전자상거래 동작체계를 중심으로 설계하여 두었다. 그리고 보안 시스템 설계, 대금결제 시스템 설계, 전자지불 시스템 설계,전자화폐 설계에 대해서도 제시하여 두었다.

  • PDF

Software Development for Glass Automatic Design Integrated System(GAD1S) using Design Axiom (설계 공리를 이용한 TV 브라운관 유리 제품 설계 자동화 시스템 구축)

  • 도성희;이정욱;박경진;김창훈;김재선;최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878-883
    • /
    • 1994
  • 최근들어 국내 제조업 분야의 대외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산업체에서는 여러가지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경행이 지배적이다.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및 개상은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으며 그 중에서 설계를 담당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은 제품 생산을 위한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대상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설계 과정은 상당히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으로서 최종 제작 도면을 만들어 내기까지에는 몇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들 과정을 설계를 수행하는 기술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처리할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제품생산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공리를 이용하여 제품 설계의 전 과정을 분석하고 제품 설계자가 쉽게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용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표를 둔다. 개발된 소프트웨어 대상은 TV브라운관 유리제품(glass bulb) 으로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제품 설계의 전과정을 설계공리의 관점으로 재 조명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몇 가지 소프트웨어를 구축하였다. 전체 시스템은 메뉴 시스템을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설계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System Decomposition Techniques in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Problems Using Genetic Algorithms and Neural Networks (유전알고리즘 및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다분야통합최적설계문제의 시스템분리기법 연구)

  • 김우석;이종수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4
    • /
    • pp.619-627
    • /
    • 1999
  • 다분야 통합 시스템의 설계문제는 다량의 설계변수와 구속조건으로 구성되며 다수의 공학적 현상으로 연관되어 있다. 다분야 통합 최적설계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석분야의 공학적 설계원리를 동시에 고려하여 균형 있고 유기적인 방법으로 최적의 설계를 결정하는 체계적인 설계자동화기술이 요구된다. 다분야 통합 설계문제를 위한 효율적인 설계방법론으로 분리기반 최적화 기법이 적용되는데 이 방법은 한 단위의 대규모 설계문제를 여러 개의 하부시스템으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최적화를 수행하고 각 하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설계해 사이의 중재 및 통합화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렴된 최적설계를 찾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리기반 최적화기법을 다분야 통합최적 설계문제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시스템분리기법을 유전알고리즘 및 다층 역전 파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정립하였다. 시스템분리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최근 미국 Boeing사에서 개발중인 고속 민간항공기인 HSCT의 시뮬레이션기반 설계문제를 이용하였다. 대규모 설계시스템의 분리결과는 전체 설계문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며 향후, 분리기반 최적화과정에서 최종적으로 통합된 최적설계를 탐색하는데 필요한 기반구조를 제공한다.

  • PDF

설계 패턴의 자동 추출을 위한 역공학에 관한 연구

  • 황하진;차정은;김행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83-88
    • /
    • 1997
  •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을 실험,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이해를 획득하고 나아가 재사용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역공학이 필요하다. 또한 설계 문제의 추상화와 특정 영역의 일반적인 해결책에 대한 정보 표현 및 그 관계는 패턴 형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시스템의 설계 구조 를 추출하여 시스템 분석과 설계를 향상시키고 표준화 된 설계 용어 및 컴퍼넌트 관계 구조 를 통해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설계 패턴 추출을 위한 역공학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 문에서는 기존 코드에서 설계 패턴 추출을 위한 역공학 적용의 타당성과 설계 패턴 자동 추 출을 위한 몇 개의 알고리즘을 살펴보고 간단히 적용시켜 본다.

  • PDF

Formal Design for Nuclear Power Plant Embedded Digital Plant Protection System (원자력 발전소 내장형 Digital Plant Protection System의 정형적 설계)

  • 김진현;김일곤;성창훈;이나영;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88-90
    • /
    • 2001
  • 원자력 발전소 내장형 시스템은 안정성과 신뢰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Safety-critical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설계는 모호성이 없는 정형명세 언어로 설계함으로 설계자와 구현자 사이의 모호성 없는 의사전달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특히 원자력 발전소 내장형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설계자는 그가 설계한 설계를 시험(Validation)하고 검증(Verification)하는 기법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시스템이 복잡해질수록 설계도 내의 오류를 발견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상태를 만들어내어 검사하는 형태의 검증 기법인 정형기법을 통하여 Safety-critical 한 내장형 시스템의 설계를 검증함으로 보다 완벽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Co-design of Nuclear Power Digital Plant Protection System using Ptolemy (PtolemyII를 이용한 디지털 원자력 발전소 보호시스템의 통합 설계)

  • Kim, Jin-Hyun;Hwang, Hye-Jung;Lee, Na-Young;Choi,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35-438
    • /
    • 2002
  • 원자력 발전 및 항공 시스템과 같은 실시간 시스템의 설계는 대표적인 Safety-critical 시스템으로서 그 설계로부터 구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안정성을 보장하는 설계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내장형 시스템은 근래에 들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설계를 통해 설계초기부터 안정성과 일관성 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이 혼합된 Heterogeneous 시스템의 통합 설계 도구인 PtolemyII[1]을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 내장형 시스템의 일종인 Digital Plant Protection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함으로 Safety-critical 시스템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을 요하는 시스템에 통합설계를 적용시켜 본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정형 검증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