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계환류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Optimal feed compositon of pressure swing distillation system to separate methanol and acetone (메탄올-아세톤 분리를 위한 압력 변환 증류 공정에서 환류를 통한 유입 조성 최적화)

  • Yoon, Young Gak;Seo, Sung Kwon;Lee, Chul-Jin
    • Plant Journal
    • /
    • v.13 no.3
    • /
    • pp.26-29
    • /
    • 2017
  • In this research, the composition of the feed stream is optimized in pressure swing distillation for separating of methanol-acetone. It is well known that the composition of feed stream in pressure swing distillation syste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easibility to separate mixture. The workscope of this study is to show better separation efficiency at specified pressure by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feed stream with recycle of two products. Based on the base case without recycle flow, two processes are designed that methanol and acetone are recycled to feed stream, respectively. Each processes are compared with total annual cost and as a result, the base case without recycle flow are most favorable.

  • PDF

A Study on the Simulation of Chemical Heat Pump System Based on 2-Propanol /Acetone/Hydrogen System (2-Propanol/Acetone/Hydrogen 반응계로 구성된 화학적 열펌프 시스템의 모사 연구)

  • 김범재;여영구;정연수;송형근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5 no.1
    • /
    • pp.43-50
    • /
    • 1996
  • 2-propanol/acetone/hydrogen 반응계로 구성된 화학적 열펌프 시스템은 낮은 온도(82.5~$90^{\circ}C$)에서의 2-propanol의 탈수소화 반응과 높은 온도(약 $200^{\circ}C$ 부근)에서의 acetone의 수소화반응을 이용하여 열을 고품위화 시키는 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를 목적으로 이 시스템에 대한 수치적인 모델들을 세우고 Sequential modular approach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모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열펌프 시스템에서의 환류비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모사결과 이 시스템의 scale up을 위한 정량적인 정상상태 운전조건들을 구할수 있었으며 두 반응의 반응 전화율이 다르더라도 반응물의 유량의 차이를 통하여 두 반응열이 거의 같아지는 것을 알수 있었다. 아울러 주어진 운전조건에서 증류의 환류비는 최소환류비 근처의 최적값이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 PDF

A New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Method for High Efficiency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with Coupled Inductor Rectifier (고효율 결합 인덕터 정류단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를 위한 새로운 동기정류기 제어 기법)

  • Kim, Jae-Sang;Kim, Keon-Woo;Moon, Gu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45-14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결합 인덕터 정류단을 갖는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동기정류기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결합 인덕터 정류단을 활용하면 1차측 환류 전류를 감소 시켜 도통 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동시에 줄어든 전류로 인하여 레깅-레그 스위치의 영전압 스위칭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자화 전류를 이용할 수 있지만, 컨버터가 넓은 출력 전압 범위로 설계되는 경우 낮은 시비율을 기준으로 작게 설계된 자화 인덕턴스로 인하여, 높은 시비율로 구동 시 과도한 자화 전류로 인한 불필요한 도통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제안하는 제어 기법은 기존 동기정류기 제어와 달리 동기정류기를 기존보다 먼저 구동시켜 1차측에 환류 전류를 순간적으로 재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레깅-레그 스위치의 영전압 스위칭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자화 전류로 영전압 스위칭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1차측의 도통 손실을 줄여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제안하는 동기정류기 제어 기법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400V 입력, 27-54V/13A 출력에서 실험 검증을 진행하였다.

  • PDF

Case Study on Capstone Design Model for Computer Engineering (컴퓨터공학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모델 사례 연구)

  • Kang, Hwan-Soo;Cho, Jin-Hyung;Kim, Hee-Cher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57-66
    • /
    • 2016
  • In this paper, we describe capstone-related courses in the Computer information department of Dongyang-Mirae University and propose a capstone design model for computer engineering discipline based on operating experiences during the last year. Class schedules and contents, etc are presented from the case studies of two courses on system analysis and design and graduation work(capstone design) opened in 2015. Towards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apstone design targeted to training practical and talented professionals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we propose six execution steps along with principal activities and outputs: Course plan, Project plan, Development, Reporting, Evaluation of students and coursework, and Course feedback. The capstone design model of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present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re and post steps such as 'Course Plan' and 'Course reflux' from a macroscopic view and by applying software engineering techniques such as prototyping, configuration managements, etc to it.

Process Simulation and Optimization of Fuel Cell System including CFD Modeling of Diesel Desulfurizer Unit Process (디젤탈황 단위공정의 CFD 모델링을 포함한 연료전지 시스템 공정설계 및 최적화)

  • Choi, Chang Yong;Im, Do Ji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6 no.3
    • /
    • pp.421-429
    • /
    • 2018
  • We performed process and CFD simulations of a 100 kW fuel cell system. By process simulation, we derived the input flow rate of each unit process and the recycle diesel flow rate. Through CFD simulation considering the recycle diesel flow, more efficient operational condition was found. Using 6 desulfurize reactors, a TSA process for a 100 kW fuel cell system was successfully constructed. Heat interference between reactors was found to be negligible.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uel cell system and the developed desulfurizing module design will contribute to the clean petrochemical technology as well as fuel cell systems.

A High Efficiency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with Wide Input Voltage Range (넓은 입력전압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가지는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

  • Han, Jung-Kyu;Choi, Seung-Hyun;Moon, Gu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넓은 입력전압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가지는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는 풀브릿지 구조로 인한 스위치의 작은 도통 손실과, 영전압 스위칭 등의 특징으로 인해 높은 용량에서 널리 쓰이는 토폴로지이다. 하지만,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는 넓은 입력전압 범위에서 설계되면 1차측에 큰 환류 전류가 생겨 도통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회로는 추가 소자 없이 간단히 2차측 정류기 구조를 바꾸어, 1차측 환류 전류를 제거한다. 이로 인해 제안하는 회로는 넓은 입력전압 범위에서도 높은 효율을 가진다. 제안하는 회로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320-400V 입력 전압과 56V/12.8A의 출력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 PDF

Digital Calori-Meter Auto-Testing System Design (디지털열량계 자동검사시스템 설계)

  • 박재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729-736
    • /
    • 2000
  • 본 논문은, PC의 프린터 포트에 연결하여, 디지털적산열량계의 정확한 작동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생산된 디지털열량계의 품질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설계에 관하여 연구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 설계된 장치를 사용하면 일시에 최대 13개의 디지털 열량계를 테스트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열량계연산부, 열량계지시부, 제어부, PC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장치를 이용하면 열량계의 송류온도, 환류온도, 온도차등이 정확하게 측정되고 있는가를 테스트 할 수 있고, 열량계의 연산부가 열량을 오차범위 내에서 연산하는가를 테스트하여 열량계의 합격/불합격을 판정할 수 있으며, 열량계가 불합격 판정을 나타낼 경우, 연산부의 측정값을 읽어 불합격의 원인을 추적할 수 있고, 테스트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결과 보관, 프린트 등이 가능하다.

  • PDF

월성 발전소의 삼중수소 제거를 위한 촉매복합공정 해석

  • 배재흠;이준식;이한수;정흥석;김광락;송명재;손순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1
    • /
    • pp.121-132
    • /
    • 1995
  • 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가동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수는 삼중수소로 오염된다. 오염된 중수의 정화에 적합한 공정으로 평가되는 기액촉매교환-화학평형 -증류공정으로 이루어진 촉매복합공정의 주요 설계변수를 설정하여, 이 변수들이 촉매탑 및 증류탑의 용적과 초저온 냉동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촉매탑은 조작선 기울기가 약 0.634, 그리고 제 1, 제 2 증류탑의 농축율 및 삼중수소 제거율을 변화시킬 때 최적 환류비 값이 각각 약 7과 4.7일 때 최적조건임을 밝혔다. 그리고 저온증류공정해석을 위하여 Fenske, Underwood, and Gilliland Equation과 Smoker Equation을 사용하여 이 두모델식의 계산값을 비교 검토한 결과 거의 유사한 설계값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hree-level PDP Sustain circuits with Six-switches (Six Switch를 적용한 Three-level PDP Sustain Circuit)

  • Nam Won-Seok;Roh Chung-Wook;Han Sang-Kyu;Hong Sung-Soo;SaKong Suk-Chin;Yang Hak-Chu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384-38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AC Plasma display panel(AC-PDP) 구동을 위한 Six-switch를 적용한 Three-level PDP Sustain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 회로는 기존 회로의 Sustain 스위치와 Clamp 다이오드의 내압이 절반이 되어 특성이 우수한 반도체 소자의 채택이 가능하며, 환류 전류가 저감되어 높은 전력 효율을 가지는 장점을 가지므로 AC-PDP 구동 회로 설계에 매우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회로와 제안 회로의 전도 손실 계산 및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를 보였다.

  • PDF

Elicitation of Chemicals Requiring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in Chemical Accidents (화학사고 시 응급의료정보 제공이 필요한 화학물질의 도출)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07-308
    • /
    • 2016
  • 본 연구는 화학사고 시 피해에 대한 응급의료정보를 신속, 적정히 제공, 관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며, 그 내용으로서 화학사고 응급의료 정보 및 대응 시나리오를 포함한 컨텐트를 제작하여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운영하게 될 때 사용 가능하게 하며, 직접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응급의료진이 직접 참여하고 관련 기관이 연계되어 시범 운영함으로써 그 결과를 환류, 수정 반영하여 응급의료 정보가 적절히 제공되는 지속적인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가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내용이며 이를 위하여 학사고 시 응급의료정보 제공이 필요한 화학물질의 도출의 적절한 방법에 대한 분석과 제안을 통하여 화학사고 응급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 운영 기반 확보하는 기초 구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