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계화재

Search Result 1,07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haracteristics of the Train Car Fire Curve (철도차량화재곡선의 특성 분석)

  • Lee, Duck-Hee;Park, Won-Hee;Jung, Woo-Sung;Kim, Ch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06-111
    • /
    • 2011
  • 철도차량의 화재 시 방출되는 열방출률 곡선은 철도터널 설계 시 방재규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하지만 이 열방출률 곡선은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원의 시나리오 및 터널복사나 주변유동과 같은 환경변화에 따라서 다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를 포괄할 수 있도록 대표선도로 표준화된 화재곡선을 선정하여 터널의 설계화재로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은 실물화재 시험 및 FDS를 이용한 철도차량 화재시뮬레이션과 ISO 9705 설비를 이용한 간단한 화재시험 등의 결과를 분석하여 플래시오버 전 후 단계에서 나타나는 철도차량의 화재곡선 특성을 분석하고 룸코너 시험설비를 이용하여 프리플래시오버 단계의 화재곡선 추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s (고체 가연물의 화재성장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Su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2-115
    • /
    • 2011
  • 본 연구는 고체가연물의 초기 점화 및 화재성장과정에서의 발열량을 대형화재발열량계(large scale fir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화재발생 초기에 화재성장특성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에 적용된 고체가연물 화재는 단일/이중 목재화재,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쿠션화재, 목재 및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카페트 화재이며 화재발달 단계에서의 화재성장특성을 시간 제곱 화재성장 시나리오와 비교분석하고 고체 기본가연물의 화재성장과정을 이해한다. 구획조건이 화재발열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유연소상태와 ISO-9705 화재실 내부에서 화재실험이 수행되었으며 화재성장특성과 최대발열량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화재와 화재시나리오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고체가연물의 발열량 데이터 및 화재성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간조건에 따른 발열량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penetration of the builing fire compartment (방화구획 관통부에 관한 연구)

  • Park, Jong-Jin;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7-41
    • /
    • 2010
  • 스프링클러설비와 방화구획 구성요소는 화재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에 15층이하 아파트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없어 화재시 방화구획에 의존해야 되는데 방화구획 관련 설계, 시공, 감리가 미비하여 화재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설비슬리브, 전선관, 덕트등이 방화구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경우 그틈을 시멘트모르타르나 기타 불연재료로 메우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화재발생시 관통부를 메운 재료의 내화성능 부실, 균열, 탈락 등으로 화재안전성이 떨어진다. 현장에서의 설계, 시공, 감리등 대응하는 자세가 너무 허술하다. 설계에 방화댐퍼, 관통부 틈새의 내용이 반영 되지 않고 건축, 기계, 전기, 통신, 소방등 각 분야의 허가 도면에 도장이 날인되어 나타난다. 시공자는 잘못된 설계도면을 가지고 허가 도면이라며 도면되로 시공한다. 또한 실리콘, 우레탄폼등을 방화구획 관통부 틈새에 주입하며, 작업자도 비숙련자로서 개념도 없이 방화용실란트와 우레탄폼을 혼용해가며 작업을 한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n Fire Propabilistic Safety Assessment for the SMART (스마트 화재 확률론적안전성평가 민감도분석)

  • Kang, Dae-Il;Jin,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53-25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설계중인 스마트원전에 대한 화재 PSA 방법과 결과 그리고 민감도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기존 국내 원전 화재 PSA에서는 EPRI의 fire PRA implementation guide에 따라 수행해왔었다. RG 1.189에 따르면 NFPA 805를 채택하는 원전이나 신규원전은 NUREG/CR-6850 방법에 따라 화재 PSA를 수행해야만 한다. 스마트는 설계단계의 원전이기에 화재 PSA 수행위한 충분한 설계정보가 없고 스마트의 선행호기도 없다. 따라서 NUREG/CR-6850 방법을 스마트에 모두 적용할 수 없어 EPRI fire PRA implementation guid와 NUREG/CR-6850 방법을 사용하여 스마트 원전에 대한 화재 PSA를 수행하였다. 화재 PSA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Design Fire Curves for Solid Fuel Fire in a Building Space (건물 내 고체연료 화재에 대한 설계화재곡선 예측성능 평가)

  • Baek, Bitna;Oh, Chang B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2
    • /
    • pp.47-55
    • /
    • 2019
  •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design fire curves was evaluated using a Fire dynamics simulator (FDS) for a solid fuel fire in a building space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EDC 2-step mixing controlled combustion model was used in the FDS simulations and the previously suggested 2-stage design fire (TDF), Quadratic and Exponential design fire curves were used as the FDS inpu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smoke propagation in the building spac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esign fire curves. The predictions of simulations using design fire curves for the experimental temperatures in the building space were reasonable, but the TDF was found to be the most acceptable for predicting temperature. The predictions with each design fire curve of species concentrations showed insufficient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s. This suggests that the combus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not optimized for the simulation of a solid fuel fire, and additional studies will be needed to examine the combustion model on the FDS prediction of solid fires.

A Research Direction of Structural Fire Resistance Design of Steel Structures for Recommendation of PBD in Korea (국내 PBD 기반 설계를 위한 강구조 구조내화설계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II))

  • Kwon, Young-Jin;Kim, D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264-269
    • /
    • 2009
  • 최근 초고층구조물 및 대공간구조물등에 대한 소방법의 성능설계등이 법제화되어 시행될 예정으로 있으나 화재성상예측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따라 성능설계를 실시하기 위한 기반여건이 매우 취약한 조건이다. 특히 강구조건축물의 경우 초고층구조물의 전형적인 구조형식으로서 성능설계에 대한 연구기반이 조속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전보에 이어 화재하중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가연물조사등과 더불어 이에 대한 이웃 일본건축학회의 강구조건축에 대한 성능적 내화설계방법론중 하중편을 조사하여 향후 국내의 화재하중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Evaluation Criteria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성능 설계 평가 기준 작성을 위한 사례 연구)

  • Yoo, Yong-Ho;Park, Hae-Jun;Cho, Kyoung-Suk;Kweon, Oh-Sang;Kim, Heung-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84-387
    • /
    • 2011
  • 본 연구는 해외 선진국의 성능설계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성능설계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성능설계 평가기준은 큰 범위의 제도적인 틀에서부터 매우 세부적인 공학적 수식에 이르기 다양한 수준에 걸쳐 가능하지만, 현재 도입 초기에 있는 국내 현실에 맞추어 성능설계 보고서의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자 항목에 초점을 맞추어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성능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화재공학 요약서 및 분석/평가를 위한 10개의 화재시나리오 작성방안을 작성하였다. 법규위주의 설계에서는 법규를 만족시키는 설계 자체가 적절한 안전도를 보장하고 있다고 간주되지만 성능위주 설계에서는 그러한 실질적인 기준이 없다. 따라서, 제안된 성능 설계안을 평가하고 그것이 사회적인 안전 기대치와 부합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기준 설정은 성능평가의 성공을 가늠하는 기본적인 잣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y on the state of art of fire engineering design in USA (미국의 건축물 내화설계절차에 관한 연구)

  • Park, Su-Jin;Park, Sang-Hyo;Hong, Hwa-Young;Kwon, I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317-320
    • /
    • 2012
  •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기술의 향상으로 건물은 점점 고층화, 다양화되고 있지만 이러한 건물에서 화재 시 대응방안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건물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따른 건물의 화재거동 또한 건물 내의 가연물의 양, 종류 및 건물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고 있기 때문에 화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건물의 내화성능을 충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재로 인한 인명과 구조적 피해를 줄이고 보다 안전한 건축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미국의 건축물 내화설계 절차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성능적 내화설계법을 도입하기 위한 기반자료를 도출한다.

  • PDF

Design of Integrated Smart Fire Protection System for Rack Storage (랙크식 창고 통합 스마트 화재대응 시스템 설계)

  • Kim, Jong-H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1
    • /
    • pp.26-36
    • /
    • 2020
  • It is very difficult to suppress fire by rapid flame spread through flue space between flammable commodities on the rack when a fire occurs in the rack storage. At present, the fire protection system for rack storage in Korea has many issues, and the new fire protection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it. A smart system using the sensor network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as designed to detect fire very rapidly and track the location of a fire. In the very early stages, the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vertical open sprinkler pipes, wet pipes, and solenoid valves to allow water to spray near fire locations. Based on the design results, the system was installed and tested, and the full-scale test was successfully comple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