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호한복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3초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 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 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의 한복 인식 (Recognizing hanbok in youth through text mining)

  • 심준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3호
    • /
    • pp.239-250
    • /
    • 2019
  • Recently, young people wearing hanbok are highly visible in the palace and in Hanok Village. However, there is much controversy regarding whether the hanbok the young people are wearing is traditional. Young people in Korea are exposed to hanbok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school education, games, webtoons, television shows, and movies. In this study, we presented teenagers with illustrations of hanbok to see which they preferred and which if any they recognized as traditional. The study respondents most preferred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but they considered the hanbok from the 20th century to be the traditional style. We next used text mining to analyze the students' freely written, open-ended responses regarding the hanbok they preferred and the one they considered traditional.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the one the teenagers preferred, was a sexy, cool style related to gisaeng that emphasized the waist, whereas the hanbok they believed was traditional, the $20^{th}$-century hanbok, was simple, neat, comfortable, and plain. Among the young people's responses regarding which hanbok was traditional, the text mining extracted the following repeated words related to both the 18th- and 20th-century hanbok: "dramas," "mass media,"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For the 18th-century hanbok only, we extracted "webtoons" and "Hanok Village," and for only the 20th-century hanbok, we extracted "textbooks."

생활한복(生活韓服)의 착용실태(着用實態) 및 디자인 선호도(選好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 대구(大邱)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Wearing Behavior & Design Preference for Saenghwal Hanbok - Focusing on Daegu -)

  • 김영미;부애진;홍정민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5호
    • /
    • pp.54-65
    • /
    • 2003
  • To accomplish the above goal of this study, I have taken the statistics about wearing behavior and design preference for Saenghwal Hanbok. This is surveyed by 354 women having jobs 20-50years old-in Daegu.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People prefer to put on Saenghwal Hanbok same as the Korea Traditional Dress in the traditional holidays and the active style that they can dress as casual clothes having the Korea Traditional Dress's characteristics as well. Form a viewpoint of appearance, people prefer Jugori have a bit spare width, the length comes near to the waist line, the type of Korean Traditional Dress's sleeve, and the round type that is linked body and sleeve in waist section and length is between knee and the calf of leg.

한복의 톤 온 톤 배색에 대한 선호도 연구 (A Study In the Preference of Tone on Tone 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n Dress)

  • 강경자;팽숙경
    • 복식
    • /
    • 제54권8호
    • /
    • pp.15-2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 of tone on tone col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dress by Korean and American women college students.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evaluate 48 stimuli of the traditional Korean skirt and jacket with different tone of color. It could be supposed that the different evaluation were caused by their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to the red colors, Korean students preferred vivid and light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the same tone coloration. but American students preferred usually the same tone coloration and preferred coloration of 4 tone skirts and vivid jacket,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s to the yellow colors, Korean students preferr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the same tone coloration. American students preferred vivid and light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dull tone coloration as dull jacket and skirt. As to the green colors, Korean students preferr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the same tone coloration. American students preferr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nd preferred the same tone coloration.

경관 프로슈머로서 한복나들이 향유계층과 방문 장소 특성 연구 - 경복궁을 대상으로 - (Characteristics of Places to Visit and Hanbok-Trip Class as a Landscape Prosumer - Focused on Gyeongbokgung Palace -)

  • 전성연;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0-91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한복나들이의 행위 주체인 한복나들이객과 그들이 방문하고, 선호하는 장소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경복궁에 한복나들이객이 집중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한복나들이객의 자발적 취미활동을 경관 프로슈머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도시경관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복나들이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현장인터뷰, 현장관찰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복나들이객은 다양한 층위가 있었다. 한복나들이객은 한복에 대한 인식, 이용방식, 활동에 따라 선도그룹, 진입그룹, 단순체험그룹으로 구분되며, 선도그룹과 진입그룹은 한복나들이 활동의 지속성에 따라 자발적 취미계층으로 분류된다. 한복나들이 장소로서 경복궁 방문 목적과 요인에 그룹별 차이가 있었다. 선도그룹은 홍보, 모임, 문화 활동을 위한 장소와 주변 목적지에 방문하기 위한 집결장소로 경복궁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경복궁의 전통적인 경관 외에 교통 편리성, 경복궁과 주변지역의 전통문화 전시 및 행사가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진입그룹은 경복궁의 전통적인 경관과 주변 문화시설 이용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단순체험그룹은 경복궁의 전통적인 경관과 한복 착용자가 많은 점이 방문 요인으로 작용했다. 단순체험그룹은 한복나들이 장소로 경복궁을 최초로 방문하고 있어, '한복나들이 입문 코스', '한복놀이터'로서 경복궁의 새로운 장소성을 확인하였다. 한복나들이 향유계층은 오프라인의 실제 장소에서 장소와 경관을 소비하고, 동시에 새로운 경관을 생산하며, 소셜미디어와 1인 미디어 등 온라인에서 경관 이미지를 생산함으로써 '경관 프로슈머'적 성향을 지닌다. 이들의 다채롭고 자발적인 움직임은 도시경관에 역동성을 부여하며, 이는 도시의 새로운 문화자산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동안 국내외 소비자학 및 마케팅 분야에 국한되어 연구된 프로슈머의 개념을 한복나들이객이라는 자발적 취미계층을 통해 '경관 프로슈머'를 개념화하고, 도시경관적 의의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복배색에 대한 한미여대생의 선호도 연구 -빨강저고리의 톤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in the Preference of 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n Dress of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 On the Tone Variation of Red Jacket -)

  • 강경자;최수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1-64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a red jacket, the prefer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Korea and the U.S. for coloration in the traditional Korean dres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to a vivid skirt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red jacket, students of both countries showed the different view in the preference for coloration of vivid red skirt and vivid. dark red jacket, and vivid orange skirt and dull red jacket, and vivid yellow skirt and light dull red jacket, and vivid violet skirt and dull red jacket. As to the light skirt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red jacket, student of both countries showed the different view in the preference for coloration of light red skirt and light red jacket, and light orange skirt and light red jacket. As to the dull skirt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red jacket, student of both countries showed the different view in the preference for coloration of dull red skirt and vivid light dull dark red jacket, and dull yellow skirt and light dull red jacket, and dull yellow skirt and light dull red jacket, and dull green skirt and dull red jacket, and dull violet skirt and vivid light dull dark red jacket. As to the dark skirt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red jacket, student of both countries showed the different view in the preference for coloration of dark red skirt and dull dark red jacket, and dark orange skirt and vivid light dull red jacket, and dark yellow skirt and dull red jacket. As to the neutral skirt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red jacket, student of both countries showed the different view in the preference for coloration of white skirt and vivid red jacket, and dark gray skirt and light red jacket.

  • PDF

다중지능이 도서 선호 양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Effect on Book Selection Preferences)

  • 최영임;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01-115
    • /
    • 2009
  • 본 연구는 다중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다중지능 유형에 따른 도서 선호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학업 성취 수준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하여 충남 천안의 인문계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학업 성취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각각 50명을 표본으로 학생 개개인의 다중지능에 따른 도서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위한 자료로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한복의 이미지를 반영한 중등학교 교복에 대한 태도 및 디자인 선호도 (Attitudes and Design Preferences toward the School Uniforms with Hanbok Image)

  • 이지영;전은경;유화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54-461
    • /
    • 2008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 the school uniforms with Hanbok image and design prefere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uniforms.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wearing the westernstyle school uniform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80 students and 400 responses among the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tudents replied to the questions about the attitudes toward the school uniforms with Hanbok image and the wearing of the uniforms, preferred design,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Using the SPSS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 ratio of data were determined and t-test and $X^{2}$ test were performed. As the results,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uniforms with Hanbok image showed to be positive, and girl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boy students but they didn't want to wear the uniforms. It revealed that students wanted to be expressed Hanbok image in the uniforms partially and to be conceived their image warm, peaceful and smooth. It is concluded that the school uniforms with Hanbok image should be designed to display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Hanbok image partially at the neckline or the end of the sleeve, keeping the shape of the westernstyle uniforms.

초록저고리와 치마색의 톤 변화에 따른 한.미 여대생의 선호도 연구 (The Study in the Preference of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with the tone Variation of Green Jacket and Skirt Color)

  • 강경자;김선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7-609
    • /
    • 2006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 of col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dress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green jacket by Korean and American wome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orean students preferred skirt of vivid red color and light green jacket, but American students did not like it. Korean students did not like the skirt and jacket of same color, but American students preferred it. Both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preferred skirt and jacket of different tone. Korean students liked skirt of dull blue and jacket of light dull green, skirt of dark blue and jacket of vivid, dull green. American students liked skirt of vivid violet and jacket of vivid dull, dark green. They also liked skirt of light yellow and jacket of light green, light skirt of blue, violet and jacket of light, dull, dark green, skirt of dark blue and vivid, light, dull gueen, skirt of dark violet and jacket of dull, dark green.

  • PDF

한국 전통 패션인형 얼굴 디자인 (Fac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Fashion Doll)

  • 황의숙;김소현;이윤주;진선희;김혜수;박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57-174
    • /
    • 2013
  • 시판되는 전통복식을 착용한 패션인형의 경우 서구적 얼굴이 주를 이루어 한복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 패션인형에 적합한 얼굴을 개발하여 현대인들의 컬렉션으로써 전통 패션인형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문헌조사, 사례조사,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얼굴을 디자인하였다. 전통복식을 착용한 패션인형의 얼굴형은 청순한 역삼각형이 많이 나타났으나 선호된 얼굴형은 역삼각형과 타원형이었고 이목구비는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는 세련된 느낌을 선호하였다. 전통 미인 얼굴은 타원형 얼굴형, 쌍꺼풀이 없거나 속 쌍꺼풀의 긴 눈, 도톰한 입, 코끝이 둥글고 오똑한 코를 선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조합하여 볼을 약간 살린 역삼각형 얼굴형, 큰 눈과 눈동자를 축소하고 속눈썹 길이를 줄인 눈, 코끝이 들리지 않은 둥근 코, 폭이 작고 아랫입술이 도톰한 단정한 입으로 얼굴을 디자인하였다. 개발된 전통 패션인형 얼굴은 국내외 패션인형 마니아의 욕구에 부합하는 문화상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