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호색채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국내 캐주얼웨어의 세분시장별 색채특성과 선호색 - 1999 F/W ~ 2002 F/W를 중심으로 -

  • 김민지;김영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0-30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 캐주얼웨어의 세분시장별 활용 색채와 선호·비선호 색채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색채기획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세분시장별 대표색과 선호·비선호의 색채 팔레트를 제안함으로써 체계적인 색채 정보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Domestic Older People's Color Preference for Silver Product (국내노인의 실버용품 색채선호도에 관한 연구)

  • Lee, Mi-Ran;Lee, J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9-1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실버산업의 한 분야인 실버용품 디자인 시 계획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인 색채에 대해 다루었다. 현재 국내 노인 관련 색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실버용품을 위한 색채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용품 사용주체인 국내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색채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향후 실버용품 색채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버용품의 색상 및 색의 3속성(색상, 명도, 채도)에 대한 노인들의 심리적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남녀 모두 명도가 높은 밝은 색상을 선호하였고, 여성의 경우 무려 89%가 수수한 무채색 보다는 원색인 화려한 색상을 선호하였으며, 남자들 또한 52%가 화려한 색을 선호하였다. 이 결과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버용품이 무채색인 흰색, 회색, 검정색이 대부분인 것을 감안하면 실버용품의 색채계획이 노인의 실제 선호색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색채선호도는 향후 실버용품 색채계획 시 주요한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Preference Color of married Women in the Housing Space (기혼여성의 주거공간 선호색채에 관한 조사연구)

  • Kim, Sun-Mi;Seo, Ji-Eun;An, O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21-124
    • /
    • 2008
  • 본 연구는 거주자를 고려한 색채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주거공간의 색채계획 실태와 선호하는 색채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자들은 마감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한 가지 요인보다는 여러 가지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다. 둘째, 주거공간에서 색채는 실내분위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재 거실공간과 부부침실의 경우 천장과 벽의 색상(Hue)은 N(흰색)계열이었고, 색조(Tone)는 밝은 톤으로 마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색채계획에 관한 만족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실공간과 부부침실에서 가장 선호되는 마감색채는 현재의 것과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현재 마감된 색채보다는 색채종류가 더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or Sensibility Scale and its application (색채 감정 척도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 황상민;김경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295-30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적인 색채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색채감성척도(PCS)를 개발하고 이것을 색채 감성 이미지의 평가에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색채심리에 기초한 색채감성척도(PCS)는 NCS와 ISCC-NBS 색명법에 의거한 색상과 톤의 개념으로 구성되었으며 기본형과 상세형의 두 가지가 개발 되었다. 표준화된 색채감성척도는 각 사람들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색에 관한 이미지나 색에 대한 심리적인 선호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호색, 선호의상색, 선호 화장품 색을 나타내는데 PCS가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보여주었다. PCS를 이용한 색채 감성 이미지는 Color Image Palette를 이용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제시되기도 하였다. 색채 경험에 대한 광학적이거나 물리적인 속성이 아닌 심리적인 특성을 평가하고 서로 다른 집단의 반응을 비교 평가하는데 PCS와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f Chinese Traditional Colors to Animation Production (중국 애니메이션제작을 위한 전통색채 연구 -한국과 중국 관객을 중심으로-)

  • Liu, Xuan-zi;Jo, Jeong-r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5
    • /
    • pp.174-181
    • /
    • 2017
  • Colors that stimulate human emotions in everyday life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animation production. The research on color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and nature mainly for animation production. However, researches that investigated different views for specific color by geographic characteristics are rare. Therefore, information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to analyze preference of Korean and Chinese people for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groups preferred red color among Chinese traditional colors. This preference for r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indicating that the intensity of preference for red was different even though Korean and Chinese equally preferred red. Furthermore, among 10 red colors, the preferred red was different between Chinese and Korea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olor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nded market for Chinese animation production and the personality of the viewers who watch the animation products.

Color Information Based Psychology Analysis Using Decision Tree (의사 결정 트리를 이용한 색채 정보 기반 심리 분석)

  • Nam, Ji-Hyo;Lee, Min-Jung;Oh, Heung-Min;Kim, Kwang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514-516
    • /
    • 2016
  • 사람은 개인마다 선호색이 다르다. 때문에 색채를 통해서 개인의 성향을 분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난색은 밝고 따뜻한 색으로 활기와 적극성을 띄며 한색은 차갑고 냉정함, 차분함 등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색채가 가지는 의미는 개인의 환경, 성향,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색채 선호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색채에 대해 좋아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의 성향이나 상황, 경험 등에 의해 형성된 지극히 개인적인 색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선호를 분석하는 심리 검사 CRR와 Flood Fill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림에 색채를 채워서 주조색과, 보조색을 각각 Decision Tree에 적용한다. Decision Tree의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개인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he Exterior Primary School of the Color test by Area Size (초등학교 외관 색상 면적에 관한 색상인상 테스트)

  • Choi, Koung-Jae;Song, Man-Yong;Lee, Dong-Hoon;Lee, S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53-56
    • /
    • 2007
  • 본 연구는 아동들이 선호하는 색상을 초등학교의 사용시 과연 현재 적용되고 있는 색상과 이론적 배경에서의 색상이론이 면적대비에 상응하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VR-Test를 통하여 아동의 색채선호 색상이 건물외벽에 적용시 면적효과에 따라 색채선호도의 변화량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nalysis of Previous Color Study : Focused on Study Category and Color Preference Study (기존의 색채연구유형과 선호색채연구의 분석)

  • 이명희;김미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3
    • /
    • pp.33-4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previous color studies. A number of publications and journals were reviewed and analyzed carefully. The results of review and analysis were as follows : There were many different subjects in color studies and they were usually categorized into ten fundamental groups : color preferences, color image/symbol/association of ideas, emotion and colors, image making with colors, colors related with consumers' decision making, traditional colors, semantic color description, color plan of apparel merchandise, influential factors on colors, and color coordination preferences. In general, the color preference studies are conducted most actively, and they are followed by the studies of color image/symbol/association of ideas and traditional colors.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lor preferences, they provided sufficient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preferred colors and the preferred apparel colors. however, they lacked in providing appropriate explanation on how these color preferences were related with colors in fashion. Also, there have been no thorough studies that questioned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methods for obtaining color preference data. The authors also realized that it was extremely difficult to find any related publications on the studies that focus various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preferred color and preferred apparel color. Thus, this study directed the future studies to solve the problem discussed above.

  • PDF

The Human Sensible Response for Colors (색채가 인간감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 황재호;김진용;고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9-181
    • /
    • 2001
  • 색채에 대한 인간 감성 반응도를 비교 선정을 통해 규명하였다. 원, 정사각형 및 정삼각형을 기본도형으로 하고 여섯 가지 비례를 바탕으로 색채를 대입한 감성 반응 시각제시물을 제작하여 색체에 대한 인간 감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색채는 먼셀 기본 5 색인 적(R), 황(Y), 녹(G), 청(B), 자(P)와 무채색의 검정색을 사용하였다. 피검자군은 대학생남녀 각 50명 합계 100명이다. 실험을 위해 별도의 시각제시물을 제작하였으며, 시각잡음이 제거된 별도의 실험공간이 제공되었다. 시각물과 피검자의 거리는 피검자 스스로 가장 편한 거리로 맞추도록 조정케 하였다. 도형 및 비례 별로 제작된 9개의 제시물 각각에 대한 피검자의 선호 및 혐오를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에서 감성정도와 함께 자신이 선호하고 혐오하는 대상을 선정케 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 감성 반응도, 선호 및 혐오 색채와 그 정도를 추출하였다.

  • PDF

Personality Trait Analysis of Dental Hygienists through Color Preference (색채 선호를 통한 치과위생사의 성향 분석)

  • Kwag, Jung-Suk;Noh,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598-608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sonality traits of a specific group using color reflection reading (CRR) analysi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lor preferences of dental hygienists in a certain community. The color psychology test was conducted with 238 dental hygienists currently employed in dental clinics or hospitals in Gwangju, Jeollanam-do, in the form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articipating dental hygienists were differentiated into groups by their order of selection of eight different colo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first-, second-, and third-choice colors were magenta, yellow, and magenta, respectively. By age, magenta was the most common first-choice color in all age groups. W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arital stat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ffspring,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Yellow and blue were the most common second-choice colors for married and unmarried participants, respectively. The findings were expected to provide data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for developing better working environments that account for stress relief or psychological stability using color preferences or complementary col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