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택추출정리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cientific Inquiry Activit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Based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Elements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과학 탐구 활동의 지식정보처리역량 요소 분석)

  • Jeong, Eunju;Son, Jeongwo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4 no.1
    • /
    • pp.84-91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ment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in grades 3-6 science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e element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were extracted and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created. Analysis of eight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3-6 in elementary school was carried out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the analysis framework: First, we divide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into five elements: 'collection,' 'analysis,' 'expression,' 'selection,' and 'evaluation.' Second, the element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of science inquiry activit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were not evenly composed. The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collection' and 'analysis' among the five element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followed by 'expression,' 'selec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a science inquiry model or a science instruction model is needed to develop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Robust Optical Flow Detection Using 2D Histogram with Variable Resolution (가변 분해능을 가진 2차원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강건한 광류검출)

  • CHON Jaec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1
    • /
    • pp.49-57
    • /
    • 2005
  • The proposed algorithm is to achieve the robust optical flow detection which is applicable for the case that the outlier rate is over 80%. If the outlier rate of optical flows is over 30%,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inliers and outlier with the conventional algorithm is very difficult. The proposed algorithm is to overcome such difficulty with three steps of grouping algorithm; 1) constructing the 2D histogram with two axies of the lengths and the directions of optical flows. 2) sorting the number of optical flows in each bin of the two-dimensional histogram in the descending order and removing some bins with lower number of optical flows than threshold. 3)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two-dimensional histogram if the number of optical flows in a specific bin is over 20% and decreasing the resolution if the number of optical flows is less than 10%. Such processing is repeated until the number of optical flows falls into the range of 10%-20% in all the bins.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well on the different kinds of images with many of wrong optical flows. Experimental results are included.

Robust Optical Flow Detection Using 2D histogram with Variable Resolution (가변 분해능을 가진 2차원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강건한 광류인식)

  • CHON Jaechoon;KIM Hyongs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2 no.3 s.303
    • /
    • pp.51-64
    • /
    • 2005
  • The proposed algorithm is to achieve the robust optical flow detection which is applicable for the case that the outlier rate is over $80\%$. If the outlier rate of optical flows is over $30\%$,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inliers and outlier with the conventional algorithm is very difficult. The proposed algorithm is to overcome such difficulty withthree steps of grouping algorithm; 1) constructing the 2 D histogram with two axies of the lengths and the directions of optical flows. 2) sorting the number of optical flows in each bin of the two-dimensional histogram in the descendingorder and removing some bins with lower number of optical flows than threshold 3)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two-dimensional histogram if the number of optical flows in a specific bin is over $20\%$ and decreasing theresolution if the number of optical flows is less than $10\%$. Such processing is repeated until the the number of optical flows falls into the range of $10\%-20\%$ in all the bins.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well on the different kinds of images with many of wrong optical flows. Experimental results are included.

오디추출물의 기능성 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

  • 김애정;여정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3.07a
    • /
    • pp.82-82
    • /
    • 2003
  • 오디는 옛부터 보혈자음(補血滋陰), 생진윤조(生津閏操), 현훈이명(眩最耳鳴), 심계실면(心悸失眠), 수발조백(鬚髮早白) 등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심자(桑 子)라 하여 뽕나무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桑 ), 상실(桑實), 오심(烏 ), 흑심(黑 ) 등으로 지칭되며,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Morus alba L)의 성숙한 과실로 취화과(聚花果)에 속하며 작은 수과(瘦果)가 많이 모여 이루어진 장원형으로 길이 1 내지 2 cm, 지름 0.5 내지 0.8 cm이며 황갈색, 갈홍색 또는 암자색을 띠고 짧은 줄기가 있다. 작은 수과(瘦果)는 난원형으로 조금 납작한 편이며, 길이는 약 2 mm, 너비는 약 1 mm 이고 육질의 화편(花片) 4개가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오디에 대하여 자연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또한 이의 생리활성 성분에 대해서도 그 작용과 연관지어 보고된 바가 많지 않다. 뇌졸중 가운데 뇌조직으로 가는 혈액 공급의 감소 혹은 차단으로 발생되는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은 전체 뇌졸중 환자의 약 80%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뇌신경세포 손상기전의 복잡성 등으로 뇌졸중으로 발생하는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보호해 줄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천연물로부터 뇌허혈 보호작용을 가지는 물질의 도출은 주로 한방에서 처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처방으로부터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물질의 도출은 그 처방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생약이 갖는 다양한 활성으로 인해 어려운 점이 있으며, 비록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과학적인 입증자료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된 자료를 토대로 오디추출물이 뇌허혈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in vitro system을 이용하여 오디추출물의 신경보호작용기전을 검색하고자 DPPH radical 의 생성억제효과, PC12 cell line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오디추출물의 방어효과, LSP에 의하여 활성화된 BV-2 cell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색하였다. 오디의 DPPH 소거활성은 단일화랍물인 bacicalein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PC12 cell line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오디의 방어 효과는 LDH activity를 행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LDH 유리 량을 감소시켰다. 뇌손상시에 오디추출물의 염증방어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icroglial cell line인 BV2 세포주를 선택하여 배양한 후 LPS로 자극을 준 후 일차적인 염증지표인 NO양을 측정한 결과 BV2 cell에 LPS 100 ng/ml을 처리하는 경우 nitrite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때 오디추출물을 1, 5, 10 ug/ml의 용량으로 처리하는 경우 역시 저농도에서 NO생성량을 감소시켰다. 정리해보면 뽕나무과 식물인 오디는 신경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이러한 효과는 아마도 오디의 항산화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are-giving Activities to Enhanc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 Based on Care-giving Teachers' Recongnition of Their Activities to Increas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 Kim, Jin Sook;Suh, Young Sook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8 no.3
    • /
    • pp.133-162
    • /
    • 2012
  • In this paper, care-giving teachers' recognition of their activities to increas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were studied, and teachers' required actions to enhanc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were analogized. To conduct this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done for 2 groups' care-giving teachers: each group was constructed with 6 teachers. In care-giving teachers' daily work, respected or non-respected various cases on thei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were intensively reviewed. From this result, total 12 sub categories and detail 40 items were extracted as care-giving teachers' required activities to activat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The aforementioned teachers' activities must be conducted as top priority at their care-giving activities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A Study on Urban Flower Landscape Type Classification - Focused on Literature and Expert FGI - (도시 화훼경관 유형화에 관한 연구 - 문헌 및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

  • Yoon, Duck-Kyu;Kim, Gun-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5
    • /
    • pp.42-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urban flower landscap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and cas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four elements of place element, form element, natural element, artificial ele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sentence and key expression for defining the concept of flower landscape. In contemplating these four elements, a newly reconstructed concept of flower landscape was presented. This is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the flower landscape integration theory. Second, flower landscape was defined as a genre and a unit of urban landscape. In addition, in order to build a system of flower landscape as a specialized area, after considering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 large category of urban landscape, its hierarchical categories with flower landscape were newly arranged. Thus, the flower landscape as an urban landscape was suggested. Third, in order to provide rational selection materials to consumers through type classification, related theories were investigated by expanding not only to the flower field, but also to the urban planning and urban ecology fields. 41 elements for the type classification were extracted, and 4 core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clustering process. Based on the 4 elements a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rough the opinion verification from the FGI with experts, 9 types of middle-classification and 30 types of small-classification were derived. As a follow-up research suggestion, if a valid type is additionally established through a monitoring in the type application process, and more specified application types are developed and organized by expanding second-level classification hierarchy to the third-level hierarchy, this will lead to great studies improving the system of the types.

A Chosen Plaintext Linear Attack On Block Cipher Cipher CIKS-1 (CIKS-1 블록 암호에 대한 선택 평문 선형 공격)

  • 이창훈;홍득조;이성재;이상진;양형진;임종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3 no.1
    • /
    • pp.47-57
    • /
    • 2003
  • In this paper, we firstly evaluate the resistance of the reduced 5-round version of the block cipher CIKS-1 against linear cryptanalysis(LC) and show that we can attack full-round CIKS-1 with \ulcorner56-bit key through the canonical extension of our attack. A feature of the CIKS-1 is the use of both Data-Dependent permutations(DDP) and internal key scheduling which consist in data dependent transformation of the round subkeys. Taking into accout the structure of CIKS-1 we investigate linear approximation. That is, we consider 16 linear approximations with p=3/4 for 16 parallel modulo $2^2$ additions to construct one-round linear approximation and derive one-round linear approximation with the probability P=1/2+$2^{-17}$ by Piling-up lemma. Then we present 3-round linear approximation with 1/2+$2^{-17}$ using this one-round approximation and attack the reduced 5-round CIKS-1 with 64-bit block by LC. In conclusion we present that our attack requires $2^{38}$chosen plaintexts with a probability of success of 99.9% and about $2^{67-7}$encryption times to recover the last round key.(But, for the full-round CIKS-1, our attack requires about $2^{166}$encryption times)

'Collective intelligence Structure' Analysis (지식 생산 방식에 따른 집단지성 구조 분석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 Han, Chang-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63-1373
    • /
    • 2009
  • 본 연구는 두 집단지성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의 구조적, 경험적 차이를 바탕으로 생산의 차원에서 생산 주기, 생산 참여자, 생산물의 모델을 설정하고, 새롭게 탄생하는 지식을 중심으로 검증함으로써 최종 지식 소비 행위를 반영한 각각의 종합모델을 도출하였다. 우리는 웹에서 집단지성의 일상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식 획득 매체가 매스미디어에서 인터넷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포털 및 검색사이트는 지식의 생산이 전문가패러다임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산 방식의 변화는 '지식'의 개념 역시 변화시키고 있다. 즉, 집단지성이라는 새로운 웹2.0의 현상이 지식생산방식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지식생산방식은 '지식'자체를 변화시킨다는 이론적 가설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현상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다 엄밀하게 집단지성의 개념을 규정할 필요성에 출발하였다. 현재 집단지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위키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와 지식검색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집단지성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위키형 집단지성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의 차이점은 경험적으로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험적 차이와 기존의 문헌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바탕으로 두 서비스의 지식생산 방식을 생산플로우, 생산참여자 성향, 생산물(지식)의 성향과 같이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가설 모델을 설정하고 이 모델을 선정된 질의어를 바탕으로 검증한 뒤에 최종적인 모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은 '질문-답변-채택'의 구조이고, 그 구조 속에서 '질문기-답변기-순서화기'를 거쳐 하나의 지식 덩어리인 'K-let'을 생산한다. 생산된 'K-let'들은 지식검색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는 공통된 질의어를 기준으로 소비자들에 의해서 검색되어 소비된다. 하나의 질문에 대해 여러 개의 답변들이 존재하고, 답변자의 성향은 크게 전문성과 체계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형 답변자와 경험적이고 의견지향적인 대화형 답변자로 나눠진다. 다수의 네티즌들의 참여에 의해서 지식의 생산이 진행되므로 질문의 성향 역시 사실, 의견, 경험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은 개방형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백과사전의 형식이며, 이러한 형식 속에서 최초의 개념어 등록과 다수의 편집활동을 거치면서 완성되지 않는 하나의 아티클인 'W-let'을 생산한다. 이러한 'W-let'은 생성 초기에 소수에 의한 활발한 내용 입력 활동으로 어느 정도의 안정화를 거친 후에는 꾸준한 다수의 수정활동을 통해서 'W-let'의 생명력을 유지함으로써 지식의 실제적인 변화를 반영한다. 생산된 'W-let'들은 위키형 집단지성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것들은 내부링크를 통해서 모두 연결되어 있다. 백과사전 형식으로 하나의 개념어를 설명하는 하나의 아티클은 오로지 사실적인 지식들로만 구성되나 내부링크와 외부링크를 통해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이 설정된 모델을 바탕으로 공통된 질의어 및 개념어를 선정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노출시켰다. 이를 통해서 얻어진 각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모든 데이터들 중에서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각각의 모델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에서는 '질문-답변-채택'의 생산 구조 속에 다수가 참여하여 질문-채택답변-기타답변으로 배열되어 있는 완성된 형태의 K-let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며 비슷한 성향을 가진 K-let들이 반복적으로 생산되어 지식검색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다. 지식 소비자들은 질의어 검색을 통해서 다양한 K-let들을 선택하여 비교, 검토한 후에 선택된 K-let들의 배열은 해체되어 소비자들에 의해서 재배열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누적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선택에 의해 해체되어 재배열되는 지식의 맞춤화 과정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었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에서는 '내용입력-미세수정' 구조 속에서 생명력 있는 W-let을 생성한다. W-let은 백과사전처럼 정리되어 내부링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외부링크를 통해 확장되고, 지식소비자들은 검색을 통해 최초의 W-let에 도달한 후에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지식을 확장시킴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키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정리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링크에 의해 무한히 확장되는 지식의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결국, 현재의 집단지성이란 지식이 다수의 참여로 생산됨으로써 개인에게 맞춤화되고,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집단지성의 방식은 지식이라는 현재의 차원을 넘어서 정치, 경제를 비롯한 사회의 전 영역으로 점차적으로 확대되어갈 것이다. 앞으로 연구들은 두 가지 모델이 혼재되어 있는 현재의 집단지성이 어떠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면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어갈 것인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춰 나가야할 것이다.

  • PDF

Keyword-based networked knowledge map expressing content relevance between knowledge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 개발)

  • Yoo, Keed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3
    • /
    • pp.119-134
    • /
    • 2018
  • A knowledge map as the taxonomy used in a knowledge repository should be structured to support and supplement knowledge activities of users who sequentially inquire and select knowledge for problem solving. The conventional knowledge map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systematically sorting out types and status of the knowledge to be managed, however it is not only irrelevant to knowledge user's process of cognition and utilization, but also incapable of supporting user's activity of querying and extracting knowledg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a networked knowledge map that can support and reinforce the referential navigation, searching and selecting related and chained knowledge in term of contents, between knowledge. Regarding a keyword as the semantic information between knowledge, this research's networked knowledge map can be constructed by aggregating each set of knowledge links in an automated manner. Since a keyword has the meaning of representing contents of a document, documents with common keywords have a similarity in content, and therefore the keyword-based document networks plays the role of a map expressing interactions between related knowledge. In order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50 research paper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n exemplified networked knowledge map between them with content relevance was implemented using common keywords.

An User Experience of Proactiv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Focusing on Google 'Nest Hub Max' (능동적 지능형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 연구 : Google의 'Nest Hub Max'를 중심으로)

  • Cho, Soo Kyung;Kim, Jae-Yeop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379-389
    • /
    • 2020
  • This is a qualitative study about Google 'Nest Hub Max' that displays proactiv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Following the step of grounded theory, an in-depth interview for 6 users who had used this device for a month was taken. 186 concepts were discovered, categorized as 11 top-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Paradigm diagram, considering axis-coding, was made and it have been narrowed down to 'Usage patterns' of proactive IPA, considering selective coding aspects. 'Usage patterns' were divided to passive and active user. Thus, neither passive user nor active user was satisfied about device and proactive IPA.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onstructed basic data about the user experience of proactive IPA on this device. It will support the device or service that consists proactive IP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