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택적환원

Search Result 4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Circulating Fluidized Bed Scrubbing Technology for Dry Removal of the SOx and NOx of Coal Combustion Gases (석탄연소가스내의 SOx/NOx 동시처리를 위한 순환유동식 건식세정기술)

  • 이상권;조경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05a
    • /
    • pp.69-74
    • /
    • 1999
  • 각종 산업체의 공정에서 혹은 석탄 혹은 석유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설비에서 다량 발생되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의 배출규제가 점점 강화되어 감에 따라 배출량 절감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존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처리대상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는데 황산화물의 경우 습식, 반건식, 건식세정법에 의해, 질소산화물은 선택적 촉매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과 선택적 무촉매환원법(Selective Non Catalytic Reduction)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중략)

  • PDF

Selective Cleavage of 2,2,2-Trichloroethyl Group with Zinc Dust in the Presence of Phthalimido Function (Phthalimido기 존재하에서 Zinc Dust에 의한 2,2,2-Trichloroethyl 기의 선택적 환원분해)

  • Chung Bong Young;Kim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3 no.3
    • /
    • pp.175-179
    • /
    • 1979
  • In acidic media such as aqueous acetic acid, phthalimide is reduced with zinc dust to give 3-hydroxyphthalimidine while the 2,2,2-trichloroethyl esters or glycosides are reductively cleaved. However, it has been discovered that, by employing a mixture of THF and pH 4.5 buffer solution as a solvent, 2,2,2-trichloroethyl group can be selectively removed with activated zinc dust in the presence of phthalimido function, provided that the reactant or the product does not have any free carboxylic acid function. By applying the above methods, reaction of $2,2,2-trichloroethyl 3,4,6-tri-O-acetyl-2-deoxy-2-phthalimido-{\beta}-D-glucopyranoside$ (1) with activated zinc dust gave a good yield of $3,4, 6-tri-O-acetyl-2-deoxy-2-phthalimido-{\beta}-D-glucopyranose$ (5) in THF-buffer solution, and $3,4,6-tri-O-acetyl-2-deoxy-2-(3-hydroxyphthalimidino)-{\beta}-D-glucopyranose$ (6) in aqueous acetic acid.

  • PDF

Electroless Ni plating on the polyimide film (폴리이미드 필름에의 무전해 니켈도금)

  • Kim, Yu-Sang;Yun, Hui-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316-317
    • /
    • 2015
  • 무전해 도금은 금속이온을 수용액 상태에서 석출시키는 방법으로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환원제의 자기촉매 방법에 의해 금속을 도금하는 방법이다.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화학적 무전해 도금에서는 환원제를 사용하지만 선택적 도금에서는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는 치환도금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전자파 차폐, 포장기술의 응용이 확대되면서 정보 통신 스마트폰, 전자기술과 자동차 산업에 많은 고분자 복합도금이 널리 확대되고 있다. 최근 해외에서도 고분자와 비금속재료의 복합도금 기술이 관심을 끌고 있다. 2013년 중국의 J. B. Fei 등은 Ag나노체인 합성물에 필요한 비대칭형의 공유결합으로써 나선형의 자기배열 $AgNO_3$와 멜라민 특성을 보고하였다. 무전해 니켈 복합도금은 내마모성, 내식성과 비금속재료의 선택적인 첨가로 다양한 고분자 첨가물을 적용할 수 있다. 유전상수가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노트북 컴퓨터나 스마트폰 표면에 니켈-폴리이미드 복합도금도 개발되고 있다.

  • PDF

란타넘족 이온을 이용한 가시광선 대역에서의 산화그래핀 광환원

  • O, Ae-Ri;Yu, Gwang-Wi;Park,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202.1-202.1
    • /
    • 2015
  • 탄소의 $sp^2$ 혼성으로 이루어진 2차원 단일시트(two-dimensional single sheet)인 그래핀은 기계적, 열역학적, 전기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특히 고유연성과 투명성을 가진다는 장점 때문에 오랜 기간 주목 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그래핀을 만드는 방법에는 화학적 증기 증착법 및 흑연으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 박리 방법이 있다. 양질의 그래핀을 대면적에서 획득 할 수 있는 화학적 증기 증착법의 경우 높은 공정 비용과 함께 수반되어야 하는 전사과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실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의 극복을 위해 대량의 그래핀을 저렴하게 확보 할 수 있는 화학적 박리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화학적 박리 방법의 경우 박리 과정에서 수반되는 산화 그래핀의 환원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를 위해 강력한 환원제를 이용한 화학적 환원 방법, 고온에서의 열처리를 이용한 열역학적 환원 방법, 및 빛을 노광시켜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키는 광학적 방법이 시도되었다. 화학적 및 열역학적 환원방법의 경우 고품질의 환원된 산화 그래핀을 획득 할 수 있으나, 강한 환원제 및 높은 열처리 온도로 인하여 유연 기판의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빛을 이용한 광학적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환원과정에 사용되는 단파장의 자외선 광원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경제성의 확보가 제한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보이는 란타넘족 이온을 사용하여 선택적 파장 대에서 높은 광흡수도를 가지는 산화 그래핀-란타넘 이온 혼합용액을 만들었으며, 가시광선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환원된 산화 그래핀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산화 그래핀은 modified hummer's method를 이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자외선 대역을 흡수하는 $Gd_{3+}$, 녹색 레이저를 흡수하는 $Tb_{3+}$, 적색 레이저를 흡수하는 $Eu^{3+}$를 1 mM 섞어주었다. 그 후, 300~800 nm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를 $1mW/cm^2$를 노광시켜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켰다. 환원된 산화 그래핀의 특성은 FT-IR, UV-Vis, 저온 PL, SEM, XPS 및 전기측정을 이용해 측정하여 재현성 및 반복성을 확인하였다.

  • PDF

CFD Analysis on the Internal Reaction in the SNCR System (SNCR 시스템 내부의 물질 반응에 관한 전산해석적 연구)

  • Koo, Seongmo;Yoo, Kyung-Seun;Chang, Hyuksang
    • Clean Technology
    • /
    • v.25 no.1
    • /
    • pp.63-73
    • /
    • 2019
  • Numerical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chemical reaction and the reduction rate inside of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to denitrification in combustion process. The $NO_X$ reduction in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is converted to not only nitrogen but also nitrous oxide. Simultaneous $NO_X$ reduction and nitrous oxide generation suppressing is required in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because nitrous oxide influences the global warming as a greenhouse gas.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compare the computational analysis in the same temperature and amount of NaOH, and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research experiments and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dditionally, controlling the addition amount of NaOH to predict the $NO_X$ reduction efficiency and nitrous oxide production. Numerical analysis was done to check the mass fraction of each material in the measurement point at the end of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Experimental Value and simulation value by numerical analysis showed an error of up to 18.9% was confirmed that a generally well predi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widened temperature range of more than 70% $NO_X$ removal rate is increased when the addition amount of NaOH. So, large and frequent changes of the reaction temperature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희토류 원소의 광 환원 침전

  • 김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Conference
    • /
    • 1997.10a
    • /
    • pp.47-50
    • /
    • 1997
  • 희토류원소의 광 환원 침전 특성이 연구되었다. 환원제로 isopropyl alcohol, 침전제로 (NH$_4$)$_2$SO$_4$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25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수은 램프가 사용되었다. Eu원소만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Eu+3의 Eu+2로의 광 환원 결과는 97%이상이었으며 과산화수소가 소량 첨가되었을 경우 침전 속도는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희토류원소들(Sm,Eu,Gd)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유기용액(HDEPH-Dodecan)에 UV광을 조사하였을 시 선택적으로 Eu을 분리해 낼 수 있었다. Eu의 침전 회수율은 두 상의 경우 모두 97%이상이었다.

  • PDF

Selective Reduction of Nitro Compounds Using CeY Zeolite Under Microwaves (마이크로웨이브와 CeY Zeolite를 이용한 니트로화합물의 선택적인 환원반응)

  • Arya, Kapil;Dandia, Anshu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4 no.1
    • /
    • pp.55-58
    • /
    • 2010
  • Aliphatic and aromatic nitro compounds were selectively reduced to their corresponding amino derivatives in good yields using formic acid and CeY zeolite under monomode reactor. This system is found to be compatible with several sensitive functionalities. Beside the recycling result showed it had a long catalyst lifetime and could maintain activity even after being used for 20 cycles.

Internal Flow Analysis of Urea-SCR System for Passenger Cars Considering Actual Driving Conditions (운전 조건을 고려한 승용차용 요소첨가 선택적 촉매환원장치의 내부 유동 해석에 관한 연구)

  • Moon, Seong Joon;Jo, Nak Won;Oh, Se Doo;Lee, Ho Kil;Park, Kyoung W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3
    • /
    • pp.127-138
    • /
    • 2016
  • Diesel vehicles should be equipped with urea-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 system as a high-performance catalyst, in order to reduce harmful nitrogen oxide emissions. In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Eulerian-Lagrangian CFD analysis was used to numerically predict the multiphas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urea-SCR system, coupled with the chemical reactions of the system's transport phenomena. Then, the numerical spray structure was mod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measured values from spray visualization, such as the injection velocity, penentration length, spray radius, and sauter mean diameter.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nitrogen oxide emissions during engine and chassis tests, resulting in accuracy of the relative error of less than 5%. Finally, a verified CFD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interanl flow of the urea-SCR system, there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sure drop and velocity increase, and predicting the uniformity index and overdistribution positions of ammonia.

Characterization of Uranium Removal and Mineralization by Bacteria in Deep Underground,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심부 미생물에 의한 용존우라늄 제거 및 광물화 특성)

  • Oh, Jong-Min;Lee, Seung-Yeop;Baik, Min-Hoon;Roh, Yul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07-115
    • /
    • 2010
  • Removal and mineralization of dissolved uranium by bacteria in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was investigated. Two different bacteria, IRB (iron-reducing bacteria) and SRB (sulfate-reducing bacteria) was used, and minerals formed by these bacteria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Compared to uranyl ions, ferric ions were preferentially reduced by IRB, showing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duction and removal of uranium. However, uranium concentration considerably decreased by addition of Mn(II). Results show that a sulfide mineral such as mackinawite (FeS) is formed by SRB respiration through combination of Fe(II) and S without manganese sulfide formation. In the presence of Mn(II), however, uranium is removed eff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orption and incorporation of uranium could be affected by Mn(II) onto the sulide miner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