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체설계

Search Result 36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Data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Techniques for the Object Oriented Ship Structure Modeling (객체지향 선체모델링을 위한 모델의 자료구조 및 내부처리 기법에 관한 연구)

  • Seung-Wan Suh;Won-Soo Kang;Kyu-Yeul Lee;Kyu-Ock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3
    • /
    • pp.1-11
    • /
    • 1994
  • The development of "Ship structural CAD system" has been performed in CSDP(Computerized Ship Design and Production) project to support ship structural design works. The procedures and contents of current design practice concerning the ship structural design were analyzed. To generate design information required at each design stage using the ship structural CAD system, the computerized model was created. To represent and implement the model information, a data structure which represents design concept as well as shape information was proposed using the concept of the product model. To embody the computerized model the object-oriented techniques were established to represent requirements of real world.

  • PDF

선체설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 김광욱;봉현수;서승완;박순길;장석호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4
    • /
    • pp.27-3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자체적으로 정립한 시스템 개발방법론인 객체지향 기술을 적용하여 선 체설계 전산시스템의 요구사양 및 기능분석을 수행하여, 유닛모델 개념(선체의 각 부분에서 보 여지는 특징적인 구조를 유닛으로 하고 선체구조정보를 설계변수화하여 파라메트릭 설계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방법임)의 초기 선체 모델링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므로써, 유조선 화물창부의 초기 모델링을 통한 구조설계 대안의 신속한 검토와 초기물량의 정확한 산출이 가 능하도록 하였다. 둘째로, 모델링 기술 분야에서는, 선박제품 모델링을 위한 기반 기술로써(여 기서, 제품모델링이란 최근 CAD/CAM 및 CIM 분야에서 거론되는 기술분야로서, 설계 및 생산의 대상이 되는 제품의 제반정보를 전산기 내에서 모델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시도임) 선박 제품 모델의 표현방법론과 내부처리 기법을 정의하였고, 이 방법론에 다라 객체지향 구\ulcorner배치 프로 그램(OO_COMDEF)을 개발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제품모델의 표현방법론을 검증하였다. 셋 째로 응용 프로그램 개발 분야에서는 선체 상세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를 수행하 였고, 이를 토대로 이중선체 유조선의 화물창부의 Hopper Tank부의 Stiffener 배치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험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개념을 검증하였다.

  • PDF

Representation of Structural Surface for Hull Modeling (선체모델링에 있어서 구조면의 정의 및 표현)

  • Kwang-Wook Kim;Won-Don Kim;Jong-Ho Na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29 no.2
    • /
    • pp.30-37
    • /
    • 1992
  • Since a ship is a complex steel construction which consists of sculptured surfaces and inner surface members, a high technique of information modeling is indispensable to describe the form of hull surface and steel structure members consistently. A model contains both topological and geometrical information of the structural members. Therefore, the hull form should be represented by the wireframe of surface model so that the accuracy in each design stage is satisfied. The structural members like plane surfaces, stiffeners and the relations between such members are to be described systematically in data base. A collection of the data stored in database is a model to be built. The model will be used not only to generate the drawings and documents for ship design and production but also to interconnect other systems such as compartmentation, outfitting, piping, etc. Computer graphics is adopted of the visualization of model.

  • PDF

Structural Design of Polyethylene Boat Hull by using Longitudinal Bending Strength Test Method (종굽힘강도시험방법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보트 선체의 구조 설계)

  • Cho, Seok-S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2
    • /
    • pp.8447-8454
    • /
    • 2015
  • ISO 12215-5 standard describes allowable stress design specifications of monohull small boat with a length of hull between 2.5 m and 24 m constructed from fiber reinforced plastics, aluminium or steel alloys, glued wood or other suitable boat building material. If small boat hull is under 2.5m in overall length or nonstandard material is used as boat building material, structural reliability of small boat hull is assured by drop test specification, but not by structural design specification in accordance with ISO 12215-5. Drop test specification of boat hull can be applied to manufactured product. But it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apply drop test specification to structural design of boat hull. In this study, we present structural design method of polyethylene boat hull on the basis of longitudinal bending strength test specification.

Automation System for the Outfitting Hole (의장홀 자동화 시스템)

  • Ruy, Won-Sun;Ko, Dae-Eun;Yu, Yun-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375-37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선체 설계 시에 의장 장비의 설치를 위해서 시공되는 의장홀이 생성되는 과정 및 이에 관련해 업무부서 간에 발생되는 각종 프로세스에 관해서 알아본다. 의장홀의 설계는 설치되어야 하는 의장 장비와 이미 설계되어 있는 선체 구조물을 바탕으로 의장 부서에서 이루어지지만, 선체 구조물에 직접 시공은 각종 제한 조건의 검토가 필수적이며 충분한 고려 후에 선체 부서에서 수행된다. 의장 설비의 특성상 해당 작업은 설계 및 생산과정에서 빈번하고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선체 설계에 있어서 큰 병목현상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의장홀 시공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세스와 정보의 흐름을 자동화하여 조선 설계 및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 PDF

Transverseless AFRAMAX급 이중선체 유조선 구조부재의 안전성평가

  • 백점기;김도현;봉현수;김만수;한성곤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2
    • /
    • pp.31-43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힁부재가 없는 AFRAMAX급 신구조 방식의 유조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설계의 기본 개념은 1) 이중선체구조를 채용하여 해난사고 발생시 기름유출 방지를 피하고, 2) 힁부재가 없는 극히 단순한 선체구조를 채용하여 용접 로봇등을 활용한 자동건조 비율을 높임으로써 건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설계 결과 얻어진 선체구조는 기존의 유조선 구 조와 매우 상이하다. 초기구조설계단계에서 구조 부재의 치수는 기존의 선급설계 지침을 활용 하여 결정하였으나, 기존의 유조선 구조와 비교하여 구조배치가 크게 바뀌어 졌기 때문에 기존의 선급설계지침을 만족했다고 해서 구성부재와 국부구조뿐만 아니라 구조 전체적으로도 충분한 구조안전성을 가지고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따라서 직접구조해석에 의한 구조안전성 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위해 저자들은 선체구조의 최종 종강도(ultimate longitudinal strength), 최종 힁강도(ultimate transverse strength) 및 최종 국부강도(ultimate local strength )를 기준으로한 구조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중에서 국부 구조부재에 대한 안전성평가 문제만을 다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선체구조는 건전상태(intact condition)하에서 뿐만 아니라 손상상태하에서도 구조부재는 좌굴 또는 붕괴하지 않고 전반적 으로 충분한 구조안전성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Optimum Design of Midship Section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뉴랄 네트워크에 의한 선체 중앙단면 최적구조설계)

  • Yang, Y.S.;Moon, S.H.;Kim, S.H.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2
    • /
    • pp.44-55
    • /
    • 1996
  • Since the use of computer for the ship structural design around mid 1960``s, specially many researches on the midship section optimum design were carried out from 1980. For a rule-based optimum design cas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handling a discrete design variable such as plate thickness for a practical use. To deal with the discrete design variable problem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new metho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ship structural design applications, Neuro-Optimizer combing Hopfield Neural Network and other Simulated Annealing is proposed as a new optimization method and then applied to the fundamental skeletal structures and Midship section of Tanker. From the numerical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Neuro-Optimizer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 new optimization method for the structural design.

  • PDF

A Study on Hull Form Characteristics of 50ft-class CFRP Cruise Boat (50피트 급 탄소섬유 선체 크루즈 보트의 선형 제안 및 특성)

  • O, Dae-Gyun;Ryu, Cheol-Ho;Jeong, U-Cheol;Lee, Gyeong-U;Lee, Cha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07-209
    • /
    • 2012
  • 해양레저 활동의 범위가 점차 원거리 항해로 확대되면서 거주가 가능한 크루즈보트가 각광받고 있다. 해양레저산업 선진국인 유럽, 북미의 경우 미려한 디자인, 인간공학적 구조 그리고 경량선체 소재 채택을 통한 연료효율 향상 등 크루즈보트의 설계와 제작에 있어 이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소형 레저보트 중심의 개발, 건조가 이뤄지고 있으며, 선체소재 또한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양항해가 가능한 50피트급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CFRP) 선체 크루즈보트의 선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FRP 선체 레저보트의 선형특성을 분석하여 설계선의 선형을 제안하였으며, 조선공학적 검토를 통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선체구조물의 피로강도 해석기법

  • 송재영;신찬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3
    • /
    • pp.7-14
    • /
    • 1997
  • 본 고에서는 설계자가 초기 설계시 적용할 수 있는 간이피로해석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특히 선체의 각 구조상세에 대하여 산정된 응력집중계수를 이용하여 피로수명을 쉽게 평가할 수 있는 집중응력방법을 정립하였다. 이 집중응력방법을 사용하면 모든 구조상세에 대하여 한개의 S-N 선도를 적용하게 되므로 일관성 있는 피로상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로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파랑하중은 설계조건에 주어진 선급규칙에 따라 계산되어진다. 선체구조의 피로강도평가 기술은 계측, 실험, 해석 및 경험을 포함하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면서 정밀함을 요구하는 종합기술이지만 여기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구명하고 모든 선체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피로강도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는 실선계측을 통한 피로하중규명 선체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피로강도 Data base개발, 균열진전해석 등 많은 과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야 한다.

  • PDF

Review of Fatigue Strength Evaluation on Weld Joints of Hull Structure (선체구조 용접이음부의 피로강도 평가에 대한 검토)

  • 성요경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2 no.3
    • /
    • pp.26-35
    • /
    • 1994
  • 본 고에서는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의 운항중 선체의 구조적 불연속부에서 발생 하는 균열이 피로강도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피로균열임을 밝히는 당사의 사례에 대해 설명 하고, 국부 구조해석기술을 이용하는 피로설계의 관점에서 선체구조가 충분한 피로강도를 갖고 안전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선체 용접이음부의 피로강도를 평가하는 체계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