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재가공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초전도 박막형 선재

  • 이상헌
    • 전기의세계
    • /
    • v.53 no.8
    • /
    • pp.39-42
    • /
    • 2004
  • 초전도 재료는 선재의 형태로 가공하면 송전선이나, 변압기, 발전기 및 전력 저장장치와 같이 전력 응용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1987년 개발된 고온 산화물 초전도체는 액체질소 의 비등점인 77K 이상에서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어 초전도 현상의 응용에 대한 기대를 고조시켜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초전도 선재에 관한 연구는 주로 PIT( Powder in Tube )공정을 이용한 Ag/Bi 2223 선재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가공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Ag/Bi 2223 선재는 강한 자기장 하에서 통전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중략)

  • PDF

Fabrication of Cu stabilized Nb-Ti superconducting wire and their electro-magnetic properties (동 안정화 Nb-Ti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및 그 전자기 특성)

  • 오상수;하동우;한태희;권영길;손명환;류강식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6 no.5
    • /
    • pp.407-416
    • /
    • 1993
  • 무산소동을 안정화 모재로한 Cu/Nb-Ti 빌렛트를 제작한 다음 간접 열간방식의 압출에 의해 얻어진 봉재를 인발한 후 신선과 열처리를 반복하여 단심 및 다심 Nb-Ti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였다. 가공 조직을 조사한 결과, 단심 선재의 경우 Nb-Ti 심의 단면이 균일하게 가공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심선재의 경우는 신선가공에 의하여 다소 불균질한 필라멘트부분이 관찰되었다. 4.2K, 자장하에서 4단자법으로 직선형 단척시료의 임계전류를 측정하여 가공 열처리 조건에 따른 임계전류밀도의 자장특성을 조사하였는데 열처리시간을 길게하고 가공도를 높인 시료일수록 자장하의 임계전류밀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4.2K, 5T 자장하에서 각각 4 x $10^{5}$A/$cm^{2}$ 및 2 x $10^{5}$A/$cm^{2}$의 임계전류밀도를 나타내는 Nb-Ti 단심 및 다심 초전도선재를 제작 할 수 있었다.있었다.

  • PDF

YBCO 박막형 선재의 개발현황

  • 홍계원;이희균
    • Superconductivity and Cryogenics
    • /
    • v.1 no.2
    • /
    • pp.14-20
    • /
    • 1999
  • 초전도 재료는 선재의 형태로 가공하면 송전선이나 변압기, 발전기 그리고 전력 저장장치 등에 사용되어 전력계통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실제 응용 기기의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더우기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된 고온초전도 산화물 재료는 액체질수의 비등점인 77K 이상에서 초전도현상을 나타내어 초전도 현상의 응용에 대한 기대를 고조시켜 이에 대한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있다. 초전도선재 연구는 그간 PIT(Powder in Tube) 공정을 이용한 Ag/Bi-2223(Ag/$Bi_2Sr_2Ca_2Cu_3O$) 선재가 높은 전기적 성질과 장선 가공상의 잇점으로 인해 많은 연구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Ag/Bi-2223선재는 강한 자기장 하에서 통전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성질 때문에 높은 자기장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온도를 액체질소온도보다 상당히 낮은 20K 부근까지 낮추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전력기기 개발에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최근에 개발된 금속/YBCO 박막 복합선재는 높은 전기적 특성 이외에 특히 높은 자장에서도 통전 능력의 저하가 적어 제한 없이 전력기기의 모든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1993년에 일본에서 Ni 금속기판에 물리적 증착방법으로 YBCO($YiBa_2Cu_3O$) 박막을 증착시킨 선재제조에 성공하고 있어 1996년에 Oak Ridge National Laboratories (ORNL)에서 Rolling Assisted Biaxially Textured Substrate (RaBiTS) 라는 집합조직을 형성시킨 금속기판이 개발되어 연속적인 가공의 가능성이 확인된 후 이의 특성향상 및 가공기술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이다. 이 글에서는 이제 까지 개발된 금속기판을 사용한 YBCO계 초전도 박막형 선재의 제조기술 중에서 최근 가장 가능성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RABiTS 방법을 위주로 그 외에 IBAD와 ISD 방법에 관하여 소개하고 현재까지의 개발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 PDF

Degreasing of Impurities for a Web Strip Iron Mills (금속인발가공선의 협잡물 제거 (탈지)방법의 고찰(I))

  • 김주항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31 no.1
    • /
    • pp.74-84
    • /
    • 1998
  • 본 지도업체인 쌍희금속은 1988년 2월 설립, 주생산제품은 닉켈합금선으로서 1997년 12월 현재 총매출액 7.4억원(수출 0.12억 포함) 당기순이익 0.32억원으로 종업원 9명을 포함한 개인기업 형태로 특히 총매출액의 6%를 기술투자비율에 할당하고 있는 유망 중소기업이다. 기술지도와 관련한 연선의 선재(線材)는 포항제철의 $^{ø}$8mm 태선(允線)이 주종이나 특수선(特殊線)인 경우는, 국내선재의 경우 멜팅(Melting)기술이 부족하여 독일국으로부터 $^{ø}$5.5 mm의 선재를 직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다. 한편 세선가공의 선재는 20여개의 Dies공구 가공공정을 통한 $^{ø}$1.3 mm의 선채를 사용하여 $^{ø}$0.6 mm의 세선(細線)을 가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발(引拔) 기술과 관련함에 특히 Dies 공구로부터 세선(細線)을 제조한 후 마무리 공정에서의 탈지문제가 정립돼있지 못하여 End User로부터 불만사례가 종종 야기 되었다 이의 원인 규명을 기술지도를 통해 조사한 결과 소성가공유(습식형)의 인식 부족이 주원인이였다. 소성가공유의 조성은 일반적으로 식물성. 광물성, 계면활성제, 극압제 등으로 구성됨에 마무리공정에서의 탈지방법은 가공유제의 기재(Base oil)에 따라 다르다 즉 기유(基油)가 광물계인 경우는 탈지제가 용제형(TCE 등)이 양호하나 식물계인 경우는 Alkali계가 양호하다. 따라서 NaOH sol'n2~3%+분산제(기포방지제)로서 음이온인 노닐페놀 0.1~0.3%의 처방을 제시하고 설비로서는 8$0^{\circ}C$로 유지되는 조제된 알칼리 Vessel과 물중탕 설비(열풍설비 포함)등을 대입하는 공정개선으로 Dies를 통과한 중간제품의 세선 $\longrightarrow$ 탈지설비 $\longrightarrow$ 80~85$^{\circ}C$로 유지되는 열처리(Aniling)공정을 대입함에 세선의 가공경화가 없었으며 아울러 수용성 가공유의 관리 한계(사내표준화)를 설정 관리 하도록 지도함으로서 지도 전에 비해 제조원가의 절하 및 생산성 향상은 물론 세선의 신규 탈지제 개발과 공정 개선을 통하여 가열공정의 부하개선 과 최종제품인 절연선의 품질향상을 가져 왔다.

  • PDF

Ti-50.4 at% Ni 합금의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냉간가공률의 영향

  • Go, Won-Gi;Kim, Jae-Il;Park, Su-Ho;Kim, So-Jin;Kim, Hyeon;Lee, Gi-Ye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6.2-106.2
    • /
    • 2012
  • Ti-Ni합금은 CsCl구조의 B2상, monoclinic 구조의 B19'(M)상과 rhombohedral 구조의 R상(R)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고, 이들 상의 변태에 의해 열탄성 마르텐사이트와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에 의한 형상기억효과와 초탄성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Ti-Ni 합금은 우수한 형상기억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 가공성 및 내식성 등이 뛰어나 공업분야 및 생체분야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Ti-Ni합금의 형상기억특성은 냉간가공 후 어닐링 처리의 온도와 시간에 따른 matrix 내 Ni의 농도, 석출물의 밀도와 크기, 전위밀도와 전위주위의 응력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i-Ni합금의 형상기억 특성 및 변태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냉간가공률의 시료를 제작하여 다양한 온도에서 Annealing 처리를 하여 냉간가공률 및 Annealing 온도가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i-50.4 at.% Ni 합금은 진공 아크 용해로에서 용해 하였으며, 용해된 Ingot는 열간단조 및 열간 압출한 후 냉간 인발과 중간온도에서 어닐링을 반복하면서 직경 0.5mm의 선재로 만들었다. 최종적으로 제작한 선재의 냉간가공률은 9.5%, 18.2%, 34.5%, 45% 이었다. 각 시편은 5X10-5torr의 진공으로 석영관에 진공 봉입하여 각각 673K, 723K, 783K에서 1hr 열처리 하였다. 합금의 형상기억특성과 변태온도는 DSC에 의해 조사되었다. DSC 측정 결과, 냉간가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는 감소하였고, 어닐링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가공률이 증가하여도 R상 변태온도는 큰 변화가 없었고, Annealing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R상 변태온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형상기억특성은 인장시험기를 이용한 정하중 열싸이클 테스트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냉간 가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한 형상기억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Fine Wire Drawing Process (와이어 인발가공에 있어서 음향방출 발생 특성)

  • 이완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 /
    • v.5 no.1
    • /
    • pp.43-50
    • /
    • 1996
  • From a manufacturing standpoint it would be desirable to monitor the degradation of drawing die, that i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die quality, the evaluation of product integrity and the reducing scrap. Acoustic emission is powerful method in monitoring fine wire drawing process, especially in detecting the die fracture at early stage. Experiments also suggested that acoustic emission sigals contained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ge of a drawing process such as the surface appearance of products and the condition of lubrication. These informations are AE monitoring techniques a possible tool in monitoring the drawing process operation. In order to approach this, this paper discusses the nature of acoustic emission signal presented which illustrate the effects of wire and die material, lubricants, and drawing speed on the generation and the mean voltage level of acoustic emission signal. From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understanded controlling factors of acoustic emission generation.

  • PDF

Controlled Cooling Technical of High Tensile Valve Spring Wire Rod (고강도 엔진밸브 스프링강 선재 저온조직 발생방지 선재압연 기술)

  • 김경원;장용권;임규환;서일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1999.08a
    • /
    • pp.172-179
    • /
    • 1999
  • As the martensite structure cause fracture failure during drawing from 5.5mm rod to 3.05mm dia. wire without additional heat treatment, the optium cooling condition to inhibit the occurrence of martensite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get SAE9254+V quality, the effects of alloying element, vanadium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ased upon CCT and TTT curves and the results form cooling test in mill, optimun cooling was found in the condition of the laying head temp of 780$^{\circ}C$ and of the conveyor speed at 0.15m/sec with the whole cover closed. The wire rods produced under the condition showed the best mechanical properties of 120kg/$\textrm{mm}^2$ in TS and 50% in RA, having an excellent drawability. In vanadium added steels, tensile strength was improved without degrading elongation and charpy impact value. That means the strengthening by vanadium is mainly due to the grain refinement by the fine precipitates during tempering process.

  • PDF

Analysis of drawing process of the Al-Si wire using FEM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Al-Si 선재의 인발 공정해석)

  • Hwang W. H.;Kim B. M.;Kim W. Y.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89-92
    • /
    • 2004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rawing process of Al-Si wire. In this study, the finite-element model established in previous work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various forming parameters, which included the reduction in area, the semi-die angle, the aspect ratio and the inter-particle spacing of the Si in drawing processes. The finite-element results gave the consolidation condition.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effects of each forming parameter were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important basic data which can be guaranteed in the fracture prevention of Al-Si wire by using FEM simulation.

  • PDF

CAPP for 3D Printer with Metallic Wire Supplied from the Front (금속선재 전방공급형 3D프린터를 위한 공정계획)

  • Kim, Ho-chan;Kim, Jae-g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7 no.5
    • /
    • pp.155-160
    • /
    • 2018
  • The materials used for 3D printing are mainly plastic and metal. These materials are usually used in the powdered form. In order to improve the surface roughness of a manufactured product, these powders should consist of small uniform spherical particles. However, the powdered forms are sold at a considerably higher price than bulk or wired materials. When a wire-type material is used instead of a powder, we can supply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he material at one time as well as reduce the cost. Moreover, the use of this form of the material will increase the process efficiency. This paper deals with the technology required to feed a wire material in front of the tool movement and discusses the examples used for the ver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