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악(船樂)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pression of Good and Evil in Animation Film from a Perspective of Dionysian : Focusing on , a 3D Animation Film (디오니소스적 관점에서 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선악 표현 : 3D 애니메이션 <빅 히어로>를 중심으로)

  • An, Se-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1
    • /
    • pp.31-5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expression of good and evil which has Been significantly developed out of the existing dichotomous good and evil in animation films and to identify for them. Even though 3D animation films provides us with a sense of realistic existence due to surprising technical powers, the stories contained in such films tend to remain in the limit of family films. However, recently, some films have been presented beyond such limit with a scenario that makes people introspect their inner side. Among them, this study considered the expression of good and evil of , which extended the meaning of didactic morality into the dimension of 'Philosophy of Dionysian yes', as significant for research purpos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ooked at and discussed this film in more details in the aspect of focusing on the value of good and evil for eliminating the boundary of the existing perspective and pursuing positive overcoming. The frame of the concept for discussion used the philosophical statements of Kant and Hegel as well as Nietzsche who explained the meaning of good and evil with Dionysian view. As to the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ly related concepts and discuss the meaning,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examples, by inputting such meaning into the expression of good and evil presented in the film.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in identifying that an animation film, as a virtual world, plays a role of opening a new prospect for conversion of thought in our real world and expecting a future progress.

Understanding of Divine Comedy through Jungian Perspectives: With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xts (신곡의 종합적 배경 검토와 선악 상징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 Nami Lee
    • Sim-seong Yeon-gu
    • /
    • v.37 no.2
    • /
    • pp.77-98
    • /
    • 2022
  • Symbolic meaning underneath good and evil motifs in the Divine Comedy was analyzed based on its historical, the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Contemplating psychological structure and collective psyche in divine comedy with the perspective of Dante's era, brief analyses of various mythological elements, such as mythical beasts, fallen angels, cursed space and time, and femininity, were attempted in this paper. The Divine Comedy lustrously responds to modern man's existential questions about divinity and the opposing dark side of the human psyche. It helps restore the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 religio and conscientiousness toward the imago Dei and shadow.

The Philosophy of Good and Evil Engraved on Roof - End Tiles - A Contempl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 -신라의 미소, 수막새를 통한 고찰-)

  • Yun, Byeongyeo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1
    • /
    • pp.4-23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universal meaning of the roof-end tile, our cultural property, and especially focuses on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 In addition,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read here is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universal problem of philosophy. The issue of good and evil is a theme in philosophy, theology, religion, and culture that will endure throughout human history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Augustine and Schelling inquired deeply into the source of evil and obtained an answer to this question based on their methods, but their answer is not universal or absolute, or an answer that applies to everyone.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good and evil possesses both a direct relationship with every human being and a characteristic that will remain unresolved. That is to say, the metaphysical question regarding the source of evil will always be one that is open. Nietzsche, however, repudiated the morals handed down through Socrates and Christianity, and urged that we reside "beyond good and evil." This brief review argues that good and evil exists in the form of a being in itself, whether it is within our grasp or not, and reveals that good and evil is more "this-worldly" than it is "other-worldly". The roof-end tiles with facial markings passed on to us also presuppose that evil is in full force in this world and exerts its influence. This review taps into several folk methods for coping with the existence of an invincible evil that surpasses human capability and contemplates the extraordinary and creative ideas of the Silla people through their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with facial markings that were used to counter evil.

The research of China ancient mythical image's kindhearted and vicious role designs in the Role-playing game (롤플레잉게임에 등장하는 중국고대신화의 선악(善惡)캐릭터 디자인 연구)

  • Zhang, Zhile;Kim, Se-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03-908
    • /
    • 2009
  • In this research, is take the foundation at deity appearing in China ancient mythology symbolic, the ideology of kindhearted and vicious to them is classified, and take the kindhearted and vicious role of the game at present compares. Pass such analysis, combine deity appearing in the mythology symbolic with tales of marvels, apply to role's design current situation of the present game, hope to find out the key element of succeed in designing the game role with culture intension.

  • PDF

과학ㆍ기술ㆍ사회 - 과학기술과 인간

  • Lee, Na-Mi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2 s.357
    • /
    • pp.26-27
    • /
    • 1999
  •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을 그것에 예속시키고 퇴화시킨다. 편리함에 길들여지는만큼 불편과 불행감, 혹은 상대적 박탈감이 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학기술 그 자체는 선악의 가치와 자유의지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지 인간이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천사도 될 수 있고 악마도 될 수 있는 것이다.

  • PDF

지금 해외에선 - 과학 대 종교 논쟁

  • Gang, Gyeong-Si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9 s.364
    • /
    • pp.22-23
    • /
    • 1999
  • 과학과 종교는 대화가 가능한가? 지난 4월 미국에서는 노벨물리학 수상자인 와인버그와 성공회 목사인 폴킹혼이 '과학과 종교간의 건설적인 대화'라는 제목으로 토론을 벌였다. 이들 두사람은 신의 존재와 사람의 선악행위 등을 토론대상으로 올려 놓았지만 신학의 권위는 계시에 있고 과학의 권위는 실험에 있기 때문에 중요한 형이상학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토론은 끝났다.

  • PDF

장구성(張九成)의 성선(性善) 개념 연구: 호상학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LEE, HAEIM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86
    • /
    • pp.61-85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장구성의 성선 개념이 호상학과 같이 선악을 초월해 있는 것이 아니라 선한 마음의 근거로서 내재되어있는 것임을 밝히는 데 있다. 기존연구자들에 의하면, 선악을 초월한 성의 의미는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을 부정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서 성이 외부조건에 따라서 선하게도 악하게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덕적 본성의 실현은 성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심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장구성은 고자의 성 개념을 비판함으로써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과 본성에 근거한 도덕적 실천을 논증해 나간다. 장구성의 성선 개념은 '성은 인의예지로서 내재된 도덕적 본성이다'라는 명제로 압축될 수 있다. 이 명제는 세 가지 조건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성은 곧 인의예지이다. 둘째, 인의예지는 사단의 근거로서만 존재한다. 셋째, 사단은 그 근원인 도덕적 본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단서이다. 첫 번째 조건은 '곧'이 '바로 그' 혹은 '나아가다' 중에 어떤 것으로 해석되느냐에 따라서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여부가 가려진다는 것이다. 전자의 의미라면, 성이 인의예지로서 내재된 도덕적 본성이다. 반면에 후자의 의미라면, 인의예지는 도덕적 실천이 이루어진 후에 명명되는 덕목이다. 두 번째 조건은 인의예지와 사단이 체용의 관계를 이루느냐의 여부를 묻는 것이다. 체용의 의미는 도덕적 본성[인의예지]에 근거해서만 드러나는 것이 선한 마음[사단]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세 번째 조건은 사단이 도덕적 본성을 확인하는 단서로 쓰였느냐의 여부를 묻는 것이다. 도덕적 본성이 내 마음에 내재되어있다면, 본성실현의 관건은 그 본성을 확인하는 데에 달려있다. 이때 선한 마음은 확충해서 완전하게 실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근원을 찾아가는 단서이다. 장구성은 이 세 가지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맹자의 성선 개념이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임을 증명한다.

법제코너- 하루 70% 이상 음란성 e메일 ‘방치할 것인가’

  • Seong, Seon-Je
    • Digital Contents
    • /
    • no.2 s.129
    • /
    • pp.118-128
    • /
    • 2004
  • 사이버스페이스에 음란물이 홍수처럼 밀려들면서 전통적인 법과 규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O양과 B양의 비디오 파문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이러한 음란물은 법적으로 윤리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없으므로 마땅히 규제의 대상이라는 주장과 이것 역시 보호돼야 하는 표현의 자유라는 일부의 주장을 어떻게 조화롭게 대처할 것인가는 21세기 사이버스페이스 시대가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자유와 책임이 동전의 양면관계로 대립하는 음란한 표현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도 선악의 한계로 서로 밀고 당기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런 음란의 문제를 관련 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새로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대책과 합리적 체계는 무엇인가를 살펴보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