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분분류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anishing Points Detection in Indoor Scene Using Line Segment Classification (선분분류를 이용한 실내영상의 소실점 추출)

  • Ma, Chaoqing;Gwun, Oub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8
    • /
    • pp.1-10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ct vanishing points of an indoor scene using line segment classification. Two-stage vanishing points detection is carried out to detect vanishing point in indoor scene efficiently. In the first stage, the method examines whether the image composition is a one-point perspective projection or a two-point one. If it is a two-point perspective projection, a horizontal line through the detected vanishing point is found for line segment classification. In the second stage, the method detects two vanishing points exactly using line segment classification. The method is evaluated by synthetic images and an image DB. In the synthetic image which some noise is added in, vanishing point detection error is under 16 pixels until the percent of the noise to the image becomes 60%. Vanishing points detection ratio by A.Quattoni and A.Torralba's image DB is over 87%.

Line Edge-Based Type-Specific Corner Points Extraction for the Analysis of Table Form Document Structure (표 서식 문서의 구조 분석을 위한 선분 에지 기반의 유형별 꼭짓점 검출)

  • Jung, Jae-you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5 no.2
    • /
    • pp.209-217
    • /
    • 2014
  • It is very important to classify a lot of table-form documents into the same type of classes or to extract information filled in the template automatically. For thes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nalyze table-form structure.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o extract corner points based on line edge segments and to classify the type of junction from table-form images. The algorithm preprocesses image through binarization, skew correction, deletion of isolated small area of black color because that they are probably generated by noises.. And then, it processes detections of edge block, line edges from a edge block, corner points. The extracted corner points are classified as 9 types of junc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horizontal/vertical line edge segments in a block.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several unconstraint document images such as tax form, transaction receipt, ordinary document containing tables, et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point detection is over 99%. Considering that almost corner points make a correspondence pair in the table, the information of type of corner and width of line may be useful to analyse the structure of table-form document.

The Land-cover Changes and Pattern Analysis in the Tidal Flats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The Case of Taean Peninsula Region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한 간석지의 토지피복 변화 및 패턴 분석 - 태안반도 지역을 사례로 -)

  • Jang, Dong-Ho;Kim, Chan-Soo;Park, Ji-H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2
    • /
    • pp.275-292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nd-cover changes in the tidal flat of the Taean peninsula due to man-made environmental changes between 1972 and 2008, through time-series analysis based on a modified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and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and-cover of the tidal flat has changed from tidal flat to wetland and from wetland to paddy field between 1972 and 2008. Also, the pattern of detailed land-cover changes is as follows: tidal flat to wetland; lake and saltpan to bare land and paddy field. The accurate classification of each image is need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The overall accuracy of the classified images was found to be 95.33% on average, and the Kappa value was 0.941 on average.

A Study on the Hangeul Pattern Classification by Using Adaptive Resonance Theory Neural Network (ART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한글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Jang, Jae-Hyuk;Park, Chang-Han;NamKung, Jae-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03-60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ART(Adaptive Resonance Theory)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인식하고, 그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단순히 문자의 선분, 획 등의 정합만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소 분류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인식 대상 운자의 특성이 각각 다르므로 효율적인 인식을 위해서는 먼저 포괄적인 특정적 유형 분류가 필요하다. 제안된 한글 유형 분류 시스템에서는 먼저 ART 신경회로망의 문제점인 증가분류 알고리즘의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교층에 최초 활성화패턴의 크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두고 각 층간 하향틀 변화를 경계인수 값을 "1" 이내로 제한하여 이미 입력된 패턴을 다시 입력할 때, 새로운 노드의 활성화를 방지하여 비교적 입력순서에 둔감한 분류가 가능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한글의 6형식 중 1, 3, 4, 5형식 분류는 평균 97.3% 의 분류율을 보였으나, 나머지 2, 6형식 분류는 다소 떨어지는 평균 94.9% 분류율를 보였다.

  • PDF

Time Parameterized Interval Modeling for Tracing Tags in RFID Systems (RFID 시스템에서 태그의 위치 추적을 위한 시간 매개변수 간격 모델링 기법)

  • Ban, Chae-Hoon;Hong,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29-132
    • /
    • 2005
  • RFID 시스템에서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 궤적은 모델링되고 색인되어야 한다. 궤적은 태그가 판독기의 인식영역으로 들어갈 때와 나갈 때 보고되는 두개의 시공간 위치를 연결한 선분으로 표현될 수 있다. 만약 태그가 판독기의 인식영역에 들어와 나가지 않으면 시공간 위치는 오직 태그가 인식영역에 들어올 때만 보고된다. 따라서 판독기에 머물고 있는 태그는 궤적을 표현할 수가 없으므로 질의 시 이러한 태그를 검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태그의 궤적을 시간 매개변수 간격으로 정의한다. 시간 매개변수 간격은 시간에 따라 시간 축길이가 변하는 시간에 종속적인 선분으로 판독기에 머무는 객체의 궤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질의를 분류하고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태그의 식별자를 차원에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3D Mesh Compression Based on Layer of Mesh and Operation Code (메쉬의 계층 및 연산코드 기반 3차원 메쉬 압축)

  • 이민정;권용무;김창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15-417
    • /
    • 2002
  • 날로 커져가는 3D 모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으로 압축처리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모델의 메쉬를 Layer로 분할하여 Vertex Layer와 Triangle Layer를 생성 후, 삼각형들을 몇가지 연산코드로 분류하여 압축(compression)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Triangle Layer는 기본 정점으로부터 연결된 선분의 정점들로 이루어진 Vertex Layer의 쌍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Triangle Layer에 해당 되는 삼각형들의 연결 정보를 제안한 연산코드로 분류하고, 이것을 엔트로피 코딩하여 3D 모델을 압축한다. 이 기법은 삼각형의 형태를 기준으로 한 개나 두 개의 삼각형을 하나의 연산코드로 분류하거나 삼각형의 연결 상황에 따라 하나의 연산코드로 분류하여 연결정보를 표현한다. 복원(decompression)시에는 연산 코드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연결정보를 뽑아내면 원 상태의 3D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연결 정보를 무손실 압축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제안된 압축기법과 비교할 때, 간단하면서도 월등한 압축 효과를 볼 수 있다.

  • PDF

Efficient From Document Classification Large using Partial Matching Method (부분 매칭 방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서식 문서 분류)

  • Byeon, Yeong-Cheol;Choe, Yeong-U;Kim, Gyeong-Hwan;Lee, Il-By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1
    • /
    • pp.1-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서식 문서를 짧은 처리 시간에 정확히 분류함으로써 실제 환경에서 응용할 수 있는 서식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서식 문서 이미지 전체를 다루기보다는 처리하고자 하는 서식 문서에서 서식 구조가 많이 다른 곳을 찾아서 매칭 영역으로 결정하고, 그 영역들에 대해서만 비교를 수행함으로써 계산 시간을 줄이고 인식률을 높인다. 선분 추출 시 오류를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 인쇄 문자와 채워진 데이터, 그리고 매칭 영역의 크기 정보를 페널티 함수로 반영하여 매칭 영역 선택 시 고려한다. 본 방법은 구조적으로 많이 다르고, 양질의 특징을 포함하는 적은 수의 매칭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높은 서식 분류율을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Game Character Classification Based on Texture and Edge Orientation Feature (질감 및 에지 방향 특징에 기반한 게임 캐릭터 분류에 관한 연구)

  • Park, Chang-M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6
    • /
    • pp.1318-1324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thod for Game character classification based on texture and edge orientation feature. The character dose not move(NPC) and move the character is classified. Classification of property within the character of straight line segments are used to extract features. First, the character inside edge feature extraction and then calculates EEDH, SSPD. The extracted attribute represents the energy of a particular direction. Thus, these properties were used to classify of NPC and Monster. The proposed method, the user can reduce the unnecessary time in the game.

A Rule-Based Image Classification Method for Analysis of Urban Development in the Capital Area (수도권 도시개발 분석을 위한 규칙기반 영상분류)

  • Lee, Jin-A;Lee, Sung-So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6
    • /
    • pp.43-54
    • /
    • 2011
  • This study proposes a rule-based image classification method for the time-series analysis of changes in the land surface of the Seongnam-Yongin area using satellite-image data from 2000 to 2009.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patterns during each period, 11 classes were employed in accordance with statistical/mathematic rules. A generalized algorithm was used so that the rules could be applied to the unsupervised-classification method that does not establish any training si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rban area of the object increased by 145% due to housing-site development. The image data from 2009 ha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98%. For method verification,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land-cover changes through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available data within multiple images and the optimized classification allowed for an improvement i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The proposed rule-based image-classification method is expected to be widely employed for the time-series analysis of images to produce a thematic map for urban development and to monitor urba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hange.

Comparative Floral and Secretory Structure in Korean Corydalis (한국산 현호색속 화부구조 및 분비조직 형질의 비교 연구)

  • Yang, Sungyu;Song, Jun-Ho;Choi, Goy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35-35
    • /
    • 2019
  • 현호색속은 양귀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서 전 세계에 약 450분류군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25분류군이 분포한다. 20분류군의 한국산 현호색속 식물을 대상으로 화부 형태, 밀선의 형태, 밀선의 부착 위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현호색속 식물의 꽃은 좌우대칭하며 외화판의 거(spur)에 위치한 밀선을 갖는데 밀선의 위치, 형태 등은 현호색속의 분류체계를 반영하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된다. 관찰결과 현호색절과 가는괴불주머니절의 밀선은 거(spur)의 1/3~2/3 정도 까지 신장되며 신장부는 매우 가늘지만 선단부에서는 다소 부푼 후 뾰족해지고 아래쪽으로 굽으며 분비조직이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녹색, 신장부는 횐색을 띠었다. 들현호색절에서는 거(spur)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기부는 두껍고 화색과 같은색을 띠지만 끝부분은 가늘고 굽지 않으며 흰색을 띤다. 자주괴불주머니절의 밀선은 거의 신장되지 않고 주걱형이며 노란색을 띠었다. 산괴불주머니절에서는 거(spur)의 3/4까지 신장되며 선단부는 뾰족하고 녹색을 띠며 아래로 굽는다. 밀선의 형태는 거(spur)의 형태와 관련이 있다. 거(spur)가 주머니처럼 부푸는 절에서 밀선분비조직의 뚜렷한 발달이 관찰되고 거(spur) 안에 분비된 화밀을 저장한다. 비록 현호색절과 산괴불주머니절이 서로 밀접한 계통을 갖지는 않지만 이들이 공유하는 밀선의 형태는 거(spur) 형태의 유사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 현호색속 밀선의 형질진화 분석을 위하여 mesquite을 이용하여 ancestral reconstruction를 수행하였다. 밀선의 형질진화는 한국산 현호색속 5절의 계통진화를 반영하였다. 현호색속의 화부형질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화부형질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화부구조와 분비조직의 형질은 현호색속의 계통진화를 잘 반영하고 있었으며 향후 분비조직의 해부형질, 미세형질 등의 추가연구를 통하여 현호색속의 계통연구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