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명도 향상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depth map using distance transform (거리변환을 이용하는 고해상도 깊이맵 생성)

  • Jang, Seong-Eun;Kim, Ma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2-113
    • /
    • 2012
  • 최근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의 발전에 따라 고해상도 영상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깊이를 획득하는 깊이센서 장치는 색상 영상에 미치지 못하는 저해상도 깊이맵을 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저해상도의 깊이맵을 고해상도 깊이맵으로 상향변환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간법들은 edge에서 blur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istance transform(DT)를 이용하여 edge의 선명도를 향상시킨 고해상도 깊이맵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pth Map Upsampling with Improved Sharpness (선명도를 향상시킨 깊이맵 업샘플링 방법)

  • Jang, Seungeun;Lee, Dongwoo;Kim, Sung-Yeol;Choi, Hwang Kyu;Kim, Manbae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7 no.6
    • /
    • pp.933-944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convert a low-resolution depth map into its high-resolution one called distance transform-based bilateral upsampling. Since the proposed method controls the spatial domain weighting function based on distance transform values of the depth map, it increases the input depth map resolution while preserving edge sharpness.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three main steps: distance transform, spatial weighting control, and image interpo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bilateral upsampling in terms of the quality of output depth maps.

Panoramic image reconstruction based on a camera motion model (카메라 움직임 모델을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합성)

  • 이승현;이재호;이상길;강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1b
    • /
    • pp.41-46
    • /
    • 1999
  • 디지털 영상 기기의 발전과 함께 여러 가지 실용적인 영상 처리 기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화질의 선명도와 해상도가 향상되면서 더 많은 영상 정보를 한 화면에 담고자 하는 시도로서 파노라마 영상 합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영상 처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움직임 정보의 추출과 영상복원 및 화질 향상 등 여러 가지 기반 기술이 요구되는 복합적인 영상 처리 기법이다. 본 논문은 특히 파노라마 영상 합성의 대상으로 적합한 축구 경기 장면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효과기의 구현을 목표로 하였다. 별도의 장비를 활용하거나 촬영 기술상의 제한 또는 요구 없이 주어진 영상 시퀀스로부터 영상을 분석하고 합성한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졌으며, 카메라 움직임의 모델링, 역변환식에 의한 합성 영상의 재구성, 후처리 문제 등 시스템 전반을 다루었다.

  • PDF

High Dynamic Range Imaging Using Inverted Local Patterns with Saturation Compensation (포화도 보상의 반전 지역 패턴을 이용한 HDR 영상화)

  • Kwon, Oh Seol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3 no.5
    • /
    • pp.714-717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HDR imaging with adaptive saturation compensation for brightness change. The saturation of HDR images were lighten on dark region because conventional HDR methods have focused on brightness change. Therefore, the proposed HDR method compensates saturation adaptively according to brightness change. For experiments of several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is superior to conventional HDR method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terms of color saturation.

Application of band-pass filtering techniques for improvement on 3D tomogram (3D Tomogram 향상을 위한 Band-pass Filtering 기술의 활용)

  • Ryu, Keun-Yong;Kim, Soo-Jin;Jung, Hyun-Suk;Kweon, He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382-383
    • /
    • 2011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부터 생산된 2D 이미지들에는 고전압(1250 kV)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2D 이미지로부터 3D tomogram으로 재구성시 선명도 향상을 위하여 2D 이미지의 노이즈 제거 과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band-pass fil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노이즈를 상당 부분 제거하였고, 필터링된 이미지로부터 3D tomogram으로 재구성한 경우 band-pass filtering의 효과가 2D 이미지에서 뿐만아니라 3D tomogram으로 재구성 했을 경우에 어떤 대역의 filter radius를 적용해야 더욱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오디오 신호처리 기술 동향

  • 윤대희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75-95
    • /
    • 2004
  • 기존의 아날로그 오디오에 비해 향상된 음질과 넓은 대역폭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는 CD나 DVD 등을 비롯하여, 고선명 TV,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등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부터, 포터블 오디오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개인 휴대 장치에 이르기까지 그 응용분야가 다양하다.(중략)

  • PDF

Enhanced Reconstruction of Heavy Occluded Objects Using Estimation of Variance in Volumetric Integral Imaging (VII) (Volumetric 집적영상에서 분산 추정을 이용한 심하게 은폐된 물체의 향상된 복원)

  • Hwang, Yong-Seok;Kim, Eun-Soo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9 no.6
    • /
    • pp.389-393
    • /
    • 2008
  • Enhanced reconstruction of heavy occluded objects was represented using estimation of variance in computational integral imaging. The system is analyzed to extract information of enhanced reconstruction from an elemental images set. To obtain elemental images with enhanced resolution, low focus error, and large depth of focus,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SAII) utilizing a digital camera has been adopted. The focused areas of the reconstructed image are varied with the distance of the reconstruction plane. When an occluded object is occluded heavily, an occluded object can not be reconstructed by removing the occluding object. To obtain reconstruction of the occluded object by remedying the effect of heavy occlusion, the statistical technique has been adopted.

안전한 모바일 게임서비스를 위한 보안 점검항목

  • Kang, Sun Myung
    • Review of KIISC
    • /
    • v.26 no.3
    • /
    • pp.22-29
    • /
    • 2016
  • 최근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함께 향상된 모바일 컴퓨팅 환경으로 인해 게임서비스의 트렌드가 빠르게 모바일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게임서비스의 그 역사가 아직까지 길지 않아 보안 수준평가를 위한 점검항목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였다. 이에 기존에 알려진 모바일 게임 관련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여 게임 내 보안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사전 점검항목을 열거해보도록 한다.

Color Image Enhancement Using Human Visual Properties and Neural Network (인간의 시각 특성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칼라영상의 향상)

  • Sin, Hyeon-Uk;Jo, Seok-J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2
    • /
    • pp.3265-327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칼랄 인식 특성인 명도, 채도 및 색조의 관계를 학습시킨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열화된 영상의 채도 부분을 향상하는 칼라영상향상법으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우선 표준영상으로부터 여러 단계 열화된 영상들로부터 얻은 다양한 명도, 채도 및 색조의 관계를 신경회로망의 입력으로 하고 표준영상의 채도를 목표차로 해서 신경회로망을 학습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학습된 신경회로망에 열화된 영상의 명도, 채도, 색조 그리고 향상시킨 명도를 입력하면 향상된 채도를 얻을 수 있는 칼라영상향상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칼라영상향상법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영상 향상 시 칼라범위를 초과하는 문제와 채도 향상비의 인위적 선택문제를 해결하고 채도의 대비를 향상시켜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을 밝혔다.

  • PDF

A Study on the Software Usability Metrics (소프트웨어 UI에 대한 사용성 평가 메트릭스 개발)

  • 방영환;황선명;김진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35-537
    • /
    • 2001
  •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장 중요한 품질 요소의 하나가 되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평균 48% 가량의 코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위한 것이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품질 관련 국제 규격들에 대한 표준화가 많은 진전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목적으로 사용성에 대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여 소프트웨어 설계 개선요인을 발견.하고 제품의 품질을 개발자 및 사용자 측면에서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