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루프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of ELF Magnetic Field Reduction Ratio on Passive Loop Using Scale Down Model of Transmission Line (축소 모델을 이용한 수동 루프 송전선 자기장 저감율 분석)

  • Cho, Yeun-Gyu;Myung, Sung-Ho;Lee, Jae-Bok;Chang, Sug-H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7 no.12 s.115
    • /
    • pp.1231-1239
    • /
    • 2006
  • In this research magnetic field reduction effect of each passive loop was analyzed by using the scale down models of transmission lines. This paper examined magnetic field reduction effect of the passive loop that will be applied to actual facility through the experiment, which is about double vertical transmission line and horizontal transmission line. Consequently, by confirming the fact that magnetic field re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to 50 % by passive loop without reactive compensation, we insured technology about application of passive loop. And the case of 3 turns of loop showed two times reduction effect than that of 1 turns of loop in reducing magnetic field. Vertical passive loop is more efficient than horizontal passive loop in the aspect of reducing magnetic field on double vertical transmission lines. What is more, vertical passive loop showed good effect of reducing magnetic field in a far distance as well as in a short distance.

A Study on the Loop Detector System for Real-Time Traffic Adaptive Signal Control (실시간 교통신호제어를 위한 루프 검지기 체계 연구)

  • 이승환;이철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4 no.2
    • /
    • pp.59-88
    • /
    • 1996
  • This study has determined optimal type, and location of loop detector to measure accurately traffic condition influenced by traffic variation with real time. Optimal type of loop detector for through vehicle at stop bar was determined by confidences of occupancy period, and nonoccupancy period, and so appropriate detector type for application to real time traffic control system has been decided on special loop detector.

    shows types and winding methods of existing detector (num1) and special detector (num 7,8) determined. It is desired that optimal location of through loop detector should be installed within 50cm of stop bar owing to vehicle behavior. And optimal location of loop detector for left turn vehicle is determined by left turn vehicle behavior on stop bar. In the case of install only one loop, it is desirable that within 20cm of stop bar. Both the special loop (1.8 × 4.0m : num 1.7) and existing loop (1.8 × 1.8m : num1) would be suitable. A location standard aspects, while regarding as economic, existing loop (1.8 × 1.8m : num1) would be suitable. A location of the queue detector and the spillback prevention detector considering the link length, the pedestran crossing is be or not and the estimation range of queue. And if the link length is shorter than 250m, locations of queue detector and spillback protect detector must be considered in the respect of queue management.

  • PDF

An Investigation on the Environmental Effect of the Magnetic Field due to Overhead Transmission Line (가공송전선로에 의한 자계환경영향 검토)

  • Jeong, Seung-Yong;Lim, Yun-Sok;Koo, Ja-Yoon;Lee, Do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a
    • /
    • pp.144-146
    • /
    • 2004
  • 송전선로 주변의 전자계 노출은 소아들의 암 발생/사망과 성인의 암 등 여러 가지 질병 발생 가능성이 항상 있으므로 전자계 노출을 장기간 계속적으로 받고 있는 환경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기반을 형성하기 위해 송전 선로의 모델과 현장 실측을 통해 송전선로 자계치를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하고자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된 자계치를 이용하여 최근 효과적인 자계 저감책으로 보고되고 있는 수동루프에 의한 자계저감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입력된 데이터는 765kV 실 송전선로를 모델로 사용하였으며, 자계의 계산 및 수동 루프에 의한 자계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미국 EPRI에서 개발한 자계 계산 전용 프로그램인 EMF Modeler를 이용하였다. 먼저 송전선로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의 원리를 서술하였으며, 수동 루프를 통한 자계 감소 정도를 수식으로 유도하였고, EMF Modeler를 통하여 송전선 주변의 자계 분포 및 수통루프에 의한 자계 저감 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Time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Output Buffers (시간 분할 다중합 광 출력 버퍼의 성능 분석)

  • 정준영;고광철;정제명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9B
    • /
    • pp.751-759
    • /
    • 2003
  • We analyze the performances, such as the cell loss probability(CLR) and the cell delay time, of time division multiplexed(TDM) optical output buffers using traveling delay lines or delay-line loops for buffering. Since traveling delay lines used for buffering are superior over delay-line loops in terms of simplicity and signal quality, they were used in a conventional TDM optical output buffer. However, the latter is more flexible than the former in that the cell storage time is adjustable by changing the recirculating times of a cell in the loops. So we propose a novel TDM optical output buffer using delay-line loops for buffering. We show that the proposed TDM optical output buffer can reduce the number of buffering unit required to achieve a CLR of less than 10$^{-9}$ . When the number of buffering unit is sufficiently large, we show that both TDM optical output buffers have same cell delay time characteristic.

An Investigation on the Environmental Effect of the Magnetic Field due to Overhead Transmission Line (가공송전선로에 의한 자계환경영향 검토 및 수동루프에 의한 자계저감효과 검토)

  • Jeong, Seung-Yong;Lim, Yun-Sok;Lee, Sang-Wha;Koo, Ja-Yoon;Lee, Do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b
    • /
    • pp.116-118
    • /
    • 2004
  • 송전선로 주변의 전자계 노출은 소아들의 암 발생/사망과 성인의 암 등 여러 가지 질병 발생 가능성이 항상 있으므로 전자계 노출을 장기간 계속적으로 받고 있는 환경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기반을 형성하기 위해 송전 선로의 모델과 현장 실측을 통해 송전선로 자계치를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하고자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된 자계치를 이용하여 최근 효과적인 자계 저감책으로 보고되고 있는 수동루프에 의한 자계저감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입력된 데이터는 765kV 실 송전선로를 모델로 사용하였으며, 자계의 계산 및 수동 루프에 의한 자계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미국 EPRI에서 개발한 자계 계산 전용 프로그램인 EMF Modeler를 이용하였다. 먼저 송전선로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의 원리를 서술하였으며, 수동 루프를 통한 자계 감소 정도를 수식으로 유도하였고, EMF Modeler를 통하여 송전선 주변의 자계 분포 및 수동루프에 의한 자계 저감 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 PDF

Extended Three Region Partitioning Method of Loops with Irregular Dependences (비규칙 종속성을 가진 루프의 확장된 세지역 분할 방법)

  • Jeong, Sam-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3
    • /
    • pp.51-57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method such as Extended Three Region Partitioning Method for nested loops with irregular dependences for maximizing parallelism. Our approach is based on the Convex Hull theory, and also based on minimum dependence distance tiling, the unique set oriented partitioning, and three region partitioning methods. In the proposed method, we eliminate anti dependences from the nested loop by variable renaming. After variable renaming, we present algorithm to select one or more appropriate lines among given four lines such as LMLH, RMLH, LMLT and RMLT. If only one line is selected, the method divides the iteration space into two parallel regions by the selected line. Otherwise, we present another algorithm to find a serial region. The selected lines divide the iteration space into two parallel regions as large as possible and one or less serial region as small as possible. Our proposed method gives much better speedup and extracts more parallelism than other existing three region partitioning methods.

High-linearity enhancement of optical transmitter using optoelectronic predistortion method (광전자 프리디스토션 기법을 적용한 광 송신기의 높은 선형성 향상 특성)

  • Lee, Tae-Kyeong;Moon, Yon-Tae;Choi, Young-Wa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296-299
    • /
    • 2008
  • 최근 통신시스템과 핸드폰, PDA등의 통신기기들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 무선 통합 시스템인 Radio-over-Fiber(RoF) 시스템은 그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전자소자를 선 왜곡 방식에 적용하여 광 송신기의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 왜곡 방식은 두 개의 루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 부품인 레이저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RF 부품인 위상변위기, 감쇄기, RF 결합/분배기, RF 증폭기를 사용하였다. 메인 루프에서 주 레이저 다이오드의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된 왜곡신호성분은 보조 루프에서 부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추출된 선 왜곡신호에 의해서 제거된다. 제안된 선형화 기법을 적용하여 2.4 GHz에서 선형화 기법을 적용하기 전보다 3차 상호변조 왜곡성분이 약 30dB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 PDF

A Wireless Parallel Operation of Single-phase UPS Inverter using Single-loop Robust Voltage Controller (단일 루프 강인 전압 제어기를 이용한 단상 UPS 인버터의 비통신선 방식 병렬 운전)

  • Ku, Dae-Kwan;Ji, Jun-Keun;Cha, Guees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03-204
    • /
    • 2011
  • 단일 루프 강인 전압 제어기를 이용한 단상 3kVA UPS 인버터의 비통신선 방식 병렬 운전 결과를 기술한다. 단상 UPS 인버터 2대로 병렬운전 실험 환경을 구축하였고, 주파수-전압 강하 방식의 수하 제어를 이용하여 저항 부하, 비선형 부하에 대한 전력분담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Mitigation Effect on the Magnetic Field of Transmission Lines (Passive Loop에 의한 송전선로 자계 저감 효과 분석)

  • Myung, Sung-Ho;Yang, Kwang-Ho;Lee, Jae-Bok;Ju, Mun-N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c
    • /
    • pp.1142-114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선진국에서 활발히 연구중인 EMF 차폐 대책의 일환인 수동 루프에 대한 이론적 분석 방법을 기술하고, 송전선로 자계 저감 효과를 실제 우리나라 345kV, 765kV를 대상으로 정량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동 루프를 적용한 경우, 약 30% 정도의 자계 저감 효과를 나타내어 전력설비의 유효한 대책임을 확인하였다.

  • PDF

주파수 영역에서의 제어기 설계

  • Gang, Tae-Sam
    • ICROS
    • /
    • v.17 no.1
    • /
    • pp.31-38
    • /
    • 2011
  •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대역폭, 초대 주파수 응답, 저주파에서의 이득, 고주파에서의 이득 감쇄 정도를 고려한다. 또한 나이퀴스트 선도, 보우드 선도 등을 활용하여 폐루프 제어 시스템의 이득여유, 위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영역에서는 개루프의 이득이 기준치보다 크도록 하고,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기준치보다 작도록 설계를 하며, 폐루프 응답에서 대역폭이 유지되고, 공진피크점의 응답 크기는 1에 비하여 과도하게 크지 않도록 설계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