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균열

Search Result 23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ock Blastability Classification and the Methods for Minimizing Overbreak in Tunnel (터널 굴착면 여굴 최소화를 위한 발파암 분류(안) 및 공법 개발 연구)

  • 이태노;김동현;서영화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0 no.3
    • /
    • pp.25-38
    • /
    • 2002
  • 터널 굴착선 여굴(Overbreak)은 발파공법에 의한 괄착 중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숏크리트, 라이닝 등의 보강비 추가 발생과 버력 처리량의 증대로 공기 및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터널 굴착선 암반의 손상으로 균열층이 형성되거나 부석이 발생하여 안전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여굴 발생은 천공오차, 발파패턴의 오류, 잘못된 화약선정, 불규칙한 암반 특성 등에 그 원인이 있으나, 지금까지 터널 여굴은 천공 및 발파기술에 의해 좌우된다라는 인식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여굴 발생에 중요한 원인으로 터널 굴착선 암반의 특성과 이에 적합한 발파패턴 및 화약류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여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암반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터널 굴착선 주변암반의 균열정도, 강도, 불연속면의 간격, 방향, 간극, 충전물 상태 등의 6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암반을 분류하는 발파암 분류법(BI)을 새로 제안하였고, 이 분류에 따라 외곽 공의 간격과 장약밀도를 달리 하는 발파패턴을 정립하였다. 또한 화약의 순폭도와 Air Deck 효과를 이용하여 장약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N.D.C(New Deck Charge) 발파공법을 개발함으로써 여굴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A Study on Notch Bit System for Controlling Blast Vibration and Over-break in Rock Mass (발파공해 해소 및 여굴 최소화를 위한 선균열 암굴착 노치장비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g, Dong-Ho;Moon, Sang-Jo;An, Dae-Jin;Jeong, Won-Joon;Kim, Eun-Kwan;Kim, Dong-Gyou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7 no.3 s.68
    • /
    • pp.216-224
    • /
    • 2007
  • Blasting, using shock and dynamic energy of explosive, is very effective tunnel excavation method. But it had serious problem which is the blast vibration and over-break. In recent study, pre-cracked excavation method using notch hole reduced blast vibration and over-break in tunnel, so we performed study about developing notch bit system for making notch hole. In order to make notch hole effectively we had perform drilling experiments changing length and height of notch and in order to improve speed and precision of drilling we had developed notch bit system which consists of drilling bit, notch bit, adapter and notch guide.

Behavior of Stress and Deformation Generated by Repair Welding under Loading (공용중 보수용접에 의한 용접부의 응력 및 변형의 거동 - 인장력 작용중 균열보수용접에 의해 생기는 응력 및 변형의 거동 -)

  • Chang, Kyong-Ho;Lee, Sang-Hyong;Jeon, Jun-T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2 no.3 s.46
    • /
    • pp.269-279
    • /
    • 2000
  • It is much expected that steel bridges, which have been damaged by increase of vehicle load and corrosion, need repair or strengthening. In this paper, the stress generated by repair welding under loading are analyzed by three dimensional elasto-plastic analyses. The longer and deeper repair weld line bocemes, the larger the magnitude of transient stress becomes. The magnitude of transient stress generated by repair welding under loading $({\sigma}_y/3,\;{\sigma}_a)$ is similar to summation of stresses generated by repair welding and loading. The longer repair weld line ratio(1/b) becomes, the larger the magnitude of transient stress generated by repair welding under loading bocomes. And, the longer repair weld line ratio(1/b) becomes, the larger the magnitude of in-plane displacement generated by repair welding under loading$({\sigma}_y/3,\;{\sigma}_a)$.

  • PDF

Flexural Fatigue Behavior of Unreinforced Polyester Polymer Concrete Beams (무근 폴리에스터 폴리머 콘크리트보의 휨피로 거동)

  • 연규석;박제선;김광우;성기태;김태경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5 no.3
    • /
    • pp.179-186
    • /
    • 1993
  • 본 연구는 무근 폴리에스터 폴리머 콘크리트보의 휨피로 거동을 구명키 위한 것으로서 초기균열깊이와 높이의 비 (a/h)를 0, 0.2, 0.4로 하고 응력수준을 45%, 55%, 65%로 하여 피로 시험을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초기균열깊이가 커질수록 피로수명이 짧아졌으며, 피로수명비에 따른 휨인장변형도는 균열깊이가 클수록 작아졌다. 또한 휨탄성계수는 피로수명비 0.2에서 0.6정도까지는 선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초기와 말기에는 비선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응력수준과 균열깊이가 커질수록 취성적인 성질이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Crack-Prevention of Pinus Rigida during Drying by Suction Treatment of Polyetylene Grycogen (PEG흡입처리에 의한 Rigida 소나무의 건조균열방지에 관한 연구)

  • Yu, Hyo-Seon;Jeong, Se-Hui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
    • /
    • pp.15-20
    • /
    • 1997
  • 목재의 건조 균열방지를 위한 진공흡입기술의 새로운 목재처리방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목재의 건조균열 방지를 위해 사용된 ployetylene grycogen(PEG) 처리재들은 PEG-1540, PEG-2000, PEG-4000, PEG-10000이었으며, 진공펌프의 감압정도는 85kPa과 39kPa 이었다. 시험결과, 진공흡입처리에 의한 PEG액의 흡입은 방사단면에 걸쳐 고르게 이루워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PEG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시간당 PEG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시간당 PEG의 흡입량과 처리전.후의 함수률의 차인$\Delta$ M.C 는 PEG-2000을 변곡점으로 하여 감소하였다. 그리고 리기다 소나무의 건조균열 방지를 위한 약제 흡입처리에 있어 최적의 PEG 분자량과 농도 그리고 감압력의 조건은 각각 PEG-2000과 30%(wt.)그리고 85kPa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압력용기용 SA-508 III강의 미세조직과 상온 피로균열 성장거동

  • 김선웅;문승호;임영록;이후철;신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709-714
    • /
    • 1995
  • 영광 3, 4호기에 사용되고 있는 원전 압력용기용 SA-508 IH 강의 미세구조 및 상온 피로균 열성장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강재의 미세구조, 석출물 분포 및 형상을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으며 임계영역에서의 거동 및 균열닫힘에 주목하여 피로균열성장 특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Fe, MR)$_3$C 세멘타이트 및 Mo$_2$C 석출물이 입계, 래스경계면 및 입내에 분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aris 영역에서의 피로균열성장 속도는 ASME 기준선과 유사하였으며, 임계 영역에서는 일반적인 저합금강의 경우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파면조사 결과 입내 연성파괴현상이 전 $\Delta$K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Delta$K$_{th}$ 부터 $\Delta$K가 12 Mpa√m 영역에서는 입계파괴 및 입내 평활면이 관찰되었다.

  • PDF

Investigation for Detecting the Poorly Grouting of a PC Girder Bridge (충격탄성파법을 이용한 PC형교의 그라우트 미충전부 탐사측정)

  • Lee, Sang-Hun;Sagara, Yuzo;Endo, Taka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40.2-40.2
    • /
    • 2010
  • PC형교에서는 거더의 복부와 하부에 PC강선을 수용하는 쉬이스가 배치되어 있어며, 그 내부에 그라우트를 충전함으로서 PC강선과 콘크리트를 간접적으로 부착시킨다. 그러나, 이 충전이 불충분하면, 쉬이스 내부에 물이 침투하여 PC강선이 부식하거나, 동결융해 작용에 의한 쉬이스 배치 위치에서의 횡방향 균열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탄성파법을 이용하여 실구조물에 대한 그라우트 미충전부 탐사측정을 실시하고, 미충전부로 보여지는 장소를 천공으로 확인함으로서 본 방법의 실용성에 대하여 보고한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Crack Arrest Phenomena (균열정지현상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이억섭;김상철;송정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1
    • /
    • pp.112-118
    • /
    • 1990
  • Catastrophic fracture cannot be avoided after cracks(initiated from pre-existing defects) propagate rapidly with speeds comparable to a sound wave velocity of the materials. Preventing catastropic failure, crack arrest fracture toughness defined from dynamic(or kinetic) fracture mechanics point of view has been introduced in determining accurate and/or proper crack arrest fracture toughness of a material. For the past decade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nder proper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backgrounds on the use of the static plain strain crack arrest fracture toughness, $K_{1a}$ (which seems to be a material property). $K_{1a}$ has been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ick walled structures and has been considered as a measure of the ability of a material to stop a fast running crack. Determination of such a material property is of prime importance to the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and bridge materials industries. However, standards procedures for measuring toughness associated with fast running cracks are yet to exist. This study intends to give insigh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crack arrest fracture toughness of materials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PMMA), SM45C-steel, and A1 7075-T6. The effects of crack jump lengths and fast crack initiation stress intensity factor on the determination of $K_{1a}$ have been experimentally observed.erved.

충격 및 폭발하중에 의한 동적파괴 해석기법

  • 김경수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3
    • /
    • pp.22-2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균열이 존재하는 구조부재에 충격이나 폭발하중이 가해진 경우 동적응력확대계수를 구하는 방법들은 논의하고 특히 코오스틱 실험법 및 수치적으로 코오스틱 곡선을 구하여 동적응력확대계수를 구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폭발 및 충격에 의한 구조물의 파괴해석은 이와 같은 하중을 받는 압력용기, 빌딩, 초고속선, 해군 함정 등의 파괴강도설계 및 안전성 평가에 핵심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우주항공산업, 고속전철, 암반역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앞으로도 균열진전 및 정지조건, 탄소성 동적파괴해석 및 재료의 충격거동 등에 대한 연구들이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