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석회화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25초

관상동맥 석회화 평가에서 저선량 흉부 CT와 관상동맥 석회화검사의 일치도 (Low-dose Chest CT in Evaluation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orrelation with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T)

  • 김연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033-1039
    • /
    • 2023
  • 폐 스크리닝 검사로 이용되고 있는 저선량 흉부 CT는 Scan 범위 내에 관상동맥 석회화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관상동맥 석회화 판별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CACS) 검사를 같은 날 시행 받은 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검사 결과를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tegories and risks 분류법을 참고하여 4개 그룹(Low: 1〈CACS〈10, Mild: 10〈CACS〈100, Moderate: 100〈CACS〈400, High: 400〈CACS)으로 각각 30명을 선정한 후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 측정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경력 15년차 이상 5명의 방사선사가 저선량 흉부 CT 영상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유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저선량 흉부 CT 영상에서 5명의 관찰자가 통일되게 판독한 결과가 관상동맥 석회화점수 CT 검사 결과와 일치한 경우는 Low 그룹: 56%, Mild 그룹: 96.6%, Moderate 그룹: 100%, High 그룹: 100%로 나타났다. Low 그룹에서 5명의 관찰자 모두가 석회화를 관찰한 것은 30건 중 17건이었으며, 5명이 모두 판별 불가로 결정한 경우 7건이었다. 무증상 성인을 대상으로 저선량 흉부 CT 검사에서 석회화 점수가 15 이상인 경우에는 관상동맥 석회화를 100% 관찰할 수 있었다. 판별이 가능한 최소 석회화 수치는 1로, 피검자의 체형이 작거나 심장의 움직임이 최소가 되는 시점에서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 매우 작은 석회화까지도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Aortic Calcification on Plain Chest Radiography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 강영한;장정호;박종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1호
    • /
    • pp.33-38
    • /
    • 2009
  •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 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군이 10 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 PDF

폐질환 선별검사를 위한 저선량 CT영상의 관상동맥 석회화 소견으로부터 폐쇄성 관상동맥질환 예측: 석회화수치 CT검사와 비교 (Prediction of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by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Finding on Low-dose CT Image for screening of lung diseases: Compared with Calcium Scoring CT)

  • 이원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33-341
    • /
    • 2011
  • 분진에 노출 되었던 집단을 대상으로 폐질환 선별검사를 위해 시행한 저선량 CT영상의 관상동맥 석회화 소견과 석회화수치 CT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과 연구대상자로부터 동의서를 받은 후, 과거 분진에 노출된 직업력을 갖고 있는 61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폐질환의 선별검사를 위해 저선량 CT촬영과 석회화수치 CT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저선량 CT영상(Axial image)은 영상의학과 전문의로부터 진폐 소견 및 폐질환과 관상동맥 석회화소견에 대해 판독하였고, 석회화수치 CT검사로부터 얻은 기초 영상(Row image)은 별도의 워크스테이션으로 보내져 상업적인 라피디아 소프트웨어(ver 2.8)를 이용하여 관상동맥 석회화수치를 구하였다. 저선량 CT영상에서 석회화소견을 보이지 않은 그룹(42명, 68.9%)과 보인 그룹(19명, 31.1%)사이에 총 석회화(13.68 vs. 582.93, p=.009), 좌전하행관상동맥 (3.15 vs. 248.95, p=.006)의 석회화수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좌주관상동맥, 좌회선관상동맥, 우관상동맥에서 석회화소견을 보인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저선량 CT영상의 석회화소견은 석회화수치 CT검사의 석회화수치 100에서 가장 높은 일치도(K-value=0.80, 95% 신뢰구간=0.69-0.91)를 보였다. 폐질환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 시행된 저선량 CT영상에서 보여진 석회화소견은 석회화수치 검사결과와 높은 관련성을 보임으로써 폐쇄성 관상동맥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견갑하근 건에 발생한 석회화 건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Treatment of Calcific Tendinitis of Subscapularis Tendon - A Case Report -)

  • 이우진;이관희;장원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6-60
    • /
    • 2013
  • 회전근개의 석회화 건염은 견관절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순서대로 극상근, 극하근, 소형원근에서 많이 발생한다. 견갑하근의 석회화 건염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며 이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증례 역시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견갑하근 건에 발생한 석회화 건염에 대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통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초음파하 극상근 석회화 건염 주사 요법 (Injection Therapy for Calcific Tendinitis of Shoulder Under the Sonographic Guidance)

  • 남기영;문영래;양경호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13
    • /
    • 2008
  • 서론: 견관절 주변에 발생한 석회화 건염에 대한 초음파하에서 주사 요법을 시행하고 결과를 판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증상이 있는 35세에서 64세 사이의 견관절 석회화 건염 1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음파하에서 석회화 부위에 18 guage 바늘을 이용하여 천공 후 주변부에 증식 요법 주사제를 주입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통증의 감소와 제한이 없는 운동 기능 회복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초음파하에서 시행되는 주사 요법은 석회화 건염에서 심한 통증을 가지게 되는 시기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술식 중 하나로 보인다.

  • PDF

혈액인자가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ood Factors on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s)

  • 박미정;장현철;조평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37-344
    • /
    • 2021
  • 관상동맥 석회화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연관이 있으며, 동맥경화반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대구시 소재 S 영상의 학과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관상동맥 Calcium scoring CT를 시행한 109명을 대상으로 혈액인자가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허리둘레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군에 비해 석회화 발생 위험도가 1.113배 증가하였고, 공복혈당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석회화 발생 위험도가 1.036배 증가하였으며, 중성지방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석회화 발생 위험도가 1.008배 증가하였으므로 허리둘레 인자와 공복혈당인자, 중성지방 인자가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에 영향을 주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석회화 수치 발생 위험도는 허리둘레 인자와 공복혈당인자, 중성지방 인자와 유의한 관계가 있으므로 석회화 수치와 연관성이 있는 위험 변수들의 수치를 줄이기 위하여 평소 건강관리에 관심을 갖고 건강검진을 통하여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심혈관질환의 발생률을 낮추고,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의료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공명현상을 이용한 유방조직 팬텀의 석회화 관찰 (Observation with Calcifications of Breast Tissue Phantoms Using Acoustic Resonance)

  • 하명진;김정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1호
    • /
    • pp.61-69
    • /
    • 2008
  • 유방초음파 검사는 유방암 검사에 있어 유방촬영술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으나, 미세석회화 발견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유방초음파 검사에서 기존의 7.5 MHz 선형 탐촉자를 사용하여 매질의 공명현상을 이용한 유방조직 석회화 병변을 관측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gelatin과 돼지 젖가슴살을 이용하여 유방조직 팬텀을 제작하였으며, 외부 진동을 변화시켜 가며 석회화 병변을 관측하였다. 유방조직 팬텀안에 주입된 석회화는 주변 조직과 다른 공명을 일으키면서 외부진동에 따라 음향공명의 정도가 파워도플러의 ROI 영역 내의 색상의 밝기와 영역의 차이로 나타내었다. 낮은 주파수 영역에는 음향공명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약 $300{\sim}400\;Hz$ 사이에서 일정한 플래토우 영역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색상이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 PDF

실험적 모델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석회화의 인지 (The Detection of Intracranial Calcification by MR : Experimental Model)

  • 박승진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5권1호
    • /
    • pp.3-12
    • /
    • 1994
  • 연구목적 : 두개내 석회화 병변이 있을때 자기공명영상에서 석회화의 인지는 어렵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험적 모델을 통하여 자기공명영상에서 석회화의 신호강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과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공을 이용하여 일정한 농도(10, 20, 30 40, 50%) 및 크기 (l-10mm)에 따라 Gel형태의 Phantom으로 만들어 전산화단층촬영 및 MRI의 TI및 T2 강조영상을 얻어 각각 나타나는 소견과 ROI값을 비교분석하고 실제 석회화를 동반한 두개내 병변이 있었던 2예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 탄산칼슘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1과 T2 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가 뚜렷하였으며, T1 강조영상에서 수산화인회석의 경우는 10, 20, 30%에서 가장 고신호강도를 나타냈으며 40, 50%로 농도가 증가할 수록 저신호강도로 역전되었다. 가성부갑상선 기능저하증 1예도 기저핵에서 T1강조영상상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결론 : MRI에서 석회화의 신호강도는 석회화의 성분, 농도,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고 특히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경우 다른 질환과 감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슬관절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이식 건의 일과성 석회화 - 증례 보고 - (Transient Calcification of Autogenous Grafted Patellar Tendon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A Case Report -)

  • 정현기;최충혁;김종헌;김재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0-34
    • /
    • 1999
  • 30세의 남자환자로 자가 슬개골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이식건에 발생한 일과성 석회화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환자는 양측 절개술의 관절경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았으며 술 후 6개월 방사선 필름 상, 이식 건 주위로 석회화 음영이 나타났으며 술 후 13개월 석회화 음영이 사라졌다. 술 후 2개월 Lachman 검사와 pivot shift 검사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KT-1000 Arthrometer 검사 상 20 Ibs에서 건측과 1mm의 차이를 보였으나, 술 후 6개월에 이식 건 주위로 석회화 음영이 나타났을 때는 경도의 전방 불안정성이 관찰되었으며, 이후 석회화 음영이 없어지면서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도 회복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