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석류추출액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석류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nt Activities of Punica granatum Extracts)

  • 노보경;김지영;김주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7-212
    • /
    • 2005
  • 강한 천연 생리활성물질인 폴리페놀과 탄닌을 다량 함유한 석류를 노화방지제 및 기능성화장품의 화장품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과즙과 과피 및 종자유로 나누어 분리추출한 후, DPPH radical과 superoxide의 소거작용, 세포내 $H_2O_2$와 hydroperoxide 및 superoxide 생성 억제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하여 항산화 작용을 비교 평가하였다. 석류과피 메탄올 추출액은 전반적으로 가장 유의성 있는 항산화 작용을 보였다. 자체적인 항산화 작용뿐만 아니라 세포내에서 free radical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도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석류과즙 농축액은 free radical을 소거하는 항산화 작용이 있으며, 또한 석류 종자유는 강한 hydroperoxide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hydroxy기를 가진 readical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석류의 과즙보다는 과피의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이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피부미용에 관련된 건강보조식품 개발시 과피성분을 함유한 추출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특히 피부 주름 방지제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할 때는 석류 종자유를 화장품 원료로 하여 개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음료 농축액 및 퓨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 김단비;신기해;조주현;백순옥;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997-10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음료 농축액 및 퓨레로 사용되는 석류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양파추출 농축액, 도라지추출 농축액, 흑마늘 농축액, 홍삼 농축액, 아사이베리 퓨레, 새싹유채 퓨레의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능(DPPH radical scavenging, ORAC)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pH는 석류 농축액이 2.81로 가장 낮았으며 양파추출 농축액이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rix는 홍삼 농축액이 70.30으로 가장 높았고 새싹유채 퓨레가 1.70으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182.71 mg GAE/mL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양파추출 농축액이 8.80 mg GAE/mL로 가장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69.8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는 블루베리 농축액에서 $27,514{\mu}M$ 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도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28.19%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천연물 유래 농축액 및 퓨레는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농축액 및 퓨레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건강음료의 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석류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직물의 항균성 및 소취성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Textiles Dyed with Pomegranate Extract)

  • 박영희;오화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98-605
    • /
    • 2001
  • The study that has been conducted is the consideration of the durability of dye,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ing effects of cotton and silk textiles dyed with a botanical dying material tha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over the years as Korean diet and folk remedies, the pomegranate. 1. The results of the K/S value of dy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mordants of textiles dyed with pomegranate extract the following have been discovered: The increase of K/S value of dying of the silk textiles appear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tton textiles. Next, silk textiles that have been treated with FeSO$_4$.7$H_2O$ appear to be at the highest. 2. The results of the color change measurement show a difference of color can be noticed according to the types of mordant. As opposed to those textiles that had been only scured textiles, all of the dyed textiles appeared to turn yellow. 3. Textiles that had been treated with $K_2$Cr$_2$O(sub)7 recorded the highest durability according to the colorfastness to light results. In the case of the cotton textiles colorfastness to washing, all appeared to show exceptional results of 3rd class or higher, excluding the textiles that had been treated FeSO$_4$.7$H_2O$. However silk textiles recorded relatively low classes of below 3rd to 4th class. For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of pollution, the results for both the cotton and silk textiles were excellent at class 4-5. The results of colorfastness to perspiration, colorfastness to rubbing, and colorfastness to dry cleaning showed comparatively exceptional results of 3rd to 4th class or higher when it came to dyed textiles. 4. According to the measurements of antibiosis, dyed textiles that had been treated with SnCl$_2$.2$H_2O$ appeared to show an exceptional bacterium decrease of approximately 70%. 5. According to the deodorizing measurements, dyed silk textiles appeared to have a higher deodorizing effect than cotton textiles. As for cotton textiles, those that had been treated with FeSO$_4$.7$H_2O$ and in the case of dyed silk textiles those that had been treated SnCl$_2$.2$H_2O$ recorded the highest deodorizing effect.

  • PDF

자생식물 열수추출액의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 민상기;박연경;박지연;진성현;김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51-962
    • /
    • 2004
  • 병원성세균에 대한 자생식물 열수 추출물 141종의 항균효능을 검색하였다. 실험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건조 후 열수 추출하여 시료화 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고 시험 대상 균주로는 그람양성균 7주 및 그람음성균 12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그람양성군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55종이었으며 특히 달맞이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사방소리 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칡(꽃), 이질풀(지상부), 배롱나무(꽃)은 6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를 보였다. 그람음성균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45종이었으며 달맞이 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 사방오리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목련(미성숙과)은 8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스펙트럼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식용 가능하며 항균효능을 보인 달맞이꽃 (꽃), 석류(과피, 꽃),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의 열수 조추출물은 식품 보존제 및 가축 식이사료 등에 첨가하여 병원균 감염예방 등의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석류추출액의 청징화를 위한 효소처리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nzyme Treatment Condition for Clarification of Pomegranate Extract)

  • 김성호;김인호;차태양;강복희;이진형;김종명;송경식;송방호;김종국;이진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40-245
    • /
    • 2005
  • 효소처리조건에 따른 석류추출액의 청징화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효소반응온도($35{\sim}55^{\circ}C$), 시간($30{\sim}70$분) 및 농도($0.02{\sim}0.10%$)를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한 16개 구간으로 설정하여 탁도, 갈색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총당 및 환원당 함량 등을 반응 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였다. 탁도는 주로 효소반응시간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처리온도 $37.99^{\circ}C$, 처리시간 60.90분, 효소농도 0.08%일 때 탁도의 최소값이 0.04(O.D)로 나타났다. 갈색도는 효소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온도와 처리시간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당의 함량은 처리온도, 처리시간, 효소농도에 대해 모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처리온도 $39.28^{\circ}C$, 처리시간 42.04분, 효소농도 0.03%일 때 최대값 8.37%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및 고형분 함량의 경우 효소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환원당은 처리온도 $42.96^{\circ}C$, 처리시간 46.21분, 효소농도 0.02%일 때 최대값 7.22%를 나타내었고, 고형분 함량은 처리온도 $46.91^{\circ}C$, 처리시간 42.13분, 효소농도 0.02%일 때 최대값 8.13%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구한 후 탁도 및 갈색도의 최소값에 대한 최적효소처리조건을 superimposing 한 결과 효소처리 조건은 온도 $45{\sim}50^{\circ}C$, 시간 $50{\sim}60$분 및 농도 $0.06{\sim}0.08%$이었다.

제주조릿대 추출액을 활용한 식초 음료의 항산화 활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ies of Vinegar Beverage Containing Sasa quelpaertensis Nakai Extract)

  • 한정환;김성천;오한솔;이영주;박소정;고하나;이남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33-736
    • /
    • 2010
  • 제주조릿대 잎 열수 추출 진액을 첨가한 식초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을 관찰하였다. 항산화활성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Base 식초를 선택하기 위한 쌀 식초와 사과식초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식초 원액에 비해 제주조릿대를 첨가하였을 때 쌀 식초는 최대 68.07%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사과식초의 경우 78.74%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맛, 향, 단가, 항산화활성을 통하여 사과식초를 Base식초로 선택하였으며, Base식초와 제주조릿대 진액의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배합율에 따른 항산화활성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제주조릿대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제주조릿대 진액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록 활성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대조군인 석류와 블루베리 식초에 비해서는 10%이상 높은 소거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산균 발효 천연소재 혼합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 of Fermented Natural Materials Mixtures with Lactobacilluse acidophilus on Anti-obesity Activity)

  • 정희경;박옥란;김경제;진성우;고영우;임승빈;하늘이;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3-103
    • /
    • 2019
  • 최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동물성 포화지방,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 증가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여러 요인으로 비만인구 비율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자, 석류등 천연소재 추출액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항암, 항산화, 항염증, 항미생물 활성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발효유로 대표되는 유산균 제품은 장 건강, 항산화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짧은 유통기간 및 냉장유통 등 보존성에 있어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 추출물을 주원료로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한 천연소재발효물을 활용하여 항비만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산균 발효유의 풍미 유지하면서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는 가공법을 개발하고 건강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를 통하여 국민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천연소재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제조하여 세포독성, NO생성 억제능, 항비만 활성,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연소재 추출물 및 천연소재추출발효혼합물을 각각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시험구들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가장 고농도인 $5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6.2, 95.1, 97.3, 96.2, 98.1, 97.0 %로 확인되어,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천연소재 추출물 및 천연소재추출발효혼합물의 항염증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한 Nitrite 생성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NO 생성율은 $5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8.1, 98.2, 96.2, 97.3, 91.2, 95.3 %로 확인되어 시험구 D의 항염증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lipid accumulation은 각각 100.0, 99.1, 98.2, 98.5, 87.6, 91.8 %로 나타나 D시험구와 E시험구에서 지방세포 분화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관능검사 시행 결과, 농축비율에 따른 관능적 기호도는 5 brix > 3 brix > 1 brix > 10 brix 순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