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석고보드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7초

흡음 석고보드 천장재에 의한 저주파 중량 바닥충격음의 저감 효과 (Effects of sound absorbent gypsum board in the ceiling on low-frequency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 송한솔;류종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23-33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흡음 석고보드 천장재에 의한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잔향실에서의 흡음률 측정과 바닥충격음 성능평가 시험동에서의 바닥충격음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흡음률 측정은 흡음 석고보드, 흡음석고보드+글라스울, 흡음 석고보드 이중 천장재(흡음 석고보드+글라스울+흡음 석고보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흡음 석고보드의 경우 200 Hz과 630 Hz 대역에서 약 0.1~0.5의 흡음률을 나타냈으며, 글라스울을 추가하였을 때 전체 측정 주파수대역(50 Hz ~ 630 Hz)에서 흡음률이 상승하였다. 흡음 석고보드를 추가 설치하였을 때 250 Hz 대역까지 흡음률이 크게 상승하였으나, 315 Hz 이상 대역에서는 흡음률이 감소하였다. 상기 3개의 흡음석고보드 및 일반 석고보드 천장재와 맨슬래브(천장 무) 대상으로 바닥충격음 차단 실험동에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흡음석고보드+글래스울과 흡음석고 보드 이중 천장재의 일반 석고보드 대비 중량충격음의 저감량은 단일평가지수 기준으로 3 dB ~ 4 dB인 것으로 나타났다. 맨슬래브 대비 중량충격음의 저감은 주로 125 Hz ~ 500 Hz 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250 Hz 대역에서 최대의 저감량을 나타냈다.

방화석고보드를 부착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s with Fireproof Gypsum Board)

  • 염광수;전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29-235
    • /
    • 2010
  • 기존 건축물의 내화성능 보강과 화재 후 손상을 입은 구조물의 보수에 사용하기 위해 방화석고보드의 두께, 방화석고보드 적용에 따른 면적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공방법, 종류 그리고 피복두께를 변화시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동일하게 제작한 8기의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에 ISO-834 화재곡선에 따라 180분 내화시험을 실시하여 종방향철근 온도와 콘크리트의 깊이별 온도분포, 방화석고보드의 형상유지성능, 그리고 폭렬발생여부 등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15 mm 2장의 방화석고보드를 붙인 실험체의 경우 시공방법에 상관없이 보드가 탈락하여 폭렬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두께가 30 mm인 경우에는 방화석고보드의 형상유지력이 손실되지 않으면 폭렬방지 및 온도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폭렬발생으로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따른 효과는 비교할 수 없었으며, 보드 시공법에 따른 내화성능의 차이는 미미하다고 판단되었다.

석고보드 두께증가에 따른 벽체 내화성능 비교 (A Comparison of Fire Resistance for Wall According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Gypsum Boards)

  • 최동호;최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5-96
    • /
    • 2019
  • In this study, fire resistance test according to KS F 2257-8: 2015 was carried out to compare fire resistance for wall consisted of gypsum boards with two types of drywall with gypsum boards which is based to lightweight stu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ire resistance of the wall constructed with 12.5 mm of general gypsum board was 16 minutes higher than that of the wall constructed 9.5 mm in accordance with integrity and was 9 minutes higher than that of the wall(9.5 mm) depending on insulation. If the wall with the gypsum board 12.5 mm is construct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re resistance is improved by about 43%.

  • PDF

고밀도 내화뿜칠재와 석고보드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공법 (Fireproofing Method for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Densified Spray Resistive Materials and Gypsum Board)

  • 송영찬;김용로;오재근;김욱종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71-472
    • /
    • 2009
  •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시 폭렬방지 대책으로서 피복재에 의한 구조체로의 온도전달을 억제하는 방법을 검토하고자 시멘트계 고밀도 내화뿜칠재와 석고보드를 이용한 내화공법을 검토하였다.

  • PDF

방화석고보드 부착이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모의 기둥부재의 내화특성 및 잔존내력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 of Fireproofing Gypsum Board on Residual Strength and Fire Resistance of Fiber Addition High Strength Concrete-Model Column)

  • 양성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42-450
    • /
    • 2012
  • 본 연구는 5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모의 기둥부재를 대상으로 PF섬유 혼입 및 방화석고보드를 부착하므로써, 내화특성 및 잔존내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모체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은 모두 목표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온도이력은 방화석고보드가 미부착된 경우 온도가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방화석고보드가 부착된 경우는 섬유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온도가 점차 낮게 분포되었다. 상호관계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섬유가 혼입된 경우에서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보드가 부착되었을 때 더욱 낮은 온도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외관성상은 PF 0 %에서 심한 파괴 폭렬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섬유혼입율이 증가할수록 탈락 현상은 방지되었으나, 색상 변질 및 다수의 균열이 발견되었고, 보드가 부착된 경우는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외관이 양호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잔존 압축강도로 보드 미부착 PF 0 %에서는 강도측정이 불가능하였으며, 섬유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약 30~40 %의 강도저하 현상을 나타내었고, 보드 부착 PF 0 %의 경우 강도측정은 가능하였으나 약 80 % 가량 강도가 저하하였으며, 섬유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저하폭은 감소하여 약 10~20 %의 강도 저하만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PF섬유 혼입 및 방화석고보드 부착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두 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때 내화성능 향상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물내장재(석고보드, 합판)의 화재성능평가 (The Evaluation of Fire Safety Performance on Interior Finish Materials (Gypsum Board, Plywood))

  • 김충환;김종훈;김운형;하동명;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5-62
    • /
    • 2001
  • 본 연구는 국내와 외국의 건물 내장재 화재성능평가방법을 고찰하고 국내에는 도입되지 않은 실대 화재실험인 Room Corner Test를 국내 내장재중 석고보드와 합판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현재 국내 내장재의 평가규정은 Bench-Scale Test에 의존하고 있으나, 미국, 일본 유럽등에서는 Room Corner Test를 적용한 실질적인 재료의 화재성능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실험 결과, NFPA 265에 의한 석고보드 및 ISO 9705에 의한 합판의 성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국내 내장재에 적용되는 등급분류의 평가방법은 재료의 실제 화재성능 평가에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Room Corner Test의 적용과 더불어 Bench-Scale Test 결과를 토대로 화재성능을 예측하는 화재모델을 이용하는 평가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 PDF

석고보드와 결합된 강재 샛기둥 패널의 부분 합성거동 (Partial Composite Action of Gypsum-Sheathed Cold-Formed Steel Wall Stud Panels)

  • 이영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73-3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벽 패널의 부분 합성거동 해석에 대하여 거론한다. 기 발표된 목재 바닥 시스템으로부터 유도된 처짐공식을 소개하고, 이 공식을 적용하여 석고보드와 강재 샛기둥으로 결합된 합성벽 패널의 중앙지점 처짐값을 산정한다. 나사연결부의 불완전성(미끄럼), 국부좌굴, 샛기둥 복부의 개구부, 그리고 인접 석고보드간의 불연속으로 야기 될 수 있는 강성의 감소 등을 처짐공식에 적절히 반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적용된 처짐공식으로 산정된 처짐 기대치와 실험 관측치간의 비교에서는, 나사연결부의 상한 강성치를 사용한 처짐 기대치가 실험 관측치와 가장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산화철, 알루미나를 이용한 X선 차폐체 개발 및 성능 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X-Ray Shields using Fe2O3 and Al2O3)

  • 양희수;김지환;전민철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9-25
    • /
    • 2022
  • 방사선 차폐 물질인 납을 대신하여 싸고 친환경적인 산화철, 알루미나로 차폐체를 제작 후 차폐체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화철과 알루미나 각각 석고와 혼합하여 차폐체를 제작 이후 X-ray Tube를 이용하여 석고보드, 납복과 비교하여 성능을 평가한다. 관전압에 변화를 주며 실험한 결과 알루미나의 차폐 성능은 석고보드보다 차폐 성능이 떨어졌으며 50%의 알루미나가 함유되었을 때 석고보드와 차폐 성능이 비슷하였다. 산화철은 약 75%가 함유되었을 때 납복의 차폐 성능과 비슷해졌다. 알루미나를 이용한 차폐체는 석고와 비슷한 차폐 성능을 보여줘 납 대체물질로 적합하지는 않다. 하지만 산화철은 납복과 비슷한 차폐 성능을 나타내어 향후 납을 대체하는 X선 차폐 물질로 활용이 가능하기에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경량칸막이 벽체재료의 수열온도에 따른 전도 열전달 특성 연구 (Study on the Conduc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of Lightweight Panel Wall material)

  • 박상민;이호성;최수길;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46-56
    • /
    • 2018
  • 본 논문은 경량칸막이 벽체재료의 수열온도에 따른 전도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경량칸막이 벽체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소재인 일반석고보드, 방화석고보드를 포함하여 합판, 대리석, 내열유리를 실험시료로 선정하였고, 수열온도를 $100^{\circ}C$, $200^{\circ}C$, $300^{\circ}C$, $400^{\circ}C$, $500^{\circ}C$, $600^{\circ}C$로 설정하였다. 그 후 벽체재료 하단부에 각각의 수열온도를 30분 동안 인가하여 상단부인 이면부로의 전도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수열온도가 최대 $600^{\circ}C$로 인가됨에 따라 최대 이면온도는 일반석고보드 $190^{\circ}C$, 방화석고보드 $198^{\circ}C$, 합판 $189^{\circ}C$, 대리석 $321^{\circ}C$, 내열유리 $418^{\circ}C$까지 측정되었다. 또한, 수열온도가 최대 $600^{\circ}C$로 인가됨에 따라 전도 열전달율의 최대 변화폭은 일반석고보드 85 W, 방화 석고보드 95 W, 합판 67 W, 대리석 1686 W, 내열유리 3196 W 까지 측정되었다. 추가적으로 전도 열전달의 위험성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벽지의 탄화특성 측정결과 수열온도 $600^{\circ}C$의 경우 부착된 벽지의 최초연기발생은 일반석고 보드 1021 s, 방화석고보드 978 s, 합판 1395 s, 대리석 167 s, 내열유리 20 s에 나타났고, 최초탄화발생은 일반석고보드 1115 s, 방화석고보드 1089 s, 합판 1489 s, 대리석 192 s, 내열유리 36 s에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