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포트 위치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Research for an enhanced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s (서포트 벡터 머신을 기초로 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위치 추정 향상 방안 연구)

  • Lim, Jae-Hoon;Park, Gwi-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899-1900
    • /
    • 2008
  • 현재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의 위치를 추정(Localization) 하고자 하는 많은 방법들이 나와 있고, 계속해서 연구 주제로 다루어 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서포트 벡터 머신(SVM)의 기본적인 내용과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서 위치 추정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내용들을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하여, 개선되고 향상된 algorithm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SVM을 이용한 적용 사례들과 연구 동향들에 대해 살펴본 뒤 그것들의 적용방법들과 갖는 한계점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미래에 연구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Lamella Domes according to Support Position under Construction (단층라멜라 돔의 시공 중 서포트 위치에 따른 좌굴특성)

  • Kim, Cheol-Hwan;Suk, Chang-Mok;Jung, Hwan-Mok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0 no.4
    • /
    • pp.67-74
    • /
    • 2010
  • Single layer latticed domes which have a mechanics property, a functional property, a aesthetic property and so on, occupies one part of long span space structures and after this, the using parts will be extended. The frame network pattern of single-layer latticed domes can be infinitely taken into account. The typical network patterns are triangular, square, hexagon, lamella and rib etc. It would take long time and cost too much to erect large roof structures with traditional erection techniques due to require of large number of temporary bracing and supports. The erection of large roof structures requires special techniques. As one of these special techniques is the Step-Up election method that utilizes jack-up supports and this will extremely saves time and cost to erect large roof structu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lamella domes according to the support number and posit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obtained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structural engineers who design the temporary support of large roof structures.

  • PDF

Real-time fluvial sediment load monitoring method using H-ADCP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H-ADCP와 서포트벡터회귀를 이용한 실시간 하천 유사량 모니터링 방법)

  • Noh, Hyoseob;Son, GeunSoo;Kim, Dongsu;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25
    • /
    • 2022
  • 하천의 개발 및 보전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자연하천의 부유사량 및 총유사량을 계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국내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부유사량을 실측하고 실측 부유사량을 바탕으로 수정 아인슈타인 방법을 적용해 총유사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이 또한 홍수기에 국한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인 유사량 계측 방법인 시료 채집에 의한 방법은 많은 노력과 비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유사량 관측소와 관측 빈도를 늘릴 수 없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ADCP 음파 신호의 후방산란도가 부유사 농도에 따라 증가한다는 성질을 이용해 부유사 농도 계측에 ADCP를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남평교 자동유량관측소에 설치된 횡방향 ADCP (H-ADCP)를 대상으로 서포트 벡터 회귀(SVR)를 적용한 실시간 유사량 모니터링 모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제시하는 유사량산정 모형은 크게 유량과 초음파 산란도를 입력 변수로 해 부유사 농도를 산정하는 서포트 벡터 회귀 모형과 첫 번째 모형으로부터 산정된 부유사 농도와 흐름 정보를 이용해 총유사량을 산정하는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SVR 부유사량 및 총유사량 산정 모형의 정확도가 결정계수(R2) 기준으로 각각 0.82, 0.90 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VR 모형을 이용해 멱함수 기반 유사량 관계식으로는 예측할 수 없는 유사량의 이력현상을 재현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H-ADCP 기반 총유사량 모니터링 방법은 기존 자동 유량 관측소 시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무 적용 시 낮은 추가비용으로 양질의 유사량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al-Time Algorithm for Relative Position Estimation Between Person and Robot Using a Monocular Camera (영상정보만을 이용한 사람과 로봇간 실시간 상대위치 추정 알고리즘)

  • Lee, Jung Uk;Sun, Ju Young;Won, Mooncheo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12
    • /
    • pp.1445-1452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algorithm for estim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 person with respect to a robot (camera) using a monocular camera. The algorithm detects the head and shoulder regions of a person using 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feature vectors and an SVM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detected area are used for calculating the relativ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person and the camera on a robot.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algorithm, we use a GPU and NVIDIA's CUDA library; the resulting algorithm speed is ~ 15 Hz.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 is compared with the output of a SICK laser scanner.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commended Route in the Vicinity of Wando Island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한 완도 인근해역 추천항로 개선안에 관한 연구)

  • Yoo, Sang-Lok;Jung, Cho-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1 no.6
    • /
    • pp.445-450
    • /
    • 2017
  • It is necessary to set a route to reflect the traffic flow for the safety of the traffic vessels. This ongoing analysis is needed to ensure that the vessels comply with a rou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oblems of the recommended route vicinity for Wando Harbor and suggest an improvement plan. We used a support vector machine based on the ship's trajectory to establish an efficient route center line. Since the vessels should navigate to the starboard side,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line of the recommended route, the trajectories of the vessels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The support vector machine is being used in many fields such as pattern recognition, and it is effective for this binary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about 79.5 % of the merchant eastbound ships in a 2.4 NM distance to Jangjuk Sudo did not observe the recommended route, so the risk of collision always existed. The contraflow traffic rate of the route of the eastbound ships decreased from 79.5 % to 30.9 % when the recommended route was reset about 300 meters to the north, from its present position. The support vector machine appli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effectively set the route center line because the ship trajector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bout Support Vector Machine for Elementary Learners (초등 학습자를 위한 서포트 벡터 머신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Yuri Hwang;Namje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95-103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teaching the main concept and principle of Support Vector Machines(SVM) at elementary schools. The developed program, based on Jeju's natural environment theme, explains the decision boundary and margin of SVM by vertical and parallel from 4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3rd and 5th graders, most students intuitively inferred the location of the decision boundary. The overall performance accuracy and rate of reasonable inference of 5th graders were higher. However, in the self-evaluation of understanding, the average value was higher in the 3rd grade, contrary to the actual understanding.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junior learners had a greater tendency to fee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enior learners presented more meaningful post-class questions based on their motivation for further exploration. We would like to find effective way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Vision-based Pipe Support Displacement Measurement Method Using Moire Patterns (모아레 현상을 이용한 영상기반 파이프 서포트 변위측정 방법)

  • Park, Junbeom;Park, Semi;Kim, Jaehyeon;Kim, Jungyeol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1
    • /
    • pp.37-45
    • /
    • 2022
  •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a structure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structure. This study shows a methodology to measure the displacement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a structure when it is damaged by loads. The methodology used Moiré's phenomenon and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The experiments utilized pipes to simulate the pipe supports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measure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Moiré interference patterns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pipes. Experiments confirmed that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horizontal displacement of pipes and vertical displacement of Moiré patterns and derive a relational expression. In conclusion,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work allows us to simultaneously measure a number of vertical members' displacements regardless of distance and determine the safety of the structure.

인공 신경망과 서포트 벡터 머신을 사용한 태양 양성자 플럭스 예보

  • Nam, Ji-Seon;Mun, Yong-Jae;Lee, Jin-Lee;Ji, Eun-Yeong;Park, Jin-Hye;Park, Jong-Yeop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29.1-129.1
    • /
    • 2012
  •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과 인공신경망 모형(Neural Network, NN)을 사용하여 태양 양성자 현상(Solar proton event, SPE)의 플럭스 세기를 예측해 보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1976년부터 2011년까지 10MeV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입자가 10개 cm-1 sec-1 ster -1 이상 입사할 경우를 태양 양성자 현상으로 정의한 NOAA의 태양 고에너지 입자 리스트와 GOE위성의 X-ray 플레어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C, M, X 등급의 플레어와 관련있는 178개 이벤트를 모델의 훈련을 위한 데이터(training data) 89개와 예측을 위한 데이터(prediction data) 89개로 구분하였다. 플러스 세기의 예측을 위하여, 우리는 로그 플레어 세기, 플레어 발생위치, Rise time(플레어 시작시간부터 최대값까지의 시간)을 모델 입력인자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예측된 로그 플럭스 세기와 관측된 로그 플럭스 세기 사이의 상관계수는 SVM과 NN에서 각각 0.32와 0.39의 값을 얻었다. 또한 두 값 사이의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는 SVM에서 1.17, NN에서는 0.82로 나왔다. 예측된 플럭스 세기와 관측된 플럭스 세기의 차이를 계산해 본 결과, 오차 범위가 1이하인 경우가 SVM에서는 약 68%이고 NN에서는 약 80%의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우리는 NN모델이 SVM모델보다 플럭스 세기를 잘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framework to inverse-track a contaminant source of hazardous chemicals in rivers (하천에 유입된 유해화학물질의 역추적을 위한 기계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Kwon, Siyoo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12-112
    • /
    • 2020
  • 하천에서 유해화학물질 유입 사고 발생 시 수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한 초기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 화학사고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지점에서 관측된 유해화학물질의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원의 유입 지점과 유입량을 역추적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워크는 첫 번째로 하천 저장대 모형(Transient Storage Zone Model; TSM)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량의 수리 조건에서 화학사고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두번째로 생성된 시나리오의 유입 지점과 유입량에 대한 시간-농도 곡선 (BreakThrough Curve; BTC)을 21개의 곡선특징 (BTC feature)으로 추출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재귀적 특징 선택법(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RFE)을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 모형, 랜덤포레스트 모형, Xgboost 모형, 선형 서포트 벡터 머신, 커널 서포트 벡터 머신 그리고 Ridge 모형에 대한 모형별 주요 특징을 학습하고 성능을 비교하여 각각 유입 위치와 유입 질량 예측에 대한 최적 모형 및 특징 조합을 제시하는 단계로 구축하였다. 또한, 현장 적용성 제고를 위해 시간-농도 곡선을 2가지 경우 (Whole BTC와 Fractured BTC)로 가정하여 기계학습 모형을 학습시켜 모의결과를 비교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검증을 위해서 낙동강 지류인 감천에 적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시나리오 자료 기반 검증과 Rhodamine WT를 이용한 추적자 실험자료를 이용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기계학습 모형들의 비교 검증 결과, 각 모형은 가중항 기반과 불순도 감소량 기반 특징 중요도 산출 방식에 따라 주요 특징이 상이하게 산출되었으며, 전체 시간-농도 곡선 (WBTC)과 부분 시간-농도 곡선 (FBTC)별 최적 모형도 다르게 산출되었다. 유입 위치 정확도 및 유입 질량 예측에 대한 R2는 대부분의 모형이 90%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ensemble reflector in a concert hall (콘서트홀 무대반사판의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Min Ae;Oh, Yang K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5
    • /
    • pp.356-362
    • /
    • 2018
  • Stage in classical shoebox type concert hall is placed and occupy one side of the hall and have much early reflections from surrounded walls and ceiling nearby. On the other hand stage in vinyard terrace concert hall, which is surrounded by terrace seats instead of walls and ceiling, has lack of early reflections which may cause lack of communications among the players. Vinyard hall stage is enclosed with terrace seats front walls, while the players located on the stage riser keep the walls off as the walls have limited heights. Ensemble reflector installed above the stage is an effective way for the players to monitor the sound produced on the stage. That may help achieving a good ensemble of the performance. Ensemble reflector over the stage of a large vinyard terrace hall of 2,000 seats was designed with the variables of the location, the shape and the area. The effectiveness of the ensemble reflector is verified with the parameter of stage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