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울서베이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생수 및 정수기 소비지출에 대한 이변량 토빗 연립방정식 분석 (Simultaneous Equation Bivariate Tobit Analysis of Bottled Water and Water Purifier Consumption Expenditures)

  • 유승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4호
    • /
    • pp.559-577
    • /
    • 2003
  • 상수원이 오염되고 수돗물 수질을 불신함에 따라 이에 대한 방어적 지출로서 생수 및 정수기에 대한 지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지출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중요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즉, 지출에 있어서 영의 자료가 많이 관측되며, 두 가지 지출이 서로 상호종속적일 수 있고, 또 내생적으로 함께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변량 토빗 연립방정식 분석을 통해 영의 관측치, 상호종속성, 내생성의 문제를 명시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1997년 서울에서 수집된 가구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 지출함수의 모수들을 추정한다. 분석결과, 두 지출간에 상호종속성이 발견되었으며, 한 가지 지출변수는 다른 지출함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용된 이변량 토빗 연립방정식 모형은 생수 및 정수기 소비지출 자료의 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지출의 소득 탄력성 및 가구크기 탄력성 추정치도 제시한다.

  • PDF

복잡계이론에서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중심으로) (A Study on Big data Utilization Policy by the Complex System Theory: Focused on 2030 Seoul City Comprehensive Plan)

  • 엄희경;최두진;박성찬;장혜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81-298
    • /
    • 2015
  • 복잡계 이론을 기반으로 볼 때 도시는 최초발생 조건과 달라진 상황에서 진화와 적합성을 통해서 진화한 역동적인 체계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민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도시 계획 과정에서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 도시설계 과정의 중요한 요소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미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민들의 현재의 사회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지금까지는 전통적인 서베이 방식에서는 없었던 시민의 잠재적인 니즈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계획 수립 분야에서 빅데이터는 보다 개선된 결과를 얻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향후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시민의 수요를 보다 세밀하게 파악하고 국민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 분담적 관계 및 보완적 장치로써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의 행복영향요인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betwee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Elderly Generation)

  • 김소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91-602
    • /
    • 2021
  •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의 행복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여, 노년기 행복감의 영향요인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2019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자료를 사용하여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 출생자) 7,831명과 노인세대(1954년이전 출생자) 7,620명 등 총 15,451명을 표본으로, 주관적 행복감의 정도와 행복감에 영향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의 행복감의 정도가 노인세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행복영향요인으로 연령, 건강, 배우자유무, 종교유무, 경제수준, 직업유무, 여가활동, 문화생활참여, 가족관계, 경제적지지, 심리적지지, SNS참여, SNS이용만족도, 스트레스정도, 근린환경만족도, 녹지환경만족도 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에서 영향요인간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두 집단모두 가족관계가 행복감의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으나 다음으로 베이비붐세대에게는 여가활동참여를 통한 만족도가, 노인세대에게는 경제적지지유무, 즉 필요할 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유무가 행복감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또한 베이비붐세대에는 영향이 없는 SNS참여정도가 노인세대에게는 유의미한 행복영향요인으로 나타나 디지털환경에의 참여가 노인세대에게 중요한 의미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는 집단적 특징면에서 유의미하게 다르며, 따라서 이들의 노년기 행복추구를 위한 사회복지적 대응은 차별적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쇼핑가치가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백화점 쇼핑행동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the Effect of Shopping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Actual Purchase Behavior)

  • 안광호;임병훈;정선태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99-123
    • /
    • 2008
  • 국내 주요 소매업체들은 정기적인 고객만족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고객만족경영을 추구해왔다. 그러나 고객만족조사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는 고객만족조사에 기반하여 추정된 고객만족지수가 고객들의 점포애고행위를 충분히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고객만족을 측정하는 항목들이 주로 가격이나 고객과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기능적 속성(attribute)들로 구성되며,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서적 측면의 고객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쇼핑가치를 Zeithaml(1988)이 제안한 지각된 편익(benefit)과 지불한 비용(cost)에 기초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평가로 정의내리고, 이를 모형화하여 측정한다. 기존의 소매점 고객만족조사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용적 가치를 반영하는 항목들과 쾌락적 가치를 반영하는 항목들을 지각된 편익에 반영함으로써 고객만족에 대한 설명력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투입되는 비용에 있어서도 금전적 비용 외에 쇼핑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지적/시간적 노력을 포함하는 비금전적 비용을 모형에 반영한다. 쇼핑가치에 대한 개념적 틀을 기반으로 쇼핑가치가 고객만족, 그리고 구매빈도나 구매금액과 같은 실제구매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서울 강남권 여성고객들의 백화점 이용실태에 대해 서베이조사를 실시하고, 이 자료에 근거해 쇼핑가치와 소비자의 구매행동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객들이 해당 백화점에 대한 쇼핑가치를 높게 평가할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객만족도는 구매빈도와 구매금액으로 측정된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가치차원 중 쾌락적 편익, 서비스, 그리고 비금전적 비용이 유의하게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전적 비용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마케팅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Roles of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in Driving Marketing Capabilities and Firm Performance)

  • 신소현;이성호;채서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1-23
    • /
    • 2011
  • 기존 연구들은 시장지향성, 학습지향성, 마케팅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였는데 이러한 독립변수들의 효과는 개별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개념들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기업의 문화적 가치로서의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마케팅역량(마케팅전략계획 수립역량 및 실행역량)을 통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연구문헌의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여 학습지향성이 시장지향성, 마케팅전략계획 수립 및 실행역량을 통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시장지향성이 마케팅 전략계획 수립역량을 통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개념화하고 이에 대한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한국 기업들의 146명 관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서베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의 개념적 모델은 대부분 지지되었다.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각각 마케팅역량에 영향을 미쳐 기업성과를 변화시킨다는 점과 학습지향성이 시장지향성을 발전시킨다는 점이 주요 발견사항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가 갖는 이론적·관리적 시사점,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PDF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주거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른 연령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 김용욱;김새힘;황준원;조미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34
    • /
    • 2023
  • 1인 가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층의 비율은 35.9%로 전체 1인 가구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하지만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1인가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1인 가구 전체 또는 노인 1인 가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며, 더 나아가 연령층별 차이 및 비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1인 가구를 청년층과 중장년층, 노년층으로 나누어 세 집단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주거환경요인이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에는 2020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각 요인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다양한 주거환경요인들이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년 및 중장년 1인 가구 모형에서 주거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주거만족도가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 또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청년층의 주거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1인가구의 주거 및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연령층별 차이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청년 1인가구의 경우에는 주거 및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더 다양한 대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