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열 유사성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2초

양식산 Tubot, Scophthalmus maximus 감염원으로 확인된 Iridovirus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Iridovirus in Cultured Turbot, Scophthazmus maximus)

  • 김기홍;김위식;김춘섭;김영진;키타무라신이치;정성주;정태성;오명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29
    • /
    • 2004
  • 2003년 6월과 7월, 고창에서 사육중인 turbot이 약 90% 누적폐사되었고, 주 증상은 안구돌출, 비장 비대 그리고 장내 내용물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RSIV와 유사한 이형비대세포가 모든 장기에서 관찰되어 RSIV검출을 위한 primer로 PCR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CR에서 특이밴드가 모든 조직에서 검출되어졌고, 염기서열 분석 결과 기존에 보고된 strain과 88%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되어져서 터봇의 페사 원인으로 이리도바이러스감염이 관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백질 3차 하위구조 비교 시스템 설계 (Designing of Comparison System for Protein Tertiary Substructure Database)

  • 유남희;정광수;손교용;정용제;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9-371
    • /
    • 2009
  • 생명체 내에서 기능 수행 시 각종 물질들이나 단백질들끼리 상호결합을 해야 한다. 이런 결합성을 결정짓는 것들이 단백질의 3차원 구조이기 때문에 단백질 구조연구는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단백질 구조데이터 및 관련된 구조정보의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웹 환경에서 질의된 단백질과 유사성 비교를 진행하여 그 결과 및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여 체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백질 구조 비교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공개용 단백질 구조데이터 저장소인 Protein Data Bank의 플랫파일에서 필수적인 구조데이터정보만을 추출하여 여기에서 단백질의 하위구조 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진행한 질의는 하위구조처리 모듈을 통하여 하위구조를 생성하고 구조유사부분에 대해 RMSD값이 계산되고 이와 연관된 구조정보의 검색이 진행 된 후 체계적으로 출력화면에 보여준다. 제안 시스템은 단백질의 전체적인 서열과 구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서, 단백질 기능을 결정하는 핵심영역을 포함하는 표면을 효과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기존의 구조비교 시스템보다 빠른 검색과 상세한 분석을 지원한다.

한우 cDNA 라이브러리에서 발현된 ESTs의 기능분석 (Functional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Hanwoo (Korean Cattle) cDNA Libraries)

  • 임다정;변미정;조용민;윤두학;이승환;신윤희;임석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는 한우의 지방, 간, 등심조직에서 유전자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생산된 57,598개의 유전자 발현단편 데이터의 기능규명을 실시하였다. 유전자 발현단편 서열은 Assembly 과정을 통하여 unique한 서열인 4,759 contigs와 7,587 singletons을 확보하였으며, 얻어진 전사체를 이용하여 NCBI의 non-redundant 단백질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서열유사성 검색 (BLAST)을 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기능에 대한 모호성을 확실히 하기 위해 Gene Ontology 용어를 사용하여 한우의 세 조직에서 확보된 서열들의 생물학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Gene Ontology 는 모든 기능이 계층적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각 계층에 대하여 유의적인 기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 분석인 Pearson's chi-square test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능들을 산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Molecular function, Biological process, Cellular component 각각의 GO category에서 13, 16, 8개의 유의적인 GO terms이 검출되었다. 또한, 한우의 세 조직에 대하여 조직특이적 유전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Audic's test를 실시하여 세 조직에서 각각 조직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물정보학적 방법들을 사용하여 한우의 세 조직에서 발현된 대량의 서열들에 대한 기능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통계 검증을 통하여 유의적으로 검출된 유전자들은 추후에 실험적 검증을 실시하여 충분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성장호르몬 cDNA의 Cloning과 E. coli에서의 발현 (Cloning of Growth Hormone Complementary DNA from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nd Its Expression in E. coli)

  • 강거영;송춘복;이제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0-117
    • /
    • 2003
  • 붉바리(E. akaara)의 뇌하수체에서 추출한 mRNA로부터 RACE 방법으로 cDNA를 cloning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붉바리의 성장호르몬 cDNA는 5' UTR, open reading frame, 3' UTR이 각각 21 bp, 615 bp, 247 bp인 전체 883 bp로 구성되어있다. Adenylation signal로 작용하는 sequence인 AATAAA는 poly(A)로부터 20 bp upstream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추정한 성장호르몬은 20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로서 signal peptide(17 aa)와 mature protein(187 aa)을 포함하고 있으며 mature protein의 분자량은 21.3 kDa으로 나타났다. 이 호르몬은 단백질의 3차 구조에 중요한 이황화 결합을 할 수 있는 4개의 cysteine 잔기와 1개의 N-glycosylation site를 가지고 있었다. 붉바리 성장호르몬의 염기서열은 농어목에 속하는 다른 어류의 성장호르몬 염기서열과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orange-spotted grouper, gilthead seabream과 각각 96.9%, 88.6%의 상동성을 보였다.

국내 대형 초밥 뷔페에서 사용되는 수산물의 원재료 모니터링 연구 (Monitoring of Commercial Products Sold on Sushi Buffet Restaurants in South Korea using DNA Barcode Information)

  • 강태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5-50
    • /
    • 2020
  • 본 연구는 원주시 내 대형 초밥 뷔페에서 제공되는 초밥, 회 등 26개 수산물 가공품을 대상으로 DNA 바코드를 분석하여 원재료의 종을 동정하였다. DNA 바코드 증폭을 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16S ribosomal RNA 및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 부위를 증폭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된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확보한 염기서열은 BLAST Search를 이용하여 미국국립보건원 GenBank에 등록되어있는 생물 종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여 염기서열 유사도와 매칭 점수를 고려하여 최종 종을 동정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분석 제품의 58%는 제품명과 사용된 원재료가 일치하였지만, 27%에서는 불일치가 관찰되었다. 초메기초밥에는 가이양(Pangasianodon hypophthalmus)이 꽃돔회에는 붉평치(Lampris guttatus)가 사용되었으며, 날치알군함 및 청어알무침에는 열빙어(Mallotus villosus) 알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타코와사비군함 및 오징어간장소스에 사용된 원재료는 주꾸미(Amphioctopus fangsiao) 및 남방주꾸미(Amphioctopus membranaceus)로 각각 동정되었다.

상처와 효모추출물 처리조건에서 유발되는 야생벼 유전자 스크린 (Genes of Wild Rice (Oryza grandiglumis) Induced by Wounding and Yeast Extract)

  • Shin, Sang-Hyun;Im, Hyun-Hee;Lee, Jai-Heon;Kim, Doh-Hoon;Chung, Won-Bok;Kang, Kyung-Ho;Cho, Sung-Ki;Shin, Jeong-Sheop;Chung, Young-S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50-656
    • /
    • 2004
  • 야생벼의 일종인 Oryza grandiglumis (CCDD, 2n=48)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빛잎마름병, 그리고 벼멸구와 같은 병충해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곰팡이와 해충에 반응하여 차별 발현하는 유전자를 클로닝 하기 위하여 상처처리와 yeast extract를 Oryza grandiglumis에 0시간과 24시간 각각 처리하였다. 유전자의 클로닝을 위하여 희귀 발현유전자의 클로닝에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진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방법이 처리 후 24시간 된 식물을 재료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776개의 cDNA clones이 확보되었으며, 유전자 발현의 진위여부를 빠르게 스크린하기 위하여 colony array가 수행되었다. 115개의 colony가 positive로 판명되었고, 이들의 평균 insert size는 400 bp에서 700 bp에 이르렀고, 이들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68개 clone들이 알려진 기능의 유전자와 homology를 나타냈으며, 이중에서 16개 clone이 일차대사에 관련된 것과 유사성을, 5개가 plant retrotransposon과 유사성을, 5개가 식물 방어기작 관련 metallothionein-like gene과 염기서열 유사성을 보였다. 이외에 다양한 유전자들이 아미노산 합성관련, membrane transport, signal transduction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과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유전자중에서 4 개의 클론(ogwfi-161, ogwfi-646, ogwfi-663, ogwfi-695)들이 선발되었고 이들에 대한 Northern 분석이 수행되었다. Northern 분석 결과 ogwfi-161, ogwfi-646, ogwfi-663, ogwfi-695는 wounding과 yeast extract처리 에 의한 차별 발현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SSH방법은 병충해등과 같은 조건에 의해 차별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빠른 시간 내에 다량으로 발굴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가 만드는 항균 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Isolated from Kimchi)

  • 김마리;이수진;설경조;박유미;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4-32
    • /
    • 2009
  • 숙성 정도가 오래된 김장 배추 김치에서 분리되어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부분 동정된 KNUC25 분리 균주를 단백질 전기 영동 패턴과 생리적 특징 그리고 염기 서열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Lactobacillus paraplantarum로 동정하였다. L. paraplantarum KNUC25의 농축 상등액은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에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전자 현미경을 통해 KNUC25가 만들어내는 항균 물질은 세균의 표면에 작용하여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균 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최적 온도는 섭씨 30도이고, 높은 온도에서도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에 안정하며 비단백질성 항균 물질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기중성 남세균, Wilmottia murrayi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의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에 대한 연구 (A study of newly recorded genus and species for aerial cyanobacteria Wilmottia murrayi(Oscillatoriales, Cyanobacteria) in Korea)

  • 이남주;서요셉;기장서;이옥민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260-267
    • /
    • 2019
  • 국내 금강수계의 하구역에 위치한 하제항 암벽으로부터 기중성 남세균이 채집되어, 단조류 배양되었다. 2개의 남세균 배양주로부터 형태적 형질과 TEM에 의한 세포 미세구조 특징을 관찰하였다. 또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규명하여 BLAST 검색, 염기서열 유사도, 유전거리 및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배양주는 Wilmottia murrayi와 계통학적으로 동일한 clade를 형성하였고, 99%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냈다. TEM을 통한 세포 미세구조는 틸라코이드가 여러겹으로 세포막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나타냄으로써 Coleofasciculaceae과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W. murrayi를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유전자 분리 및 담배로의 형질전환 (Isolation of Coat Protein Gene from Cucumber Mosaic Virus and Its Introduction into Tobacco)

  • 손성한;김경환;김영태;박종석;김주곤;이광웅;황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9-155
    • /
    • 1995
  • 국내에서 분리 동정한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CMV)로부터 외피단백질(CP) 유전자를 분리하였고 이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129번째 아미노산이 proline으로서 mosaic symptom을 보이고 염기 및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subgroup I (type I)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리한 CP 유전자를 식물형질전환용 운반체에 삽입하여 담배 재배종인 NC82와 바이러스 증식용인 Samsun에 잎절편을 통하여 형질전환시켰다. 형질전환된 담배의 DNA를 분리하여 Southern blotting과 PCR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형질전환체에 CP 유전자가 삽입되였음을 확인하였고 T$_1$ 종자를 kanamycin이 첨가된 배지에서 후대 항생제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1개의 CP 유전자가 삽입된 경우가 50%에 달했고 2개와 3개의 유전자가 삽입된 경우도 각각 39%와 11%에 달했다.

  • PDF

유전적 유사성으로 보아 멀구슬나무와 천련은 동일종 (Melia toosendan and M. azadarach are a single species due to their genetic similarity)

  • 김회원;연승우;김기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6-44
    • /
    • 2015
  • 한약재 천련자로 유통되는 중국 식물과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는 멀구슬나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국남서부지역에서 천련자(Melia toosendan)로 채취하는 재료와 중국 남동부, 한국, 인도 등지에서 심고 있는 멀구슬나무(M. azadarach), 그리고 무환자나무과의 근연종들을 대상으로 핵 ITS, 엽록체 matK, rbcL, atpF-H, psbK-I, psbA-trnH 등 6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염기서열 자료를 계통분석한 결과 한약재 천련자로 알려진 식물과 멀구슬나무는 동일종으로 판단된다. 이 두 종은 학자들에 따라서는 동일종 또는 이종으로 처리하던 것으로, 본 연구자들의 유전자 비교분석결과는 동일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보다 타당함을 지지한다. 또한, 다양한 이명으로 세계 각지에서 기재된 멀구슬나무에 가장 가까운 종은 약재로 잘 알려진 님나무(Azadirachta indica)로, 이 종은 이전에 멀구슬나무속으로도 처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