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유사도를 비교하는 방법은 지문법과 서열 정렬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지문법은 계산속도가 빠른 대신 정확도가 떨어지며, 서열정렬법은 계산속도가 느린 대신 정확도가 높다. 다단계 정렬은 두 방법의 비중을 조절하여 문서 유사도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 방법의 장점을 얻으면서 단점을 보완하도록 고안되었다[1]. 이 논문에서는 다단계 정렬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다단계정렬 방법에서 발생 가능한 단편화 문제를 제거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Finger printing and sequence alignment are well-known approaches for document similarity comparison. A fingerprinting method is simple and fast, but it can not find particular similar regions. A string alignment method is used for identifying regions of similarity by arranging the sequences of a string. It has an advantage of finding particular similar regions, but it also has a disadvantage of taking more computing time. The Multi-Level Alignment (MLA) is a new method designed for taking the advantages of both methods. The MLA divides input documents into uniform length blocks, and then extracts fingerprints from each block and calculates similarity of block pairs by comparing the fingerprints. A similarity table is created in this process. Finally, sequence alignment is used for specifying longest similar regions in the similarity table. The MLA allows users to change block's size to control proportion of the fingerprint algorithm and the sequence alignment. As a document is divided into several blocks, similar regions are also fragmented into two or more blocks. To solve this fragmentation problem, we proposed a united block method. Experimentally, we show that computing document's similarity with the united block is more accurate than the original MLA method, with minor time loss.
문서와 문서간의 유사도들 측정하는 방법 은 크게 지문법 (fingerprint)을 이용한 방법과 서열 정렬(sequence alignment)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두 방법은 각각 속도와 정확도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단계정렬(MLA, Multi-Level alignment))는 이러한 두 방법을 조합하여 탐색 속도와 정확도 사이의 비중을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1] 다단계 정렬은 두 문서를 단위 블록(basis block)로 나누고 블록 간의 벡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초성 추출 및 어간 추출을 통해 단위 블록의 벡터를 빠른 시 간에 생성하고 비교하는 방법과 다단계 탐색을 통해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빠르게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결과 제안 방법을 통해 다단계 정렬 방법을 이용한 대용량 문서 비교의 속도가 2 배 이상 빨라짐을 보인다.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 computer program can be represented by the keywords sequence extracted from the source code. Therefore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programs can be clearly figured out by comparing the keyword sequences obtained from the given programs.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the similarity of two different sequence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already in bioinformatics on biological genetic sequence manipu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similarity of two different programs and detecting the partial plagiarism by exploiting the sequence alignment technique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experimented with the actual Program codes submitted by 70 students attending a Data Structure course )tow 2001.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powerful than the fingerprint method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for the Plagiarism detection.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2007.11a
/
pp.522-526
/
2007
Since newly emerged disease,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spread from Asia to North America and Europe rapidly in 2003,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determine where the virus came from. In the phylogenetic point of view, SARS virus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genus Coronavirus, but, the overall conservation of SARS virus sequence was not highly similar to that of known coronaviruses. The natural reservoirs of SARS-CoV are not clearly determined, yet. In the present study, the genomic sequences of SARS-CoV were analyzed by bioinformatics techniques such as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nd phylogenetic analysis methods as well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ll the calculating processes, including calculations of the relative synonymous codon usage (RSCU) and other genomic parameters using 30,305 coding sequences from the two genera, Coronavirus, and Lentivirus, and one family, Orthomyxoviridae, were performed on SMP cluster in KISTI, Supercomputing Center. As a result, SARS_CoV showed very similar RSCU patterns with feline coronavirus on the both axes of the correspondence analysis, and this result showed more agreeable results with serological results for SARS_CoV than that of phylogenetic result itself. In addition, SARS_Co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influenza A virus commonly showed the very low RSCU differences among each synonymous codon group, and this low RSCU bias might provide some advantages for them to be transmitted from other species into human beings more successfully. Large-scale genomic analysis using bioinformatics techniques may be useful in genetic epidemiology field effectively.
표절과 관련된 이슈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표절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절구간 검출을 위해 복잡한 자연어처리와 같은 의미론적 접근방법이 아닌 비교적 단순한 어휘기반의 문자열 처리 방법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지문법 (Fingerprinting)과 서열정렬 (Sequence alignment) 등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들을 이용하여 대용량 문서에 대한 표절검사를 수행하기에는 시공간적 복잡도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에서 사용하는 BWT (Burrows-Wheeler Transform)[1]를 이용한 탐색방법을 응용한다. 또한 부분표절구간을 검출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질의문서를 분할하여 작은 조각으로 만든 뒤, 조각들에 대한 질의탐색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문서를 분할하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두 가지 방법은 k-mer analysis를 이용한 방법과 random-split analysis를 이용한 방법으로, 각 방법의 장단점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실제 부분표절구간의 검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Goodyera rosulacea, which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G. repens, is described recently as a new species based on its distinct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rosette-formed leaves, short rhizome and habitat. To verify the taxonomic identity of G. rosulacea and its taxonomic relationship within Korean Goodyera taxa,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and the trnL region of cpDNA from 24 accessions including 1 outgroup accession were analyzed. Aligned sequences were analyzed using maximum parsimony and distance method, and the taxonomic identity and the taxonomic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taxa were estimated by the existence of private marker gene and the phylogenetic tree of the aligned sequences. Molecular data indicate that G. rosulacea gas several private marker genes and shows monophyly in phylogenetic trees of both ITS and trnL sequences. the pairwise distance between G. rosulacea and the orher taxa of Korean Goodyera was 3.49-6.68% for ITS region and 5.05-9.53% for trnL region, indicating that G. rosulacea could be treated as an independent species. Therefore, our molecular data support the taxonomic of G. rosulacea as a distinct species of Korea. In phylogenetic trees, G. rosulacea formed same clade with G. repens, which has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with G. rosulacea, and showed the lowest pairwise distance with G. repens among Korean Goodyera taxa. These molecular data sugguested that G. rosulacea and G. repens are closely related taxa.
Je, Hee-Jeong;Ahn, Jae-Wook;Yoon, Hae-Suk;Kim, Min-Keun;Ryu, Jae-San;Hong, Kwang-Pyo;Lee, Sang-Dae;Park, Young-Hoon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v.33
no.5
/
pp.722-729
/
2015
Powdery mildew (PM) caused by Podosphaera aphanis is a major disease that can result in significant yield losses in strawberry (Fragaria ${\times}$ ananassa Duchesne). For preventing PM, pesticides are usually applied in strawberry. In this study, molecular markers were developed to increase breeding efficiency of PM-resistance cultivars by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An $F_2$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PM-resistance 'Seolhyang' and PM-susceptibility 'Akihime' was evaluated for disease resistance to PM and RAP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BSA (bulked segregant analysis). Among 200 RAPD primers tested, OPE10 primer amplified a 311bp-band present in with 331bp. Sequence alignment performed for searching polymorphisms and six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ere found in amplified regions. To develop polymorphic marker for distinguishing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RAPD was converted to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Among restriction enzymes associated with six SNPs, Eae I (Y/GGCCR) was successfully digested to 231bp in susceptibl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ed CAPS marker could be use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selecting powdery mildew resistant strawberry in breeding system.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