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양 역사복식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인체의 조형미 -신체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 김소영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8-79
    • /
    • 2003
  • 현대에 들어와 몸에 대한 담론은 여러 분야의 학문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몸은 하나의 기호로서, 시각적 언어로서, 사회적 변화의 소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인체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관심은 여성의 누드와 섹슈얼리티의 재현으로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확산되었다.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과거 역사책 속에서 침묵 당했던 여성들의 경험을 회복하고 서양 문화에서 여성의 위치를 재정립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중략)

  • PDF

서양 역사복식에 나타난 과장적 헤어스타일의 미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in the Western Costume)

  • 이연희;성광숙
    • 복식
    • /
    • 제65권8호
    • /
    • pp.110-12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a phenomenon of exaggerated hairstyle in the history of Western custom through publications related with Western costume and research papers. By adopting the criteria of Delong, M. R. to analyze visual forms shown by interaction between human body and costume worn over the body, it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the interaction between hairstyle and costume. In addition, it inferr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examined phenomenon focusing on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ostume socio-psychological precedent studie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applied by analysis criteria of Delong, M. R. were in pursuit of the emphasis style. This was clearly and intensively recognized by forming spaces for mostly closure style, part style, three dimensional style, determinate style, and space separation style.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hair and ornamentations, 'precedence of ornamentation' was pursued as ornamentations were recognized earlier than the hair itself. It means associative meanings of the surface effect were accompanied by emotions of 'intensiveness' and the pursuit of the attractive style. A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hairstyle and costume, there were many cases of pursuing 'continuity' mutually and visually by connecting the hairstyle and the costum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were inferred as 1) the expression of the sprite of the age(i.e. art, culture, politics, society, ideology, religion), 2) symbols of wealth, class, authority, and excellence, 3) pursuit of addicted desire to ornament, and 4) harmony through continuity with costume. This study verified that hairstyle was connected as a part of costume, or formed as a way to express deeper human psychology beyond just a part of a costume. It was also confirmed that hairstyle was an expressive method to express the spirit of the age, such as art, culture, society, religion, ideology.

서양 아동복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hanges of Western Children's Clothing)

  • 이윤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6호
    • /
    • pp.1034-1046
    • /
    • 2009
  • Based upon literature surve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western children's clothing and characteristics over centuries. It was not until the 18th century that children were given serious consideration and that fabrication of clothing began to be designed only for children. The very first clothes which revolutionized children's wear was 'a la matelot' in the 18th century which freed children from physical restriction, recognized gender difference, and sailor suit became popular among all sexes and adopted as school uniform. And then children's clothing was shortened in length and adopted tubular silhouette, which allowed greater comfort and movement. The 20th century saw children's wear reform to be carried out after the World War II due to invention of synthetic fiber, easy care dress material, mass production system and sophistication of marketing methods. Further evidence of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 status can be found in contemporary designs: for example, 'casualized' wear, 'character design' which reflects children's psychology and 'family look' which is designed to be worn with mothers. This evolution of children's clothing within western dressing support the view that children's clothing is not a miniature of adult wear but it reflects idiosyncrasies of the era and exerts children's dignity.

  • PDF

현대복식미에서의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in modern Clothing Aesthetics)

  • 이은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121-131
    • /
    • 1995
  • 오리엔탈리즘은 20세기 초에 스타일의 변화에서 시작되었다. 현대성은 역사적 개념이전의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서양에 있어 스타일의 변화는 동양적, 이국적 취미를 가진 예술가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것은 외형적으로 일본, 모로코, 북아프리카에 대한 외형의 재현이었다. 20세기 양식의 흐름은 표현주의, 큐비즘, 쉬르 뤼얼리즘, 팝아트로 이어진다. 그러나 오리엔탈리즘은 후에 원시주의로 보여지는 에그조티즘 이후 20세기 변화의 원천이 되었다. 현대복식에서는 신체의식을 변화시킨 뽈 뿌와레의 작품과 관련지어 본다. 그는 이브 생 로랑, 샤넬, 발렌시아가와 같은 이미지 창조자였다. 당시 러시아 발레, 야수파, 생생한 색상은 일련의 현대복식의 배경이 되었다. 부드럽고 유연한 신체, 비치는 스타킹, 미나레 튜닉, 터번 등은 오리엔탈 이미지의 시작이었다. 현대복식과 현대 조형은 역사적 개념이전에 미적 기초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 PDF

문헌조사를 통한 복식사 연구에서의 양적 분석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studies in Historic Costume using the Documentary Evidence)

  • 임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6
    • /
    • 1996
  • 복식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문헌을 통하여 다량의 정보 수집이 가능할 경우,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내용분석법을 도입하여 정보의 수량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1856년부터 1870년에 이르기까지 미국 여성의 평상복(daydress)중 재킷과 치마의 유행 경향을 당시의 대포적인 패션 잡지인 Godey's Ladies Book과 Perterson's Magazine의 패션 삽화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1856∼1870년은 미국의 남북전쟁 발발 5년 전부터 남북전쟁 직후 5년까지 의 15년간의 기간을 이르며, 해당 15년은 전쟁 전, 전쟁 중, 그리고 전쟁 후의 5년간씩의 3 시기로 나뉘어졌다. 연구의 목적은 여성 평상복의 디자인이 위의 기간 동안 남북전쟁의 한 영향으로서 군복 '라일의 경향을 띄게 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군복 스타일의 경향은 몸에 꼭 맞는 실루엣(fitted silhouette), 에플렛(epaulet), 스텐딩 칼라(standing collar), 더블 여밈 (double-breastedness) 다수의 단추의 사용 및 장식(buttons)으로 정의되었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의 경향은 풍성한 실루엣 (full silhouette), 플라운스가 된 치마(flounced skirt), 그리고 러플/fp이 스/리본 (ruffles/lace/ribbons)의 사용 여부로 정의되었다. 연구의 초점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문헌 정보의 수집 방법을 수립하는 데 있었으며, 수집된 자로는 각 변수의 빈도 분포포에 의해 조사되었다. Fitted silhouette, epaulet, 그리고 standing collar는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제 1시기에 가장 적게 나타났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에 있어서 full sihouette과 trounced skirt는 제 1시기에 가 장 많이 보였고 전쟁 당시와 전후에 점차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Buttons나 double breastedness 등은 제 2시기에 가장 많이 보이고 제 3시기에는 오히려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반면에 ruffles/lace/ribbons는 fitted silhouette 등의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더불어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유행의 경향에 있어서,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여성스러운 경향의 변수를 각각 종합하여 분석해 보면, 제 2시기를 중심으로 전자의 유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후자의 유행은 감소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미국 패션은 유럽 왕실의 유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괴는 서양 복식의 역사의 선상에서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 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