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양수학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역사속 과학인물 - 한국최초 평양서 서양과학 소개한 '윌 칼 루퍼스(1876~1946년)'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2 s.367
    • /
    • pp.26-27
    • /
    • 1999
  • 미국 미시간주 출신인 W.칼 루퍼스(1876~1946년)는 1907년 선교사들과 한국에 파견되어 한국땅에 최초로 서양과학을 소개하고 가르친 인물이다. 평양 숭실학교를 거쳐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한국에서 10년동안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쳤다. 그후 "조선천문학사"를 책으로 발간했고 우리의 국보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서양에 소개하고 미국 학회잡지에 한국천문도를 발표했다. 그는 연희전문학교의 제자 이원철(1896~1963년)을 한국 첫 천문학박사로 길러낸 장본인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ane figures of Joseon-Sanhak in the late 18th century (18세기 후반 조선산학서에 나타난 평면도형 관련 내용 분석)

  • Choi, Eunah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1 no.1
    • /
    • pp.47-62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ane figures in the geometry domains of Joseon-Sanhak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focused on changes in explanations and calculation methods related to plane figures, the rigor of mathematical logic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newly emerged mathematical topic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 and written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and written in the previous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explanation that pays attention to the figures as an object of inquiry, not as a measurement object, and a case of additional presentation or replacing the existing solution method was found. Second, descriptions of the validity of calculations in some problems, explanations through diagrams with figure diagrams, clear perceptions of approximations and explanations of more precise approximation we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pursuing the rigor of mathematical logic. Lastly, the new geometric domain theme in the late 18th century was Palsun corresponding to today's trigonometric functions and example of ext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triangle to a general triangle. Joseon-Sanhak cases in the late 18th century are the meaningful materials which explain the gradual acceptance of the theoretical and argumentative style of Western mathematics

Research on the history of astronomy and the role of astronomer

  • Lee, Yong B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37.3-38
    • /
    • 2017
  • 우리나라의 천문 관측의 기록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시대에는 천문 현상을 바위나 건축 유물에 기록을 남기고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일반 역사 기록 속에 항상 함께 기록하고 있다. 특히 동양은 역사기록 자체가 인간이 남긴 자취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에 일어나는 다양한 자연 현상도 함께 동시에 남겼다. 고대로부터 인간은 하늘과 땅과 항상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일식, 혜성 출현, 별똥과 유성우, 달과 행성 운행, 초신성 관측 등 250회 이상의 천문 기록이 나타나며 대부분 실제로 일어났던 사실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그 후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천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천문 기록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중국으로부터 역법을 도입하여 천체 운행을 이용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시각법을 사용하고 달력을 제작하였다. 특히 달과 태양의 운행 원리를 파악하여 일식과 월식을 직접 추산하였다. 역법의 운용은 천체 운행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천문 관측과 정확한 시각 체계를 유지하고 정밀한 역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천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를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천문 의기는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고 천체의 운행을 이용하여 시각 체계를 유지 관리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기기이다. 우리나라 천문학 발달의 네 가지 축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등은 조선 초기 세종시대 완성을 보게 되었다. 이는 단일 왕조가 이룬 업적으로 다른 문화권에서 볼 수 없을 정도의 우수한 과학 기술의 유산이다. 특히 칠정산내편과 외편의 완성은 중국의 역법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역법을 완성하려는 시도였다. 이 모든 것은 당시 이를 주도하던 세종대왕의 지도력과 천문학과 수학에 뛰어난 천문학자가 이룩한 업적이다. 그 후 조선 중기로 접어들면서 쇠퇴하다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거의 모든 과학기술의 유산이 파괴되거나 유실되었다. 조선 현종 이후에 세종시대의 유산을 복원하려는 노력 중에 중국을 통하여 서양의 천문학을 도입하게 되었다. 중국에 들어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이 주도하여 중국의 역법 체계를 바꾸었다. 즉, 일식과 월식의 예측력이 뛰어난 시헌력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시헌력에는 서양의 대수학과 기하학을 이용한 다양한 수학적 기법이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 시헌력을 익히기 위한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을 접하게 되고 새로운 우주 체계를 도입하게 되었다. 특히 서양의 천문도와 지도 제작에 기하학의 투사법이 사용되어 복잡한 대수학적 계산을 단순화시켜 활용하였다. 조선 후기에 전문 수학자뿐만 아니라 많은 유학자들도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다. 고천문학 전체를 조망해 볼 때 핵심은 현대의 천체물리학이 아니라 위치천문학이다. 따라서 고천문학을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지구의 자전과 공전 운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현상과 세차운동에 의한 효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중에서도 구면천문학과 천체역학에 대한 원리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접근해야 한다. 고천문학의 중심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 등의 내용은 이러한 위치천문학이 그 기본 골격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고려사의 천문 현상을 모아 놓은 천문지(天文志)와 일식과 월식 계산 원리가 들어있는 역지(曆志)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위치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는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자가 고천문을 연구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점이 위치 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 접근하는 것이다. 심지어 조선시대 유학자들조차 저술한 많은 천문 관련 기록을 보면 상당부분 천체 운행 원리를 모르고 혼란스럽게 기록된 내용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 수학사를 연구할 경우 방정식 해법, 보간법, 삼각법, 일반 기하 원리에 대한 것을 연구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천문 현상이나 천문 의기 제작에 사용되는 수학은 천문 현상에 대한 원리를 모르면 접근하기 어렵게 된다. 수학사를 하더라고 기본적인 위치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폭 넓은 수학사 연구에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의외로 천문 현상 추산을 위해 사용되는 수학이나 기하학 원리가 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구나 한문으로 기록된 천문 내용을 한문 해독이 능숙한 학자라 하더라도 내용을 모르고 번역하면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문으로 된 천문 현상 기록이나 역법 관련 기록의 번역 내용 중에 많은 오역을 발견하게 된다. 문제는 한번 오역을 해 놓으면 몇 십 년이고 그대로 그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인용하게 되고 사실로서 인정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우리 선조들이 남긴 고천문 관련 기록에 관한 이해는 우리 현대 천문학자의 역할이 대단히 크다.

  • PDF

Sang-Seol LEE: Father of Korean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이상설 : 한국 근대수학교육의 아버지)

  • Seol, Han-Guk;Lee, Sang-Gu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2 no.3
    • /
    • pp.79-102
    • /
    • 2009
  • Most who have heard of Sang-Seol Lee know him for his contribution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nearly a hundred years ago. This paper, however, will discuss Lee's other great contribution to his country; that of being "The father of modern mathematical education in Korea". Lee passed the rigorous government officer examination with the highest honor and became a teacher for the royal prince. Later he became the president of Sunkyunkwan, a national institute of higher learning since 1398, and eventually a well-known university bearing the same name. Lee was also a highly regarded Confucian scholar and well versed in foreign languages. He wanted Korea to become a modern country and felt that the area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studies that needed improving in order to achieve modernization. While researching Western textbooks on the subjects he realized that Western mathematics would be especially important for Korea. With that, it became his mission to integrate Western mathematics into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This paper will explain the importance of Sang-Seol Lee's contributions to mathematic education in Korea and how it helped Korea become the modern nation it is today.

  • PDF

Mathematics Textbook in Korea (1880-2016) (한국 근·현대수학 교재 연구)

  • Lee, Sang-Gu;Lee, Jae Hwa;Kim, Yeung-Gu;Lee, Kang Sup;Ham, Yoonm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1 no.1
    • /
    • pp.149-177
    • /
    • 2017
  • Since modern mathematics textbooks were introduced in the late 19th century Korea, arithmetic experts started to teach modern mathematics using Arabic numerals at village schools and churches. After the Gabo Education Reform of 1894, western mathematics education was included in public education and the mathematics textbooks began to be officially published. We explored most of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rom 1895 to 2016 including the changes of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1885-1905, 1905-1910, 1911-1945, 1945-1948, 1948-1953, 1954-1999, and 2000-2016. This study presents the characters of modern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since 1885.

중세 이후의 서양 논리사

  • 이승온;이석종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0 no.2
    • /
    • pp.64-71
    • /
    • 1997
  • This paper is a sequel to [5]. We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logic and religion. The period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is dominated by science; traditional religious beliefs remain important, but are felt to need justification, and are modified wherever science seems to make this imperative.

  • PDF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한국의 수학 교육과정과 수학교육관)

  • 김종명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7 no.2
    • /
    • pp.33-52
    • /
    • 2004
  • The paper is analyzed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the philosophy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We have found that the various philosophy of Western mathematics education have led us to various view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This change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didactics of mathematic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PDF

우리의 전통적 교구, 목제주령구의 현대적 활용방안

  • Go, Sang-Suk;Kim, Yeong-Nam;Gang, Heu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27-46
    • /
    • 2001
  • 본 논문은 과거 신라시대에 사용하여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되었던 6, 8면체 주사위를 오늘날 우리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6, 8 면체는 6개의 사각면과 8개의 삼각면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를 6진법과 8진법에 이용하여 그 개념과 자리수를 익히고 덧셈, 뺄셈에 활용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둘째, 14면체의 면의 모양과 면의 개수가 갖는 성질을 이용하여 문자와 식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 개념을 확장시켜 다항식의 연산을 적용하여 보았으며, 셋째, 동 ${\cdot}$ 서양의 철학에서 살펴본 수의 의미로서 주사위가 지닌 의미를 재해석해보았다.

  • PDF

The Application of Integer Ratio in Making Eastern and Western Notes (동서양의 음의 생성을 통해본 정수비의 응용)

  • Lee, Gyou-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4
    • /
    • pp.923-937
    • /
    • 2010
  • Explain concretely how to apply some integer ratios in making Eastern and Western notes, and show numerically that the chromatic scale coming from the upholding Pythagoras method in Western and the Sambunsonikbub in Eastern are perfectly equal even if they are far from geograph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