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양고지도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ontents Construction of 'Sea of Korea' Using European Antique Maps (서양고지도를 활용한 '동해' 전시 콘텐츠구성 방안)

  • Oh, Il-Whan;Lee, Seu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7
    • /
    • pp.208-219
    • /
    • 2010
  • Antique maps are a cultural heritage of recorded information with distinguished pictorial and scientific value. They have been utilized in a variety of academic fields, especially in historical geography, as the most fundamental data to look into the restoration of space or historic changes of area from the past.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ents using antique maps in the exhibitions. Furthermore, there is almost no content research on the antique maps integrating the academic programs in museums or art galleries. 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the approaches to configure or utilize the exhibition contents related to the Sea of Korea using European antique maps.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order to use the European antique maps including the Sea of Korea as well as Korea itself in the exhib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visualize the results of academic research on the territory and territorial waters of Korea and extensively acknowledge them as scientific data all over the world.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create the opportunity to increase interest in the Sea of Korea and recognize it again, to find the contents construction to use European antique maps as academic data for exhibition and education in museums or cultural facilities and to provide a basic model for history education using antique maps.

예천군지역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지도와 지리지의 비교분석

  • 이한방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5
    • /
    • 2002
  • 변화의 속도가 느려서 장기지속적인 전체사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결과로서의 지표경관을 도면상에 표현한 고지는 당시대인들의 세계관과 공간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을 둘러싼 지리적 환경은 장기적으로 벼하는 구조이다. 장기지속의 구조사는 지리지와 고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지리지와 고지도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지야외답사를 통하여 경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성과 한국전통지역사회의 원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정상기의 동국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북방영토인식, 군현지도, 시대상의 복원과 지리환경 인식, 회화의 측면에서 본 고지도, 지명과 영토문제, 서양식 세계지도의 전래과정등의 연구주제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는 고지도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 파악과 해제, 전체적인 유형 분류, 특정주제에 대한 고지도 이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구체적인 지역사회에 대하여 고지도를 통시대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경관과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은 촌락경관이 남아 있는 지역사회경관에 대한 고지도와 지리지를 활용한 연구가 시급하다. 고지도는 옛 지명, 산천, 도로, 역원, 행정구역, 역사적 위치의 파악과 문화경과 복원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므로 지역사회 단위의 연구가 필요하다.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읍지와 지도는 서양과 일본의 침략으로 변모되기 이전의 한국 각 지역의 모습을 추적하고 복원하는데 긴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현대 한국지역사회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지난 400년간의 지역변화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

  • PDF

한국 古(고)해도 연구의 현황과 전망

  • 박계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50-52
    • /
    • 2022
  • 근대화 과정에서 바다에 대한 지식을 가진 국가는 제국을 이루었음을 볼 때, 바다에 대한 지식 획득이 근대화로 가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은 후기에 들어 해방도 작성 등 바다에 대한 나름대로의 지식을 축적하였으나, 서양의 근대 해도 기술의 수용이 부족하여 우리 바다에 대한 지식을 열강과 일본에 빼앗겨 근대화에 실패하였다. 왜 우리는 바다에 대한 지식 획득에 뒤처졌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바다 지식의 결집체라 할 수 있는 전근대 고지도의 변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단서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도의 특성이 포함된 고지도를 해도의 범주로 수용하기 위해 古(고)해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관련된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그 한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고해도의 개념과 범주의 틀을 제안하고, 이 틀로 한국의 고해도 분석을 통해 고해도의 연구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의 근대식 등대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97-99
    • /
    • 2015
  • 부산은 18세기말 서양에게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후 19세기말 조선이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국제 열강들에게 개항되었을 때에도 중요한 국제적인 개항장이었다. 국제 선박들의 왕래가 늘면서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등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등대의 설치와 관리는 부산 해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개항기 해관의 작업들은 봉건사회에서 근대국가로 변천하는 조선의 역사적 기원이 된다. 이처럼 소중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개항기 해관문서들이 상당부분 소실되어 정확한 역사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조선의 내부문서와 외교문서 그리고 국내외 언론들에 의해 작성된 기록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출간된 자료들과 수집된 고지도들을 바탕으로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에 설치된 근대식 등대를 확인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근대사의 올바른 정립에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Modern Lighthouse of Busan Harb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Opening Port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의 근대식 등대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41-547
    • /
    • 2014
  • Busan was known firstly to the western world in the end of 18th century. When the Joseon opened a port under the western powers in the late 19th century, Busan was an important port.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hip exchange had magnified the harbor facility and the importance of lighthouses of Busan port. Busan maritime customs officer were in charge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lighthouses. The operations of maritime customs became historical origin of Joseon changing from feudal society to modern nation. The majority of the documents from maritime customs was disappeared. So it was hard to know the exact history. But investigating documents and papers of Joseon, even media records will enable us to establish the objective fact relations. Moreover, published and translated data from the past make it possible such investigations. As a result, modern lighthouse of Busan harbor in the late Joseon after opening port was could be found. It could be offered to establishing the Korean modern history as the objective data.

The strengthening of North Atlantic Deep Water during the late Oligocene based on the benthic foraminiferal species Oridorsalis umbonatus (저서성 유공충 Oridorsalis umbonatus의 산출 상태에 기록된 후기 올리고세 북대서양 심층수의 강화)

  • Lee, Hojun;Jo, Kyoung-nam;Lim, Jaesoo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4 no.5
    • /
    • pp.489-499
    • /
    • 2018
  • A series of geological event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Antarctic continental ice sheets, the changes in ocean circulation and a mass extinction after the onset of Oligocene has been studied as major concerns by various researches. However, paleoclimatic and paleoceanographic changes during the most period of Oligocene since the Eocene-Oligocene transition (EOT) still remains unclear. Especially, although the late Oligocene warming (LOW) has been assessed as the largest period in the paleoceanographic changes, the detailed understanding on the changed components is very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paleoceanographic history during the late Oligocene using core sediments from IODP Expedition 342 Site U1406 performed in J-Anomaly Ridge in North Atlantic. Because North Atlantic deep water (NADW) has flowed southward through the study area since the early Oligocene, this area has been considered to an important location for studies on the changes of NADW. The core sediment analyzed in this study were deposited from about 26.0 to 26.5 Ma as evidenced by both of onboard and shore-based paleomagnetic data, and this is corresponded to the earliest period of LOW. The sediment profile can be divided into three Units (Unit 1, 2 & 3) based on the changes in both of total number and test size of Oridorsalis umbonatus as well as grain size data of clastic sediments. Unit 2 represents largest values in these three data. Because the total number, test size of O. umbonatus and grain size can be proxy records on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circulation intensity of deep water, we interpreted that Unit 2 had been deposited during the period of relatively strengthened NADW. Previous Cibicidoides spp. stable isotope results from the low latitude region of the North Atlantic also support our interpretation that is the intensified formation of NADW during the identical period. In conclusion, our results present a new evidence for the previous ideas that the causes on LOW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s in NADW.

A Survey on Breakfast of Commuting Local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Desirable Breakfast Menu (통학 지방대학생의 아침식사 섭취실태와 바람직한 아침식단에 대한 제안)

  • 이혜양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1 no.3
    • /
    • pp.323-328
    • /
    • 199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gularity of breakfast and food habits of commuting local college students. The regularly breakfast eating rate was found to be 32.9% in man and 26.5% in woman. The mean score of food habits was pretty low, 36.7 out of minimum possible score 12 and maximum 60. The mean score of nutrition attitude was 58.1 out of minimum possible score 18 and maximum 90. This survey showed that skipping breakfast or irregularity of breakfast led to overeating, high fat diet, lot of alcohol and imbalanced diet. It was known that breakfast w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ree meals. But having balanced breakfast daily was very difficult according to loss of appetite and busy schedule early in the morning. I suggested carbohydrate food, protein food, and vitamin & mineral food items desirable for nutritionally balanced, easily digestible, tasteful, quick and easily cooking breakfast menu. It was recommended to choose on item out of each of three food categories considering calory(1/3 of daily recommended calory intake for breakfa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