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식 환경 및 생태

Search Result 98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alysis of season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at Han River tributary vulnerability points (한강 지류 취약지점에서의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분석)

  • Yeon jung Noh;Seong joon Kim;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6-146
    • /
    • 2023
  • 우리나라의 하천은 도시의 급격한 산업화와 공업화로 인해 이수, 치수 목적을 중심으로 관리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와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로 인해 하천의 수질 및 흐름이 위협받으면서 하천 환경개선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하천의 생태기능은 하천에서 살아가는 각종 생물의 서식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하천이 환경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천 환경개선을 위해서는 하천 생태기능 유지를 위한 최적 유량을 확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에 대한 평가에는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 개발한 어류에 대한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물리적 서식처 모형 (Pysical HABitat SIMulation, PHABSI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HABSIM은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e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곡선을 산출하여 생태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어류 건강성 평가에서 낮은 등급을 받은 탄천 대왕교 지점을 대상으로 PHABSIM을 이용한 어류의 계절별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했다. 연구에 사용된 유량자료는 2012부터 2021년까지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탄천의 대표 어종으로는 각 하천에서 우점종으로 선정된 Zacco platypus가 사용되었다. 각 연도별 그리고 계절별 하천 유량의 변화에 따른 환경생태유량 분석을 통해 제시된 각 하천의 최적 환경유지유량에 대한 결과는 한강권역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cological Network for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경관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생태네트워크의 국제적 동향)

  • Hong, Sun-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7 no.5
    • /
    • pp.12-25
    • /
    • 2004
  • Integration system of conservation ecology, ecosystem management and land planing in landscape scale is major principle strategy for national management system of environmental resource and biodiversity. Current conservation strategy is concerned with not only population and habitat level but also ecosystem and landscape level. In especially, ecological networking to link core areas or major habitat patches is most eminent and emerging issue in European Union (EU) and North America. Moreover, the promo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 system in EU is focused on national cooperation to construct ecological corridor for key habitat that distributed in many countries. Integrating landscape ecology into conservation ecology and restoration have important role to stimulate the network system in regional and national level. In this review paper, comprehensive and necessary considerations arisen from the view of landscape ecology were discussed for the present situations of wildlif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specially, the conservation strategy and policy of biodiversity were addressed in broad sense including habitat protection, legal approaches, and ecological network programs. Finally, a national ecological network system was suggested for environmental policy in Korea in global consideration after the Korean Unification.

Assessing Habitat Quality and Risk of Coastal Areasin Busan (부산 연안역의 서식지 질 및 위험도 평가)

  • Jeong, Sehwa;Sung, Kijun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2
    • /
    • pp.95-105
    • /
    • 2022
  • Busan, where the coastal ecosystem health is deteriorating due to high development pressure and intensity of use, needs ecosystem management that considers human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ogether for sustainable use and ecosystem preservation of the coastal areas. In this study, the InVEST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habitat status of the coastal land and coastal sea to manage the ecosystem based on habitats.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of the coastal land, the habitat quality of Gadeok-do, Igidae, and Sinseondae, Gijang-gun are high, and Seo-gu, Jung-gu, Dong-gu, and Suyeong-gu are low. In the case of the coastal sea, the habitat risk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low, and some areas of Yeongdo-gu, Saha-gu, Gangseo-gu are high. Therefore, for the sustainable use and preservation of coastal ecosyst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ecosystem-based management measures to improve damaged habitats and reduce threats. In addition, the impact on coastal seas should be fully considered when planning coastal lan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in coastal land show similar tendencies to the biotop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The results of the habitat risk assessment in the coastal sea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identify habitats in the coastal sea and management of threat factors.

New Method of Estimat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to Decide Environmental Flow (확률분포모형을 적용한 물리적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방법의 제안)

  • Kim, Hyun-Jung;Lim, Sung-Min;Yoon, Jung-Soo;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79-779
    • /
    • 2012
  • 수자원의 개발은 세계적으로 경제, 사회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하천은 그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치수에 집중된 개발을 해왔기 때문에, 하천의 환경 생태적 기능은 중요시되지 않아왔다. 최근에서야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제고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하천생태계의 서식공간을 가능한 한 자연상태로 보전하고자 하는 노력이 늘어나면서,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생태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위와 같이 생태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유지유량증분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각 어종별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는 수생 서식처 모델링에 사용되는 물리적 인자에 대한 정량적 지수이다. 국내의 경우도, 수계별 어류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출현어종분류 및 출현율 등에 국한되어 있어 물리적 인자를 도출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장기간 실측자료의 부족으로 대부분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객관적인 서식처 적합도지수의 부재는 생태유량 산정에 있어 큰 어려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부족한 국내의 서식처 적합도지수에 객관성을 부여하고, 좀 더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장기간의 현장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이 배제된 추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해 적절한 생태유량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007-2010년, 'Ecoriver21사업단'의 '생태유량 산정 및 확보기술개발' 과제에서 한국수자원공사가 수행한 현장모니터링 자료이다. 자료 수집 대상지역은 한강과 금강 수계이며 41개 어종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으나 그 중 다른 어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고, 본 모니터링에서도 한강과 금강 두 수계에서 모두 우점종으로 나타난 피라미를 이용하여 새로운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 방법의 제안 및 기존 방법에 의한 지수와 비교하였다.

  • PDF

A Survey on Fish Habitat Conditions of Domestic Rivers and Construction of Its Database (국내 어류 서식환경 조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Jung, Jin-Hong;Park, Ji-Young;Yoon, Young-Han;Lim, Hyun-Man;Kim, Weon-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3
    • /
    • pp.221-230
    • /
    • 2014
  • In order to restore an ecologically damaged river, freshwater fish which inhabit at the target aquatic ecosystem have a great applicability as one of the essential indicators. Although the informations about the habitat conditions of freshwater fish are key elements reflecting b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aquatic environment, because of the lack of preceding related research and insufficient database with scattered data, they have not been applied effectively for the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s in Korea. To cope with these problems, based on the nation-wide detailed investigation for domestic freshwater fish habitat conditions, we have selected 70 specie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for the candidates of flagship species, constructed a database for their population, physical, and chemical habitat properties, and suggested its application methodology for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s. In particular, the utilization of the database has been enhanced by the additional statistical analysis to present their resistance and optimum ranges for physical, and chemical habitat properties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database construct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the calculation and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 ecological flow rate and target water quality for the selected flagship species (fish), and the basic data for the restoration of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rought considering Fish Habitat and Water Quality in the River (하천의 수질 및 어류서식서를 고려한 환경-생태학적 가뭄평가)

  • Park, Seo-Yeon;Hong, Hyun-Pyo;Na, Byoung-Chan;Cho, Yeon-Hwa;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1-51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이 상승 및 강수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다른 자연재해들과는 달리 가뭄은 공간적 및 가뭄에 영향을 받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및 심리적인 피해 등에 있어 대단히 광범위하다. 특히, 오랜 기간 동안의 무강우로 인해 자연생태계의 균형을 변화시켜 많은 물고기와 야생 생물 종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식물 성장 저하, 화재 및 곤충 발생의 증가, 물 순환 및 지방 종의 멸종 증가와 같은 환경학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또한 폭염과 마른 날씨로 인하여 멸종위기종의 어류 서식지를 잃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환경-생태학적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따른 환경-생태학적 영향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하천 수질과 식생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가뭄 상태에 따른 환경-수생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한다.

  • PDF

Environmental Flow Estimation of Seomjin River Basin (섬진강 유역의 하천 생태유량 산정)

  • Kim, Hyunjung;kang, Seongkyu;Choi, Sijung;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7-247
    • /
    • 2020
  • 생태유량은 하천에 서식하는 동·식물 등의 서식처 조건을 고려하여 갈수시에도 최소한의 하천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이다. 이는 하천의 적정유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생태적 기준의 하나이며 수생생물의 물리적 서식처 적합도를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특히 하천 생태계의 먹이 사슬 상층부에 속하는 어류는 서식처의 물리적 조건에 민감하므로 적절한 유량을 보장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이유로 생태유량 산정에 어류의 서식처 조건이 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의 건설과 준설 및 매립 등으로 유황 변동과 하류 염해 피해 등에 의한 하구 생태계 변화 등을 겪고 있는 섬진강 수계를 대상으로 송정, 겸백, 화개 세 지점에 대해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 생태유량은 섬진강 수계에서는 직접 측정에 한계가 있어 금강에서 측정된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였고, 지점의 하상재료 및 환경 조건을 반영하여 PHABSIM을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그 결과 송정의 최적 생태유량은 8.5㎥/s, 겸백은 2.26㎥/s, 그리고 화개 지점은 36㎥/s로 산정되었다. PHABSIM을 이용한 생태유량 산정 값은 지점에 따라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있기도 하지만, 섬진강 수계의 해수 침투 등에 의한 염해 피해 대책 마련 등을 위해서는 산정된 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flow and habitat of the river ecosystem through ecosystem function model (생태계 기능모의를 통한 하천의 환경유량 및 서식처 평가)

  • Na, Jong-Moon;Park, Seo-Yeon;Cho, Yean-Hwa;Lee, Joo-H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3
    • /
    • pp.191-201
    • /
    • 2021
  • Rivers have been damaged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river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flow and flood control functions. Recently, interest in river restoration, emphasizing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rivers, is increasing, but the beginning of river restoration requires an appropriat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flow required for the eco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n the habitat of the river ecosystem by estimating the changes in flow regime and environmental flow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hang dam in Gamcheon, the first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flow, the dominant species of Gamcheon, Zacco Platypus, and the protected species Squalidus gracilis majime, and riparian vegetation were selected, and the environmental flow was calculated using the HEC-EFM (Ecosystem Function Model). The evaluated environmental flow was linked with hydraulic analysis and GIS platform, and habitat area change and habitat connectivity analysis before and after dam construction were performed by spatial habitat analysis in the ri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 river restoration project and a dam operation plan considering the river environment through the calculation of environmental flow and habitat connectivity analysis to improve the habitat of the river ecosystem.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National Parks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구축)

  • Kim, Jeong Eun;Rho, Paik Ho;Lee, Jung Yun;Cho, Hyung Jin;Jin, Seung Nam;Choi, Jin Woo;Myeong, Hyeon H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2
    • /
    • pp.97-11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map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spatial type, vegetation, topography, and geological conditions preferred by specie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and their habitats in Korean national parks, we prepared a classification standard table for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habitat types. This classification system divides habitats into 6 low-level and 59 mid-level ecological classes based on habitat structure. The mid-level system divided forest ecosystems into 20 subtypes, stream and wetland ecosystems into 8 types, coastal ecosystems into 7 types, arable land into 6 types, development land into 9 types, and 1 type of marine ecosystem. A habitat classification map was drawn utilizing square images, detailed vegetation maps, and forest stand maps, based on the above habitat classification system, and it covered 1,461 plots spanning 21 national parks. The habitat classification system and survey protocol, which consider domestic habitat condition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applied to habitat assessment, to enhance the utility of this study.

Complex Habitat Analysis for Fish in River Confluences - Case Species of Zacco platypus, Opsariichthys uncirostris - (하천 합류부에서의 어류에 대한 복합 서식처 분석 - 피라미, 끄리 대상으로 -)

  • Seogyeong Lee;Dongsu Kim;Kyungdong Kim;Young Do Kim;Siwan L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9-219
    • /
    • 2023
  • 4대강사업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는 하천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어류의 서식환경이 변화하였다. 하지만, 어류 각각의 서식처 선호도가 변화한 것은 아니기에, 변화된 환경에서 어류의 서식처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어류들이 선호하는 환경 조건을 판단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수는 서식처 적합도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이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유속 및 수심과 같은 수리적 서식처 특성과 대상 종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가로축은 수심 및 유속 변수, 세로축은 적합도를 의미하며, 1의 값에 해당하는 수심 및 유속이 대상 어종이 가장 선호하는 수심 및 유속 값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실제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활용해 수리 인자와 서식처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현재 수리 인자만을 고려해 서식처 적합도를 판단하고 있는데, 정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수리 인자뿐만 아니라 수질 인자를 포함해 분석해야 한다. 실제로 수리 인자와 수질 인자를 함께 고려해 어류의 서식처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적인 부분의 지수를 직접 개발하는 것이 아닌, 하천의 수질의 등급을 나타낸 Water Quality Index (NSFWQI)을 이용해 수질부분의 서식처 분석을 실시한다. NSFWQI는비교적 계산이 간단하여 수질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지수이다. 수리자료는ADCP로 얻은 자료를 통해 기존 문헌과 대상 지역에서의 이미 존재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고, 수질 자료는 YSI로 얻은 자료를 통해 대상 지역의 NSFWQI 지수를 계산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와 NSFWQI 두 가지 지수를 공간분포로 나타내어 Arcgis의 적지분석 기능을 이용해 어류의 최적의 서식처 지역을 제시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평가 대상 어종은 정수성 어종인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와 유수성 어종인 피라미 (Zacco platypus)를 선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