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식공간

Search Result 4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 of Habitat Diversity through Comparison of Spider Diversity between Upland and Paddy Fields in Agroecosystems of South Korea (농업생태계인 밭과 논에서 거미의 다양성 비교를 통한 서식지 중요성 연구)

  • Nam, Hyung-Kyu;Song, Young-Ju;Eo, Jinu;Kim, Myung-Hy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2 no.2
    • /
    • pp.151-160
    • /
    • 2019
  • The study of spiders that function as predators in agroecosystem can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agroeco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terogeneity at different spatial scales on richness and abundance of spiders in upland and paddy fields. We collected 48 samples using pitfall traps at upland and paddy fields, respectively. The total species richness of spiders estimated by sample- and coverage-based rarefaction and extrapolation curves. The total species richness was high in the upland fields at the total study sites, whereas the average species richness per study site was high in the paddy fields. We confirmed that the diversity enhancement of spiders was influenced by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habitat at field-scale, and crop diversity at broader scale.

기획시리즈 - 수생식물의 종류 및 이용 특성

  • Song, Jeong-Seop
    • Landscaping Tree
    • /
    • s.113
    • /
    • pp.16-17
    • /
    • 2009
  • 최근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하여 수생식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수생식물은 산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물속에서 잘 자랄 뿐만 아니라 수질정화는 물론 4계절 볼꺼리를 주는 경관용으로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수생식물은 물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줄기나 잎에 통기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고 뿌리는 바닥에 뻗으며 잎은 수면 위에서 자라거나 떠돌아다닌다. 수생식물은 육상식물보다 빨리 자라며 한 개체가 수면 밑의 수중, 지하나 수면 위에 걸쳐 있으면서 스스로도 살지만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로써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연못에서 소생태계(biotope)나 생물 서식공간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PDF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of the Saemangeum Lake Area for Eurasian Otter(Lutra lutra)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atial Variables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적합성 평가 및 공간변수와의 상관성 분석)

  • Shin, Hwa-Yong;Shin, Gee-Hoon;Han, Sung-Yong;Rho, Paikho;Lee, Joon-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4
    • /
    • pp.298-306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rrelation between habitat suitability of the Saemangeum lake area for otters and spatial variables (watersides, wetlands, farmlands, urban areas, roads, etc.) on the inhabitation of otters. As a result of the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380grids of 1097 grids (34.6%) studied are most suitable and suitable, whereas 413 grids of 1097 grids (37.7%) of the total are marginal and unsuitable. Comparatively analyzing otter traces data against for each spatial variable in the Saemangeum area revealed that the distance to the road or man-made area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tter traces, while more traces of otters were found areas close to waters. Despite the impact from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Saemangeum lake, there found 2 to 6 times more otter traces in the area farthest from the urban areas and roads compared to the area nearest to the urban areas and roads. Thus, when restoring habitats for otters, a minimum of 500(m) distance to roads or urban areas,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threat to the habitats, must be secured.

River Environment and Wetland at West DMZ (서부 DMZ의 하천환경 및 습지 현황)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79-1983
    • /
    • 2009
  • DMZ권은 지난 반세기 동안 출입이 통제된 덕분에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공간이자 생명벨트로 형성되어 있다. 서부 DMZ권에는 한강 하구와 임진강 유역의 성동 습지와, 장단 습지, 문산 습지, 임진각 습지 및 초평도 습지가 있으며, 이곳에는 멸종위기종 1급인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등 8종과 2급인 큰고니, 개리 등 21종, 황조롱이, 매, 흑두루미 등 천연기념물 22종이 서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부 DMZ권을 중심으로 현지 조사를 통해 하천환경과 습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임진각 습지는 임진강의 건천화 때문인지, 아님 썰물 때문인지 유량은 그리 많지 않았다. 덕분에 갯벌이 많이 드러나고 재두루미와 개리 등이 눈에 뜨였다. 장단반도는 절반은 농경지, 절반은 갈대 군락지이다. 군락지에는 갈대뿐만 아니라 달뿌리풀, 갯버들도 서식하고 있었다. 농경지에는 재두루미 가족이 섭식하고 있고 임진강에는 기러기 약 2천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고라니도 다수가 조사되었다. 최근에는 136마리가 조사되었다. 초평도의 습지에서는 물새가 탐조되었다. 습지는 생태계의 훌륭한 서식처의 역할을 하며, 수질 개선과 기후 조절 기능도 갖고 있으며, 생태 관광에도 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해안 서식지 분류를 통한 생태계 단위 설정 -태안해안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신수영;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9.12a
    • /
    • pp.16-20
    • /
    • 1999
  • 우리나라 특히 서ㆍ남해안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선 출입이 잦아 해안의 대표적인 지형들이 골고루 발달해 있는 곳이며, 해안생물자원도 풍부한 지역이다. 종래의 생태계 조사방법은 종목록을 작성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자연자원과 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필요한 해안생태계의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여 지도화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을 대상으로 다음의 세가지 연구를 시행하였다. 첫째, 해안생물의 서식 기반이 되는 물리적 요소인 기질, 경사도, 파랑에너지에 입각하여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둘째, 해안의 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 현황을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셋째, 서식지와 토지이용을 결합하여 암석해안과 갯벌(모래, 펄)의 생태계 단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생태계 단위는 생태적으로 관리전략을 세울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Fragmentation and Morphology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and Jinan-gun (진안군 마을숲 주변 산림의 파편화 및 공간 형태 변화 분석)

  • Kang, Wanmo;Koh, Insu;Park, Chan-Ryul;Lee, Do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941-951
    • /
    • 2012
  • The changes of forest habitats and maeulsoops(village forests) in Jinan-gun, Jeollabuk-do, South Korea are examined using landscape indices and morphological pattern analysis, and their landscape-ecological implications on conserving biological diversity are presented. We used FRAGSTATS and GUIDOS software, as well as land cover maps(of 1989 and 2006)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habitat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34 representative maeulsoops and Jinan-gun. The results showed decreases in the amount of core habitats and corridors and habitat connectivity at a regional scale since 1989. In addition, multi-scale habitat analysis at a focal scale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forest habitats surrounding maeulsoops of the year 2006 was lower than that of the year 1989. In order to reduce forest fragmentation and to enhance the connectivity among habita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additional habitat corridors as well as preserving existing corridors and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We also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landscape indices and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analysis can provide an effective tool to assess the habitat functions and configuration in a rapidly changing landscape.

Variation of Ecological Flow Applying Physical Habitat in Urban-Stream (도시하천에서 물리서식처를 활용한 생태유량 변화)

  • Im, Dongkyun;Choi, Sung-Uk;Choi, Byung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4-104
    • /
    • 2015
  • 국내 외에서 생태 수리해석 및 생태 서식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최적 생태유량 (생태 유지유량) 산정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생태 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는 기존의 방법에서 크게 변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 유지유량을 확보하는 방안은 신규 댐/저수지 개발, 하수처리장 방류수 활용 등과 같은 직접 확보 방안과 댐/저수지 운영 효율 개선, 하천 유수점용허가 관리 등과 같은 간접 확보 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 하천에서 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이용하여, 물리서식처가 생태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구간은 한강의 제1지류인 홍제천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 구간은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통해 유지유량이 확보되고 있으며, 추가적인 유지유량을 확보하기 현실적으로 어려운 구간이다. 물리서식처가 생태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상태와 추가적인 물리서식처를 고려한 2차원 물리서식처 모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서식처를 추가적으로 적용할 경우 현재 상태대비 물리 서식환경이 증가되어 생태유량이 일정부분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하천에 물리 서식처를 도입하여 생태 서식공간이 증가함으로써 생태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ird-Days Carrying Capacity Estimation of the Curlews Stopping Over in the Southern Intertidal Zone of Kanghwa Island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 도래하는 마도요류의 환경수용능력 예측)

  • Moon, Young-Min;Kim, Kwan-Mok;Yoo, Jeong-Ch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2
    • /
    • pp.281-288
    • /
    • 2013
  •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southern intertidal zone of Kanghwa Island to evaluate the habitat quality for Curlews(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and Eurasian Curlew Numenius arquata). Biomass of the macroinvertebrate(Macrophthalmus japonicus) was estimated by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ediment grain size using GIS tools.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southern intertidal zone of Kanghwa Island was able to support 11,767 individuals for 153 days in the Spring 2012 and 16,275 individuals for 122 days in the Autumn 2012. The proportion of mean population to the carrying capacity in the Spring and Autumn was 9.4% and 5.9%,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2.8-6.3% small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study held in 1993-94. For the conservation of the study area, more research and management is needed. And in further studies,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tidal habitat should be considered in spatial analysis to have a precise estimate of the carrying capacity.

Wild Boar (Sus scrofa corranus Heude ) Habitat Modeling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GIS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 개발)

  • 서창완;박종화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85-99
    • /
    • 2000
  • Accurate information on habitat distribution of protected fauna is essential for the habitat management of Korea, a country with very high development press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habitat suitability model of wild boar based on GIS and logistic regression, and to create habitat distribution map, and to prepare the basis for habitat management of our country s endangered and protected species. The modeling process of this restudyarch had following three steps. First, GIS database of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use and availability of wild boar habitat were built. Wild boar locations were collected by Radio-Telemetry and GPS.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habitat use and availability of wild boars were identified through chi-square test. Third, habitat suitability model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tested. Finally , habitat assessment map was created by utilizing a rule-based approa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os. First , distinct difference in wild boar habitat use by season and habitat types were found, however, no difference in wild boar habiat use by season and habitat types were found , however, ho difference by sex and activity types were found. Second, it was found, through habitat availability analysis, that elevation , aspect , forest type, and forest age were significant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wild boar hatibate selection, but the effects of slope, ridge/valley, water, and solar radiation could not be identified, Finally, the habitat at cutoff value of 0.5. The model validation showed that inside validation site ha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73.07% for total habitat and 80.00% for cover habitat , and outside validation site ha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75.00% for total habit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