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요인

Search Result 5,36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recedents Affecting the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i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of OTT: Application of Big-Five Personality Model (OTT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서의 개인 정보제공 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 연구: 5요인 성격모형의 적용)

  • Yujin Kim;Hyung-Seok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09-21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OTT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서 5요인 성격이론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가설을 도출하였다. OTT 개인화 추천 서비스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격이론인 친화성, 정서적 불안정성, 성실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다섯 가지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OTT 추천 서비스의 특성인 추천서비스의 정확성, 추천서비스의 다양성, 추천 서비스의 신기성 세 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5요인 성격이론을 OTT 개인화 추천서비스 연구에 적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OTT 기업들이 사용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Longitudin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Older Adults' Welfare Service Utilization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서울과 춘천 노인들을 중심으로)

  • Lim, Yeon Ok;Yoon, Hyunsook
    • 한국노년학
    • /
    • v.29 no.3
    • /
    • pp.1063-1085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elderly's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tilization as time passed.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behavioral model presented by Andersen and Newman(1973) was applied. Using Hallym Aging Panel data consisted of 3 waves from 2003 to 2007, autoregressive modeling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for research purpo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s of welfare service utilization were increasing gradually. The complimentary service for the aged was utilized generally, but leisure service and community service were not used in common. (2) Past experience of service affected service utilization in the following times. (3) The factors affecting older adult's service utilization were different among the types of services. Nonetheless, the factors affecting continuously during the periods were found: age as predisposing factor and area as enabling factor in the complimentary service; area and existence of spouse as enabling factor in leisure service; education as predisposing factor and service cognition as enabling factor in community service. Enabling factor has affected more consistently than other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balanced regional arrangement for welfare resources and the public relation considering the elderly's intellectual level.

Causality of E-Commerce on the Door-to-door Delivery Service Market Using the Granger-Sims Causality Test (Granger-Sims 인과관계검정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택배서비스시장에 대한 인과성(因果性) 분석)

  • Lee, Woo-Se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69-84
    • /
    • 2004
  • 1990년대 중반이후 정보통신의 발달에 의한 인터넷의 활용이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팽창하면서 사이버마켓이라는 새로운 시장형태하에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성장은 기존의 유통구조를 오프라인으로부터 온라인으로 전환시키고 물류체계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경우 인터넷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발달에 의해 독자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실제거래를 위한 물류와 연계해서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문전배송서비스(door-to-door delivery service)가 가능한 택배서비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내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의한 택배서비스시장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전자상거래를 촉진시키는 어떤 요인이 택배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고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해 보는 것도 흥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시계열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에 의한 택배서비스시장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전자에 의한 후자의 성장요인을 분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택배서비스시장의 성장요인을 시장내부의 내적요인과 외부의 외적요인으로 구분하고, 외적요인을 다시 교통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전자상거래를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이 사회경제적 요인으로서의 전자상거래에 의한 택배서비스시장의 인과관계성을 그랜저-심즈(Granger-Sims) 인과관계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전자상거래는 EDI(전자문서교환)도입업체수, 인터넷 쇼핑몰수, 인터넷 이용자수, 전자상거래를 위한 법제도 체계 등의 증가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이에 따라 택배서비스시장도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주도에 의한 정보화추진이 전자상거래를 촉진시켜 택배서비스시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웹캠에 의한 무선원격 모니터링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yu, In-Su;Chae, Myeong-Si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394-399
    • /
    • 2008
  •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날로 높아지는 시기에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서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 제공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감시카메라 등으로 사용되면서 문제점만 부각되고 있는 웹카메라를 감시나 보안 등의 목적 외에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 제공의 수단으로 활 용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어린이집 학부모를 대상으로 웹캠에 의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에 대한 재구성 및 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의 성향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웹캠에 의한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이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주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변수의 상관관계와 영향 현상을 연구하기 웹캠 원격모니터링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유치원/어린이 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웹캠 모니터링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을 영상품질 및 전송속도, 이동성 및 휴대성, 편의성, 가시성, 신뢰성으로 설정하였으며, 그 중 영상품질 및 전송속도가 고객만족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들을 고객이 인식함에 있어서 고객성향 중에서 디지털 기기 숙련도가 서비스 품질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들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바, 이러한 결과가 마케팅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가 논의된다.

  • PD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Satisfaction of Ubiquitous Service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 You, Jae-Hyun;Park,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403-418
    • /
    • 2007
  •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가 등장함에 따라 그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도입되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무리 혁신적이고 훌륭하다 하더라도 고객이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인지하거나 만족하지 못하면 그 제품이나 서비스는 시장에서 더 이상 확산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기업이 향후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용자를 확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만족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모델을 제시하고 실증하였다. 그 결과 편재성, 상황기반 제공성, 친화성과 같은 유비쿼터스 특성요인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을 높이고, 이 지각된 유용성은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을 높이고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토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Factors of Elderly Residential Care Service Utilization for using Decision Tree Regression (의사결정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요양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Lim, Jeong-G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0 no.3
    • /
    • pp.129-150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utilization of elderly residential care among long term care services recipients during long term care insurance pilot project period in Korea. Help-seeking Behavior model developed by Andersen and Newman(1973)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tilization residential care service among 1,939 long term care services recipients. Frequency and Decision Tree Regression analysis on SPSS 13.0 used. Analyses show strong significant factor is service preference(predisposing factors), and then significant factors are enabling factors such as co-residence type, household income. According to this results, need factors such as cognition disorder, problem behavior, ADL and IADL disabilities are affecting utilization behavior of elderly residential care services.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bout how long term care service system would be settled in Korea. And these finding provide information about target-efficient long term care continuum system to policy makers and helping professionals.

  • PDF

A Study of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Overall Service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s in Korean Foodservice Firms (한식 외식업체의 환경특성이 서비스품질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Geum-Rye;Yoo, Young-Jin;Park, Geum-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0 no.6
    • /
    • pp.661-667
    • /
    • 2005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overall quality of employee and food service in Korean foodservice firms. The four factors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service firms consist of service, atmosphere, food & beverage, and event.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414 respondents, the several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including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ee service factor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verall employee service quality. Second, the food & beverage factor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verall employee service quality. Third, the food & beverage factor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verall food & beverage service quality. Fourth, the event factor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verall food & beverage service quality Managerial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present data. First, Korean restaurant managers can identify which factor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fluence customers' attitudes and evaluations in service encounter. Second, Korean restaurant managers can us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allocate their resources into the activities of marketing strategy.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황선아;황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4-45
    • /
    • 2001
  •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개성적 표현 욕구에 따라 우리나라 미용산업은 헤어, 메이크업과 피부미용, 네일케어 분야로 전문화.세분화되면서 토탈 패션산업의 주요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 한 토탈 패션의 등장으로 미용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로 양적으로는 상당히 그 규모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버스 품질에 대해서는 고객들에게 확실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내 미용업계가 미용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일방적인 서비스를 창출하여 왔고, 고객이 바라는 서비스의 내용과 품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과 소비자 만 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ulcorner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중 소비자 만족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은 무엇인가\ulcorner 본 연구를 위한 예비조사에서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결과 프랜차이즈 미용실, 시내중심가 미용실 그리고 집.직장 근처 미용실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은 그 규모나 소비 자 인식이 상이하여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조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대상은 서울 지역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중 2 20-30대의 주요 고객층으로 정하였고 편의 표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외 alpha값을 활용하였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의 개념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ISREL을 이용한 확인 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one-way ANDV A)을 실시하였으며, 서비스품질 속성들 중 소비자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는 물리적 서비스(유형성, 접근성, 청결성), 판매원 관련 서비스(감정배려, 능력), 정책관련 서비스(점포운영, 명성, 신용카드) , 미용기술관련 서비스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있어서 점포 유형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서버스 품질에 가장 만족했으며, 시내중심가 미용실과 집근처 미용 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일을 살펴보면, 프랜차이즈 미용 실은 청결성($\beta$ =.30), 감정배려($\beta$ =.54), 명성($\beta$ =.60),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이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시내중심가 미용실은 청결성($\beta$ =.39), 직원의 능력($\beta$ =.49), 명성($\beta$ =.59),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가 서비스 결정 요인이었고, 집근처 미용실은 청결성($\beta$ =.27), 감정배려 ($\beta$ =.57), 명성($\beta$ =.73),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 ($\beta$ =.60)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은 청결성, 감정배려, 명성, 상품관련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의미는 그 동안 개발된 소매점이나 패션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기척도를 우리나라 미용실에 적용해 봄으로써 미용실의 특성인 유행성, 청결성, 미용실의 명성, 직원과의 친분 등을 포함한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차원과 그 신뢰성 과 유용성을 입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각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들을 통해서 좀 더 나은 미용서비스를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전략 을 수립할 수 있다는데 실질적 의미를 지닌다.

  • PDF

A Comparison of Manufacturing Firms and Service Firms Using a Marketing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마케팅성과모델을 이용한 제조기업과 서비스기업의 비교)

  • 윤성준;최계봉
    • Asia Marketing Journal
    • /
    • v.4 no.4
    • /
    • pp.28-50
    • /
    • 2002
  • 본 연구는 마케팅성과에 대한 Kotler의 접근법을 원용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제조기업과 서비스 기업들의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발견하고 경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조 분야에서 10개 기업, 서비스 분야에서 9개 기업을 각각 선정하여 전체 19개 기업의 마케팅 성과의 수준을 평가해 보았다. 확인요인분석 결과 제조기업의 마케팅 성과요인으로는 마케팅 인력, 마케팅 조직, 마케팅 전략이 추출되었고 서비스기업의 요인으로는 마케팅 인력, 마케팅 정보, 고객지향성, 마케팅 전략이 추출되었다. 5개의 마케팅성과요인과 제품력, 유통력, 판촉력, 가격력으로 구성된 마케팅역량, 그리고 고객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할 목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축하고 관계들에 관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제조기업은 마케팅인력, 마케팅 조직, 마케팅 전략의 세 요인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기업에서는 마케팅 인력, 마케팅 정보, 고객지향성, 마케팅 전략의 4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각 요인의 평균치 분석결과, 서비스기업이 제조기업에 비해 마케팅성과 영향요인, 마케팅역량과 고객만족에서 모두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Adoption Characteristics and Activating for HSDPA in Korea (국내 HSDPA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 분석과 활성화 방향)

  • Park,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1
    • /
    • pp.101-112
    • /
    • 2009
  • IMT-2000으로 새로운 이동통신의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제3세대(3G) WCDMA 계열의 기술은 2006년 이후 하향 속도를 고속화시킨 HSDPA를 통해 국내외에서 급속한 서비스 확산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 HSDPA 가입자의 급속한 증가는 3G 서비스가 기존 이동통신과 달리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무선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특성이 수용의 영향요인으로 모두 작용한 것은 아니며, 단말기 보조금과 같은 사업자의 활발한 마케팅 활동에 따른 촉진조건이 수용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개연성이 높다. 그런데, 국내에서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인 HSDPA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서비스의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을 통해 규명한 분석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분석에서는 기존 제2세대(2G) 서비스 대비 혁신성과 경쟁 서비스인 와이브로 대비 우위성의 서비스 차별성, 단말기 교체지원의 촉진조건과 요금부담감, 품질에 대한 비확신, 번호변경 부담감의 수용장벽이 HSDPA 서비스의 가입과 이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서비스 대비 혁신성, 단말기 교체지원의 촉진조건, 요금 부담감과 품질 비확신의 수용장벽이 수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HSDPA 서비스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