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시나리오

Search Result 92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Ubiscript: A Language for Ubiquitous Service Integration (유비스크립트: 유비쿼터스 서비스 통합을 위한 언어)

  • Lee, Min-Kyu;Han,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a
    • /
    • pp.269-270
    • /
    • 2007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 및 네트워크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는 상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주변에 있는 PC, 냉장고, TV, 자동차 등의 모든 기기에 프로세서가 내장되고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와 서비스들을 연동하기 위한 현재의 솔루션은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분산 컴퓨팅 모델이다. 각각의 장치가 원격 프로시듀어 흑은 원격 객체의 형태로 서버를 제공하고 이들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시나리오대로 그것들을 호출함으로써 응용을 완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산 컴퓨팅 모델을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환경으로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소프트웨어 배치(deployment) 문제가 발생한다. 수 많은 시나리오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특정 장치를 공장에서 생산하여 출고할 때 어떤 서버 소프트웨어가 미리 설치되어야 하는지는 가늠할 수 없는 문제이다. 둘째,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각 장치의 함수를 호출하는 것은 대부분 원격 함수(remote procedure)이므로 한번 호출하는데 상당한 자원이 소요된다. 하지만, 시나리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정 장치의 함수를 여러 번 호출해야 되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여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각 장치에 요구되는 부문 시나리오가 한번에 호출로 처리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유지 보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가 여러 개의 서버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한번 업그레이드를 할 때 모든 구성 요소들이 모두 버전 업이 되어야 한다. 넷째,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추상화 개념의 부재를 들 수 있다. 다양한 장치, 웹서비스 및 데이터 들이 연동되어 하나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구현함에 있어서 현재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높은 수준의 추상화 개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코드 기술을 프로그래밍 언어에 적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장치들과 서비스들을 손쉽게 통합하여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인 유비스크립트(ubiscript)를 제안한다. 유비스크립트에서는 모바일 코드의 개념을 통해서 앞서 언급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코드에서는 프로그램 코드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를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개념인데, 이는 물리적으로 떨어져있으면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가 서로 연동하기 위한 모델에 가장 적합하다. 이는 기본적으로 배포(deploy)라는 단계가 필요 없게 되고,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이 작성될지라도 런타임에 코드가 직접 이동하게 되므로 버전 관리의 문제도 해결된다. 게다가 원격 함수를 매번 호출하지 않고 한번 이동된 코드가 원격지에서 모두 수행을 하게 되므로 성능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장소 객체(Place Object)와 원격 스코프(Remote Scope)는 앞서 설명한 특징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언어 요소이다. 장소 객체는 모바일 코드가 이동해서 수행될 계산 환경(computational environment)에 대한 레퍼런스이다. 원격 스코프는 원격지의 컴퓨터에 존재하는 계산 환경의 스코프(scope)를 로컬 계산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요소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장치와 서비스들을 연동하기에는 현재의 프로그래밍 모델은 배포, 유지 보수, 성능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코드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인 유비스크립트를 제안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유비스크립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언어 요소인 장소 객체와 원격 스코프 개념을 도입하였고, 프로토타입과 가상의 시나리오 구현을 통하여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유비쿼터스 환경에 더 적합하고, 단순하며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Future Scenarios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의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기법의 적용)

  • Cha, Mi-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1
    • /
    • pp.137-153
    • /
    • 2004
  • Emerging ubiquitous computing and mobile communication urges changes in academic libraries' information servic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ture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by adopting a future research method, scenarios. It identifies the key forces in the scholarly information flows, scans the range of alternatives, and describe the possible behaviors of the three groups of main actors: publishers, academic libraries, and users.

  • PDF

The design of VoiceXML Interpreter based on the Web (웹 기반의 VoiceXML 문서 인터프리터의 설계)

  • 이선남;김경아;이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5-357
    • /
    • 2001
  • VoiceXML은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과 음성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시각에 의존하는 기존의 웹을 벗어나 음성 및 시각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 서비스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어지고 있다. VoiceXML을 이용한 음성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마크업 언어형태로 작성된 시나리오를 인터프리터를 통해 서비스하기 때문에 시나리오 변경 요구시 재프로그램해야 하는 기존 음성정보서비스 시스템의 문제점을 쉽게 개선할 뿐만 아니라, 음성정보서비스의 개발자가 음성인식.음성합성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와는 독립적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W3C Voice Browser Working Group에서 제안하는 문법표현.시스템구조.다이얼로그 모델 등을 지원하는 XML 기반 대화형 마크업 언어인 VoiceXML 문서의 인터프리터를 설계하고자 한다.

  • PDF

Cognitive Radio 기술의 분석 및 연구 방향

  • Jeon Hyeong-Seok;Kim Chang-Ju;Lee Hyeok-Jae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7 no.3 s.59
    • /
    • pp.17-25
    • /
    • 2006
  • 석유, 철강 등과 함께 주파수 자원은 정보화 사회에서 소중한 자산으로 사용이 한정되어 있는 유한자원이다. 새로운 서비스를 위해 새로 할당할 대역이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는 지금, 주파수 부족 현상은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실현함에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FCC의 보고에 따르면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은 주파수 부족 현상이 주파수 자원이 가지고 있는 유한성의 문제보다는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주파수 관리 방식에 원인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Cognitive Radio 기술은 이렇게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금의 상황을 해결해줄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Cognitive Radio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단일화된 정의나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Cognitive Radio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 시나리오를 파악하고자 주요 관점 별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각 시나리오에 따라서 Cognitive Radio 기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주파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와 이때 요구되는 핵심 기술들에 대해 논의한다.

A Study of Service Scenario for Urban Facilities Management in u-City (u-City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연구)

  • Kim, Tae-Hoon;Nam, Sang-Kwan;Choi, Hyun-S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29-230
    • /
    • 2010
  • 향후 u-City의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세한 서비스모델 및 시나리오의 구현이 필요하다. u-City에서는 각종 센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이벤트 상황을 인식하며,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분석 및 처리, 결과가 제공되어지는 능동형 도시시설물관리시스템으로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관리시스템은 기존의 DB관리 중심의 UIS(도시정보시스템)와는 차별화된 차세대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제공되어질 서비스 시나리오 중 공동구관리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관련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스마트 항로표지 수집정보의 연동 시험 시나리오 설계

  • 오세웅;김윤지;강동우;박세길;장준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1-313
    • /
    • 2023
  • 자율운항선박, 스마트 해상물류 등 미래 해상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여 항로표지 현장시설을 고도화하고 신해상교통인프라 지능화 및 정보서비스 개발을 위해 스마트 항로표지 및 연계기술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사업의 1단계 연구 성과로 스마트 항로표지 통합플랫폼과 항로표지 서비스 성능시험환경이 구축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항로표지 통합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육상의 성능시험환경으로 연동 시험에 관한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스마트 항로표지 통합 플랫폼 및 장착되는 센서에 사전에 설계된 해양자원명을 부여하고 항로표지 정보관리시스템의 등록하는 절차를 제시하였고,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항로표지 정보를 연동하여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를 항로표지 서비스로의 적용과 활용에 관한 시나리오 설계 결과를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Ontology for Semantic-Based Service Exploiting the Context Information in IoT Environment (IoT 환경에서 상황정보에 따른 시맨틱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에 관한 연구)

  • Woo, Dong Hee;Yoo, Min Kyu;Kim, Yoon H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1 no.3
    • /
    • pp.1-13
    • /
    • 2016
  • The many researches on context-aware servic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emantic technology and IoT environment are being actively done. However, the previous study exploiting ontology has limitations not to accommodate the service requirement changes due to ontology prebuilt by specific service scenario. Although the concept of cross vertical ontology has emerg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it has other limitations that need additional components composing service environment for expressing context information and can't represent state information of environment elements. To cope with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SISO (Semantic-based IoT Service Ontology) that can represent the states of environmental element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context-information element. To verify SISO's characteristics, we select the service scenario and present applied results. The qualitative analysis comparing with the previous study is also presented by the applied results of service scenario.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mplementation for u-TSN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s (u-TSN에서 차량 통신시스템 구성 및 성능평가)

  • Jeon, Sung-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8 no.7
    • /
    • pp.35-40
    • /
    • 2011
  • In u-TSN environ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terminal and roadside equipmen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prompt service and to secure road traffic information in real-time upon organizing traffic system. This study suggested V2I or I2V communication service scenario for performance test o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V2V inter-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scenario for emergency information transmission which requires rapidity and accuracy. After implementing real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e performed vehicle communication experiment following suggested communication service scenario to test the performance. Consequently, we could draw out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setup condition, and the resul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stable and efficient u-TS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 Scenario-based Approach in Smart Agriculture Services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시나리오 기반 접근)

  • Lee, Soo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7
    • /
    • pp.1705-1710
    • /
    • 2015
  • There have been lots of researches and developments for smart agriculture that enables highe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by applying ICT into the agriculture field recently. However, there still remain many difficulties in purchasing foreign equipments or overseas expansion due to lack of international standards that are internationally approved. Such necessity lead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driven by domestic experts especially in ITU-T SG13. This paper presents several smart agriculture services based on the service approach that can effectively describe use cases. The proposed architecture of service provision was applied to the document that has been consented as the ITU-T Recommendation Y.2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