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공급체계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Recent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Social Service Supply System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최근의 연구 동향)

  • Seo, Jeong-Min;Kim, N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4
    • /
    • pp.55-68
    • /
    • 2016
  • Academic research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very limited. This paper checked on the status of research on current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n order to explore new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Analysis study consisted of 79 pieces and the framework was divided into dimensional analysis, content analysis and analytical standards. Research on the papers of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s showed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policy discussion to the phase of the individual services. Summarizing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ies confirmed that at this time the quality studies o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needed. Second, this indicates that right now, the government budget of social services and the data relating to social service agencies will be opened to the public for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studies. Third, to expand social services delivery systems research, it showed that social services demand forecasting research such as budget allocati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equality of public service and local information is needed. Finally, since the quality of service is reduced by the oversupply, the discussion of the entry regulations of social service providers is required.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ccording to the Community Size and Financial Provision Types (지역적 환경과 제도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서비스 공급체계 분석)

  • Kim, Eunje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7 no.3
    • /
    • pp.5-33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features of social service provision system focusing on the core institutional traits of the system and community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ccording to the community types, such as metropolitan area, medium size cities, and rural area. Also, the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major subsystems in the social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the types of financial provisions.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community factors and financial traits on the relationships among sub- components in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other organizations, service users and public sector are regarded as three major sub-components in the provision system. The study utilizes the raw data from '2015 Social Service Demand and Provision Survey', which interviewed 4,100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Results from analyses show that the gap among metropolitan area, medium cites, and rural area is not so much bigger in the diverse provision features(e.g. the competition level, the major focus on the users, and policy demands on public sector) of provider-provision-organizations than in those of both of user-provision-organization and of market-way-organizations. User-provision organizations show the distinc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focus points on the users, while marketed organizations do in terms of the policy demands to the public sector. In rural area, user-provision organizations act like provider-provision-organizations whereas they do market-way-organizations in the urban area.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social service provision types utilizing market mechanism(such as user-provision, and market-way) are not so well fi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

Development of Priority U-Service Model based on both Provider and Consumer Viewpoint (수요-공급자를 통합한 U-서비스 우선순위 평가모형 개발)

  • Jang, Jae-Ho;Um, Jung-Sup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7-42
    • /
    • 2007
  • 이 연구는 u-City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u-서비스 공급자 측면과 수요자 측면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u-서비스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u-서비스 우선순위 모형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수요자와 공급자의 서비스 결정 요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고, 전문가와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u-서비스 결정의 확정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을 계층분석(AHP)모형으로 설정하고, 1차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요인별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공급자와 수요자를 고려한 u-서비스 우선순위 선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바탕으로 2차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u-지역정보화에서 제시한 대구지역의 특화서비스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대구지역은 지역물류 지원서비스, 시각장애인 길안내 서비스, u-텔레매틱스 서비스가 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u-지역정보화에서 제시한 안전방재지원서비스와 산업특화거리 등의 서비스는 중위권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자 위주의 u-서비스 선정과는 차별성을 보였다. 개발된 u-서비스 우선순위선정 모형은 u-서비스 제공 및 사용의도에 기반한 모형으로 u-서비스 우선순위 선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 향후 성공적 u-City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GPS와 GIS를 이용한 웹 기반 물류 모니터링 시스템

  • 양종윤;안충현;김경옥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151-156
    • /
    • 1999
  • 물류관리는 기술의 발전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정보처리 전산화 및 자동화된 물류설비의 발전은 개별기업의 물류활동을 더욱 원할 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특히 한창 피어나고 있는 전자상거래는 기존의 상품구매과 정과는 달리 원거리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주문이 되기 때문에 기업은 전자상거래 환경에 맞는 대 고객서비스 방향 설정과 물류활동을 새로운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최근 CALS와 더불어 최종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공급자에서 부터 최종 고객에게 이르기까지의 공급체계(Supply Chain)내의 각 기업간에 긴밀한 협조를 통해 공급체계 전체 물류의 최적화를 위한 공금체계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전자상거래 쇼핑몰은 택배 회사와 연계하여 GPS등의 기술을 이용한 화물운송정보체계(CVO : Commercialvehicleoperationsystem)를 활용하여 공동배달정보망을 추축해서, 배달추적이 가능하고 신속 정확한 수배송계획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토다 나은 서비스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GPS, GIS를 연계한 물류 모니터링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은 GIS와 GPS를 바탕으로 이동체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센터에서 관리학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또한 자바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고객이 웹을 통해 자신의 물건의 위치를 파악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고객은 원거리에서 인터넷으로 주문처리하고, 신속 안전한 배달을 기대한다. 더불어 고객은 현재 자신의 물건이 배달되는 경로를 알고싶어 한다. 웹을 통해 물건을 주문한 고객이 자신이 물건의 배달 상황을 웹에서 모니터링 한다면 기업은 고객으로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한 불신을 불식시키는 신뢰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고객서비스 향상과 물류비용 절감은 사이버 쇼핑몰이 전국 어디서나 우리의 안방에서 자연스럽게 점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것이다.

  • PDF

A Spatial Pattern of An Optimal Transportation Pricing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 of a local solution- (도시공간상에서 교통시설에 대한 최적가격(요금) 구조에 관한 연구 -부분 최적해의 결과-)

  • 정성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65-88
    • /
    • 1994
  • 교통수요와 공급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교통수요는 교통시설 서비 스수준 및 교통시설의 이용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교통시설 공급비용과 서비스수준은 교통수요에 영향을 준다. 또한, 교통수요와 공급간의 상호작용은 도시공간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시스템의 공간적 구조 및 도시의 공간적 특성은 공급, 가격 및 수요를 통합한 교통균형모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교통균형모형에서는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및 교통체증의 도시공간상 변화가능성을 적절하 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상에서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변화패턴 을 반영한 수 도시공간상에서의 교통시설의 최적 서비스 수준, 교통수단별 최적요금체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단핵도시구조를 지닌 도시공간상에서의 최적버스요금은 통행거리에 따라 할증되는 체계를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승용차에 대한 통행혼잡세 부과는 소득역분 배적인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버스의 요금구조나 서비스 수준이 최적수 준에서 제공된다면 통행혼잡세는 소득역분배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s of Social Service Delivery Types (사회서비스 공급유형별 성과평가 비교 : 노인관련 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 Seo, Jeong-Min;Kim, N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39-46
    • /
    • 2016
  • The history of Social service is above 10 years. Owing to corresponding to the user's needs social services sector is expanding. And, to deal with them, the social delivery systems has been changed. Traditional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s provided by public facilities and private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Social Services is made up of the traditional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new delivery system which is composed of profit organiza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Considering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supply type-profit and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o net income, except for expenditure in total revenue. Net income difference between profit organization non-profit organization was assessed by T-test. We conclude that the two population means are different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Looking in detail, the non-profit organization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non-profit organizations, labor costs, operating costs, facility cost and consumable costs, but part of the business expense costs, the non-profit organizations was higher than the profit organizations.

The Technical Trend and Prospect of Platform Integration for Smart Grid System (스마트 그리드 환경의 통합 플랫폼 구현을 위한 기술현황 및 전망)

  • Choi, Seung-Hwan;Oh, Do-Eun;Kim, Young-Il;Kim, Young-Jun;Kang, Shin-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977-1978
    • /
    • 2011
  •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하고자 하는 차세대 전력망이다.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일방향성, 폐쇄성, 획일적인 전력망에서 수요자 중심의 양방향성,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스마트그리드의 운영환경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기존 서비스 플랫폼과 신규 서비스 플랫폼을 융합할 수 있는 정보통합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이종 플랫폼을 융합할 수 있는 적응 모듈이 체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이종 체계간 상호운용성 확보는 필수사항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등 범 세계적인 이슈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탄소 녹색성장, 에너지 효율향상 및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하여 국가 전략 로드맵을 수립하고 국가 단위의 실증사업을 통한 선제적 대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실제로 국가 로드맵과 실증사업은 지능형 전력망, 지능형 소비자, 지능형 운송, 지능형 신재생, 지능형 전력서비스의 5개 분야의 응용서비스 영역 기반으로 나누어져 각각의 서비스 플랫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스마트그리드 플랫폼 통합 체계 기술은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이다.

  • PDF

A Study of Social Service Extension and Reorganization in Welfare State -Focusing on Social Service in Germany- (복지국가의 사회서비스 제도화 및 재구조화에 대한 고찰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Su-Si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3
    • /
    • pp.155-177
    • /
    • 2009
  • This is a study to review provision and production system of social services in European welfare states and find out implications to Korea. Firstly, trends of social service extension and reorganization in welfare state restructuring process, and approaches in interventions to social service system are theoretically discussed. In this discussion, we focus on the discussion of Jessop's workfare in social service extension and reorganization and the concept of innovation in intervention to social service system by state. Then, In order to look at details of reorganization of social service system through restructuring of European welfare states, German case is reviewed. In this review, the reorganization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production system in Germany is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pre-existing system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public sector as well a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respectively. Finally, implications of the European and German experiences to Korea are explored. In order to do so, the state of social services in Korea is examined whilst comparing to the European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services. Also, pros and cons of the electronic voucher scheme, which transforming the social service provision system in Korea, are discussed then challenges in Korea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re discussed.

  • PDF

Effectiveness study of elderly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노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성 연구)

  • Son, Myeong-Dong;Park, Ch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13-314
    • /
    • 2015
  •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는 서비스 내용이 만들어지고 그것이 수여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모두를 포함한 개념이다.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현실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노인복지에 대한 적절한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고 전달될 수 있도록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관리의 효율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효율적인 노인복지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내용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전달하는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서비스를 전달하는 체계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복지서비스가 어떻게하면 효율적으로 수요자에게 전달될 수 있을 것인가를 연구하여 제시하고자한다.

  • PDF

The Effect of Trust in Suppliers of Business Services on Buyers' Sourcing Strategies (비즈니스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신뢰가 조직구매자의 소싱전략에 미치는 영향)

  • Noh, Jeon-Pyo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6
    • /
    • pp.1-21
    • /
    • 2003
  • Trust affects marketing practices and purchasing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buying and selling business services. Despite the importance the previous studies on business services have not fully investigated the role of trust and the effects of trust on buying and selling strategies. Additionally in-depth studies exploring the links between trust-strategies-performance have not systematically performed both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This study, in the context of purchasing business services, investigates the effect on trust of supplier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sellers and buyer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effect of trust toward sellers and buyers on purchas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he understanding on the role of trust in purchasing and selling business services. Building and maintaining trust must be one of the major key success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lers and buyers of business servies.

  • PDF